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농업교역조건 동향과 전망 1. 농업구입가격 동향과 전망

문서에서 Ⅰ 농업.농촌, 새 희망을 보다 (페이지 38-42)

농가경제 동향과 전망

3.1. 농업교역조건 동향과 전망 1. 농업구입가격 동향과 전망

제1장 2022년 농업 및 농가경제 동향과 전망 _27

28_ 제1부 농정 방향과 한국 농업 미래

- (노임・임차) 노임과 임차료는 각각 전년 대비 4.7%, 1.2% 상승할 전망이다.

- (사료와 가축구입비) 사료비는 전년 대비 1.7% 상승하나, 가축구입비는 9.6% 하락할 전망이다.

∙ (중장기 전망) 국제유가의 지속적인 상승이 예상되어 영농광열비는 연평균 3.5% 상승 하고 2031년 투입재 가격지수는 124.0으로 전망된다. 노임・임차료는 각각 연평균 1.7%, 0.8% 상승할 것으로 전망된다. 가축구입비는 현재와 비슷한 수준을 유지할 것으 로 전망되며, 사료 가격은 2026년까지 다소 감소하나, 이후 점차 상승하여 사료가격 지 수는 114.8 수준에 이를 것으로 전망된다.

[ 표 1-19 ] 농업구입가격지수 동향과 전망 (2015=100)1) 구 분 2001 2020 20212)

(추정)

전망 연평균 변화율(%)

2022 2026 2031 20/01 21/20 22/21 31/21 농업구입가격지수1) 63.7 105.4 112.4 114.1 119.0 126.8 2.7 6.7 1.5 1.2

투입재 66.0 100.2 103.8 106.3 114.5 124.0 2.2 3.6 2.4 1.8 경상재 67.0 98.7 103.6 106.5 116.4 125.9 2.1 5.0 2.8 2.0 종자・종묘 69.3 115.9 117.0 118.1 121.9 126.4 2.7 1.0 0.9 0.8 비료 45.9 77.9 80.4 86.4 97.9 108.5 2.8 3.2 7.4 3.1 농약 69.4 118.9 120.6 122.3 124.9 128.4 2.9 1.4 1.4 0.6 영농광열 67.9 87.1 99.4 100.8 122.6 139.7 1.3 14.1 1.4 3.5 영농자재 63.8 102.6 109.2 112.5 120.3 130.1 2.5 6.5 2.9 1.8 농기구 65.9 104.3 104.3 105.8 109.4 119.1 2.4 0.0 1.5 1.3 노임 50.7 124.2 134.6 140.9 152.0 158.8 4.8 8.4 4.7 1.7 임차료 75.2 112.4 114.6 116.0 118.3 123.6 2.1 2.0 1.2 0.8 사료 - 102.1 111.5 113.3 110.3 114.8 - 9.2 1.7 0.3 가축구입 - 129.6 143.0 129.2 127.5 143.1 - 10.4 -9.6 0.0 주 1) 농업구입가격지수는 가계용품을 제외한 농업용품 관련 비용(재료비, 노무비, 경비, 자산구입비)만 고

려함.

2) 2021년은 1~3분기의 통계치를 이용한 추정치임.

자료: 통계청, 「농가판매및구입가격조사」, 한국농촌경제연구원 KASMO(Korea Agricultural Simulation Model)

제1장 2022년 농업 및 농가경제 동향과 전망 _29

3.1.2. 농가판매가격 동향과 전망

∙ 2021년 농가판매가격지수는 농축산물 가격이 전반적으로 상승하여 전년대비 8.6% 상 승한 것으로 추정된다.

- (곡물) 20/21년산 곡물 생산량 감소로 가격이 상승하여 곡물 농가판매가격지수는 전년 대비 7.2% 높은 136.7로 추정된다.

- (청과) 양념 채소, 과수(배, 포도, 복숭아) 가격 상승으로 청과물 농가판매가격지수는 전년 대비 5.0% 상승한 140.3로 추정된다.

- (축산물) 육류 수요 증가 및 가금류 생산량 감소로 축산물 농가판매가격지수는 전년 대비 13.2% 상승한 115.2로 추정된다.

∙ (2022년 전망) 2022년 농가판매가격지수는 전년 대비 5.2% 하락할 전망이다.

- (곡물) 쌀 수요 감소에 따른 쌀 가격 하락 영향으로 5.9% 하락할 것으로 전망된다.

