•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사양관리 개선의 환경영향 평가

문서에서 Ⅰ 농업.농촌, 새 희망을 보다 (페이지 165-169)

축산업 환경영향 분석

3.2. 사양관리 개선의 환경영향 평가

∙ 가축 생애 전과정평가(LCA)를 활용해 사양관리 개선의 사례로 한우 거세우 비육기간 단축이 환경에 미치는 영향과 경제성 변화를 분석하였다. 분석 체계 및 방법은 일반적 인 전과정평가의 기본구조를 따르되, 분석대상 물질은 이 연구의 목적을 고려하여 가축 분뇨, 온실가스(CH4, N2O 등), 악취유발 물질(NH3)로 한정했으며, 한우 거세우 출생에 서 출하까지의 기간을 분석대상 기간으로 하였다.

∙ 본고에서 한우 거세우 비육기간 단축은 2020년 출하 실적 기준 출하(도축)량이 가장 많 은 30개월령을 28개월령으로 줄이는 것이다. 즉 2개월 단축을 목표로 환경부담 완화 효 과를 분석하였다.

- 한우는 비육기간 단축을 통해 출하월령을 앞당길 경우 단축 기간 동안의 분뇨와 온실 가스 배출 감소 등 환경부담 완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경제적 효과는 플러스 요인 과 마이너스 요인으로 구분할 수 있는데, 사료 투입 감소로 사료비를 절감할 수 있으 나, 육질등급 및 도체중량 저하로 한우 판매가격이 하락할 수 있다.

∙ 2020년 한우 거세우 도축 마릿수는 총 40만 3,477마리로 도축 월령별로 30개월령 도축 이 7만 6,192마리로 18.9%를 차지해 가장 많았으며, 31개월령 6만 9,598마리(17.2%), 29개월령 6만 2,760마리(15.6%) 등이다. 이 연구의 비육기간 단축 목표로 설정하고 있 는 28개월령 한우 거세우의 도축 마릿수는 3만 8,978마리(9.7%)로 나타났다.

그림 5-7. 2020년 한우 거세우 도축 월령별 도축 마릿수

주: 20개월령은 20개월령 미만 도축 마릿수, 40개월령은 40개월령 초과 도축 마릿수를 포함하고 있음.

자료: 축산물이력제 빅데이터 개방시스템(https://www.mtrace.go.kr/). <검색일: 2020. 9. 30.>

제5장 탄소중립시대, 축산업 발전 방향 _155

∙ 2020년 한우 거세우의 육질등급 1등급 이상 출현율은 평균 88.7%로 나타났으며, 도축 월령별로 30개월령은 90.1%이며, 28개월령은 전체 평균에 근접하는 87.7%로 나타났 다. 육질등급 1등급 출현율은 20개월령부터 빠르게 증가해 26개월령부터는 80% 이상, 32개월령에는 91.1%로 최고를 기록한 이후 도축 월령이 증가함에 따라 감소하였다.

그림 5-8. 2020년 한우 거세우 도축 월령별 육질등급 출현율

주: 20개월령은 20개월령 미만 도축 마릿수, 40개월령은 40개월령 초과 도축 마릿수를 포함하고 있음.

자료: 축산물이력제 빅데이터 개방시스템(https://www.mtrace.go.kr/). <검색일: 2020. 9. 30.>

∙ 2020년 한우 거세우의 도체중량은 전체 평균 447kg/마리로 나타났다. 30개월령의 도체 중량은 450kg이며, 28개월령은 439kg으로 30개월령보다 도체중량이 11kg 줄어드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림 5-9. 2020년 한우 거세우 도축월령별 평균 도체중량

주: 20개월령은 20개월령 미만 도축 마릿수, 40개월령은 40개월령 초과 도축 마릿수를 포함하고 있음.

자료: 축산물이력제 빅데이터 개방시스템(https://www.mtrace.go.kr/). <검색일: 2021. 9. 30.>.

156_ 제2부 2022년 농정 현안

∙ 한우 거세우 비육기간을 단축해 28개월령에 출하할 경우 30개월령 출하에 비해 사료 급 여량은 마리당 600kg을 감축할 수 있다. 사료 종류별로 배합사료는 540kg 감축되며, 볏짚 은 60kg 감축된다. 건초는 사양 프로그램상 비육 후기에 급여하지 않아 감축은 없었다.

- 사료 영양성분별 감축량은 조단백질이 62.6kg으로 가장 많으며, 조지방 22.3kg, 칼슘 2.8kg, 인 1.7kg 등이 감축된다. 소화과정에서 암모니아(NH3)나, 아산화질소(N2O) 합 성에 이용되는 조단백질 등의 투입 감소로 환경부담 완화를 기대할 수 있다.