- (청과) 채소는 근채류, 과채류 가격이 상승하나 조미채소, 엽채류 가격 하락 폭이 더 커 전년 대비 0.2% 하락하고, 과실은 생산량 증가에 따른 가격 하락으로 전년 대비 1.5%

하락하여 청과물 농가판매가격지수는 0.8% 하락할 전망이다.

- (축산물) 한육우, 돼지, 닭 등 전반적인 육류 생산량 증가에 따른 가격 하락 영향으로 전년 대비 13.0% 하락할 전망이다.

∙ (중장기 전망) 2021년 대비 2031년 농산물 농가판매가격지수는 연평균 0.4% 상승할 것 으로 전망된다. 곡물과 축산물 판매가격지수는 각각 연평균 1.0%, 0.2% 하락하나, 청과 물 판매가격지수는 연평균 1.5% 상승할 전망이다. 하지만 2020년 대비 2031년 곡물 농 가판매가격지수는 비슷한 수준이며 청과물, 축산물 농가판매가격지수는 각각 연평균 1.8%, 1.0% 상승할 전망이다.

30_ 제1부 농정 방향과 한국 농업 미래

[ 표 1-20 ] 농가판매가격지수 동향과 전망 (2015=100) 구 분 2001 2020 2021

(추정)

전망 연평균 변화율(%)

2022 2026 2031 20/01 21/20 22/21 31/21 전체 농산물 76.5 117.0 127.1 120.4 121.3 131.8 2.3 8.6 -5.2 0.4 곡물 100.2 127.5 136.7 128.6 124.3 123.5 1.3 7.2 -5.9 -1.0 청과물 71.4 133.6 140.3 139.2 148.6 162.8 3.4 5.0 -0.8 1.5

채소 85.9 118.6 125.0 124.8 133.8 142.8 1.7 5.4 -0.2 1.3 과수 53.1 158.5 165.3 162.8 173.0 195.1 5.9 4.3 -1.5 1.7 축산물 65.6 101.8 115.2 100.3 98.6 113.1 2.3 13.2 -13.0 -0.2 기타 농산물 64.8 102.2 112.2 121.5 117.3 123.3 2.4 9.8 8.2 0.9 자료: 통계청, 「농가판매및구입가격조사」, 한국농촌경제연구원 KASMO(Korea Agricultural Simulation Model)

3.1.3. 농업교역조건 동향과 전망

∙ 2021년 가계용품을 제외한 농업구입가격지수는 전년대비 6.7% 상승하나 농가판매가 격지수는 8.6% 상승하여 농업교역조건지수는 1.8% 개선된 것으로 추정된다.

∙ (2022년 전망) 농업구입가격지수는 원자재 가격 상승에 따른 비료비, 영농자재비 등의 상승으로 전년 대비 1.5% 상승하고, 농가판매가격지수는 전년 대비 5.2% 하락하여 농 업교역조건지수는 전년 대비 6.6% 악화될 전망이다.

∙ (중장기 전망) 사료를 포함한 투입재 가격 상승으로 농업구입가격지수는 연평균 1.2%

상승하고, 농가판매가격지수는 연평균 0.4% 상승하여 농업교역조건은 연평균 0.8% 수 준 악화될 전망이다.

[ 표 1-21 ] 농업교역조건(패리티지수) 동향과 전망 (2015=100) 구 분 2001 2020 2021

(추정)

전망 연평균 변화율(%)

2022 2026 2031 20/01 21/20 22/21 31/21 농가판매가격지수(A) 76.5 117.0 127.1 120.4 121.3 131.8 2.3 8.6 -5.2 0.4 농업구입가격지수1)(B) 63.7 105.4 112.4 114.1 119.0 126.8 2.7 6.7 1.5 1.2

농업교역조건지수2)

(A/B×100) 120.0 111.1 113.0 105.5 102.0 104.0 -0.4 1.8 -6.6 -0.8 주 1) 농업구입가격지수는 가계용품을 제외한 농업용품 관련 비용(재료비, 노무비, 경비, 자산구입비)만 고려함.

2) 농업교역조건지수는 농업구입가격지수 대비 농가판매가격지수로 산출되는 농업부문 패리티지수임.

자료: 통계청, 「농가판매및구입가격조사」, 한국농촌경제연구원 KASMO(Korea Agricultural Simulation Model)

제1장 2022년 농업 및 농가경제 동향과 전망 _31

3.2. 농업경영비 동향과 전망

문서에서 Ⅰ 농업.농촌, 새 희망을 보다 (페이지 38-4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