[ 표 5-19 ] 한우 거세우 출생부터 출하 시까지 사료 종류별 급여량

구분 월령

(월)

기간별 사육일(일)

평균체중 (kg)

사료 종류별 급여량(kg) 음수량 (ℓ/마리)

배합사료 볏짚 건초 합계

비육 단계 구분

송아지 1~5 150 96.0 172.9 0.0 300.0 472.9 660.6 육성기 6~13 240 257.5 1,020.0 0.0 780.0 1,800.0 3,346.8 비육전기 14~21 240 481.3 2,160.0 495.0 105.0 2,760.0 6,534.8 비육후기

(28개월령 출하) 22~28 210 695.7 1,965.0 300.0 0.0 2,265.0 5,367.3 비육후기

(30개월령 출하) 22~30 270 712.8 2,505.0 360.0 0.0 2,865.0 6,790.4 전 사육기간 합계

(28개월령 출하)(A) 1~28 840 402.1 5,317.9 795.0 1,185.0 7,297.9 15,909.5 전 사육기간 합계

(30개월령 출하)(B) 1~30 900 426.8 5,857.9 855.0 1,185.0 7,897.9 17,332.6

감축(B-A) 2 60 24.7 540.0 60.0 0.0 600 1,423.1

자료: 정민국·이용건·최진용. 2021. 『축산업의 환경 영향 분석과 정책과제』(발간 예정), 한국농촌경제연구원.

∙ 한우 거세우 비육기간 단축(2개월)으로 마리당 분뇨배출량은 961.1kg 감소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온실가스 배출량은 메탄은 8.1kg CH4, 아산화질소는 0.2kg N2O 감소하였 다. 지구온난화지수1)를 이용해 이산화탄소(CO2)로 환산한 마리당 온실가스 배출량은 237.3kg CO2eq. 감소하였다. 악취 유발 물질인 암모니아(NH3) 배출은 2.7kg NH3 감소 하여 환경부담 완화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1) 지구온난화지수(Global Warming Pote)는 CO2 1kg과 비교해 어떤 온실기체 1kg의 가열 효과가 어느 정도 인가를 평가하는 척도임. 지구온난화지수에서 100년을 기준으로 CO2를 1로 볼 때 CH4가 21, N2O가 310이 므로 이를 이용해 이산화탄소 단위로 환산된 온실가스 배출량을 집계할 수 있음(네이버 지식백과, 지식경제용어 사전).

제5장 탄소중립시대, 축산업 발전 방향 _157

[ 표 5-20 ] 한우 거세우 출생부터 출하 시까지 분뇨, 온실가스, 암모니아 배출량 산출 결과

구분

분뇨배출량 온실가스 배출량

악취 물질

장내발효 가축분뇨처리

(kg/두)

(kg/두)

합계 (kg/두)

메탄 (kg CH4/두)

메탄 (kg CH4/두)

아산화질소 (kg N2O/두)

암모니아 (kg NH3/두)

비육 단계 구분

송아지 399.5 213.4 612.9 6.4 0.1 0.2 2.5

육성기 1,517.0 1,080.9 2,597.9 24.4 0.5 0.6 10.0 비육전기 2,303.0 2,110.5 4,413.5 37.1 0.8 1.0 9.4 비육후기

(28개월령 출하) 1,891.6 1,733.4 3,625.0 30.4 0.6 0.8 9.0 비육후기

(30개월령 출하) 2,393.1 2,193.0 4,586.1 38.5 0.8 1.0 11.7 전 사육기간 합계

(28개월령 출하)(A) 6,111.1 5,138.1 11,249.3 98.4 2.1 2.5 31.0 전 사육기간 합계

(30개월령 출하)(B) 6,612.7 5,597.7 12,210.4 106.4 2.3 2.7 33.6 감축(B-A) 501.5 459.6 961.1 8.1 0.2 0.2 2.7 자료: 정민국·이용건·최진용. 2021. 『축산업의 환경 영향 분석과 정책과제』(발간 예정), 한국농촌경제연구원.

∙ 축산물품질평가원의 2020년 한우 월령별 등급 출현율과 한우 거세우 경락가격을 이용 해 출하(도축) 월령별 기대수익을 산출하였다. 한우 거세우 비육기간을 단축해 28개월 령에 출하할 경우의 기대수익은 육질등급 하락과 도체중 감소로 33만 원 감소하는 것으 로 분석되었다.

∙ 한우 거세우 비육기간 단축의 경우 사료비가 22만 원 절감되나, 축산물 판매수익이 33 만 원 감소하여, 경제적 효과는 11만 원 손실이 발생하였다. 한편 비육기간 단축에 의한 온실가스 배출 감소 등 환경부담 완화 효과는 마리당 237kg CO2eq.인 것으로 분석되었 다. 사료비가 상승하고 있다는 점을 고려했을 때, 경제적 손실은 줄어들 여지가 있지만 현재 등급별 가격 수준에서는, 28개월령의 육질등급 및 도체중 향상이 필요하다.

[ 표 5-21 ] 한우 비육기간 단축의 경제 효과와 환경 효과(마리당 효과)

환경부담 저감 방안

경제적 효과 환경 부담 완화 효과

사료비 절감 (원/마리)

축산물 판매수익 변화

(원/마리)

합계 (원/마리)

가축분뇨 배출 감소 (kg/마리)

온실가스 배출 감소 (kg CO2eq./마리)

축산 악취 물질 배출 감소 (kg NH3/마리) 한우 거세우 비육기간 단축

(28개월령 출하(2개월 단축)) 224,953 -332,676 -107,723 961.1 237.3 2.7 자료: 정민국·이용건·최진용. 2021. 『축산업의 환경 영향 분석과 정책과제』(발간 예정), 한국농촌경제연구원.

158_ 제2부 2022년 농정 현안

문서에서 Ⅰ 농업.농촌, 새 희망을 보다 (페이지 165-16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