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농업 총량 동향과 전망 1. 농업생산액 동향과 전망

문서에서 Ⅰ 농업.농촌, 새 희망을 보다 (페이지 34-38)

∙ 2021년 농업생산액은 전년 대비 7.8% 증가한 54조 420억 원으로 추정된다. 재배업 생 산액은 전년 대비 2.7% 증가한 30조 5,640억 원, 축잠업은 15.3% 증가한 23조 4,780억 원으로 추정된다.

- (재배업) 식량작물 생산액은 쌀 생산량 증가폭과 하락폭이 비슷하여 전년과 유사한 10조 4,890억 원으로 추정된다. 채소 생산액은 양파의 생산량이 증가하고 마늘, 대파 등의 작황 부진에 따른 가격 상승으로 전년 대비 3.9% 증가한 11조 6,780억 원으로 추 정된다. 과실 생산액은 사과, 배, 포도 등 재배면적 증가 및 단수 증가에 따른 생산량 증 가로 전년 대비 8.7% 증가한 4조 9,630억 원으로 추정된다.

- (축잠업) 한육우와 돼지 생산액은 도축량 증가와 코로나 특수로 인한 가격 상승으로 각각 전년 대비 10.3%, 12.3% 증가한 것으로 추정된다. 닭, 계란, 오리는 고병원성 조 류 인플루엔자 발생에 따른 생산량 감소 및 가격 상승으로 생산액은 각각 전년 대비 24.8%, 52.6%, 35.8% 증가한 것으로 추정된다. 우유생산액은 젖소 마리당 원유 생산 량 감소로 전년 대비 1.7% 감소한 것으로 추정된다.

∙ 2022년 농업생산액은 전년 대비 3.2% 감소하였지만 2020년 대비 4.3% 증가한 52조 2,930억 원으로 전망된다. 재배업은 전년 대비 0.6% 감소한 30조 3,760억 원, 축잠업은 6.6% 감소한 21조 9,170억 원으로 전망된다.

- (재배업) 식량작물 생산액은 쌀 생산량 증가폭과 하락폭이 비슷하여 전년과 유사한 10조 4,720억 원으로 전망된다. 채소 생산액은 무 재배면적 감소로 인한 생산량 감소 와 양념 채소류 생산성 회복 및 가격 하락으로 전년 대비 2.1% 감소한 11조 4,350억 원으로 전망된다. 과실 생산액은 사과, 포도, 복숭아 등 주요 품목의 생산성 회복과 가 격 하락으로 전년 대비 3.7% 감소한 4조 7,770억 원으로 전망된다.

- (축잠업) 한육우와 돼지 생산액은 도축량 증가에 따른 공급의 증가로 가격이 하락하 여 각각 전년 대비 6.6%, 6.6% 감소할 것으로 전망된다. 닭 및 계란 생산액은 생산량 회복에 따른 가격 안정화로 각각 전년 대비 2.0%, 20.2% 감소할 전망이다. 오리는 가 격이 하락하나 생산량 증가폭이 커, 생산액은 전년 대비 2.7% 증가할 전망이다.

24_ 제1부 농정 방향과 한국 농업 미래

∙ (중장기 전망) 농업생산액은 중장기적으로 연평균 0.7%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재배 업 생산액은 연평균 0.4% 증가하고, 축잠업 생산액은 연평균 1.1% 증가할 것으로 전망 된다.

- (재배업) 식량작물 생산액은 재배면적 감소와 수요 감소에 따른 가격 하락 영향으로 연평균 1.1% 감소하나 채소, 과실, 특용・약용 작물 등의 생산액은 증가하여 2031년 재배업 생산액은 연평균 0.4% 증가한 31조 7,010억 원에 이를 것으로 전망된다.

- (축잠업) 축잠업 생산액은 국내 육류 소비 증가와 가격 상승으로 연평균 1.1% 증가하 여 2031년 26조 2,230억 원에 이를 것으로 전망된다.

[ 표 1-16 ] 농업 부문 생산액(명목) 동향과 전망

단위: 십억 원, % 구 분 2001 2020 2021

(추정)

전망 연평균 변화율(%)

2022 2026 2031 20/01 21/20 22/21 31/21 농업 총생산액 32,383 50,135 54,042 52,293 53,171 57,924 2.3 7.8 -3.2 0.7

재배업 24,071 29,769 30,564 30,376 30,624 31,701 1.1 2.7 -0.6 0.4 식량작물 11,745 10,481 10,489 10,472 9,772 9,359 -0.6 0.1 -0.2 -1.1 채소 7,209 11,244 11,678 11,435 11,990 12,767 2.4 3.9 -2.1 0.9 과실 2,077 4,567 4,963 4,777 5,010 5,404 4.2 8.7 -3.7 0.9 특용・약용작물 660 1,378 1,488 1,586 1,629 1,773 4.0 8.0 6.6 1.8 축잠업 8,312 20,366 23,478 21,917 22,547 26,223 4.8 15.3 -6.6 1.1 한육우 1,700 5,992 6,609 6,176 6,067 8,266 6.9 10.3 -6.6 2.3 돼지 2,692 7,178 8,064 7,535 7,948 8,486 5.3 12.3 -6.6 0.5 863 2,027 2,530 2,479 2,753 3,188 4.6 24.8 -2.0 2.3 계란 828 1,634 2,494 1,991 2,224 2,453 3.6 52.6 -20.2 -0.2 우유 1,429 2,196 2,158 2,099 2,137 2,270 2.3 -1.7 -2.7 0.5 오리 382 813 1,105 1,135 927 1,024 4.1 35.8 2.7 -0.8 기타 418 526 518 503 491 535 1.2 -1.4 -3.0 0.3 자료: 농림축산식품부(「농림축산식품 주요통계」 각 년도), 한국농촌경제연구원 KASMO(Korea Agricultural

Simulation Model)

제1장 2022년 농업 및 농가경제 동향과 전망 _25

[ 표 1-17 ] 농업생산액(명목) 상위 10개 품목 변화

단위: 억 원, %

순위 2020 2021(추정) 2022(전망) 2031(전망)

품목 생산액 비중 품목 생산액 비중 품목 생산액 비중 품목 생산액 비중

1 84,487 16.9 84,759 15.7 84,941 16.2 돼지 84,858 14.6 2 돼지 71,775 14.3 돼지 80,636 14.9 돼지 75,345 14.4 한육우 82,663 14.3 3 한육우 59,922 12.0 한육우 66,091 12.2 한육우 61,757 11.8 72,121 12.5 4 우유 21,960 4.4 육계 25,302 4.7 육계 24,786 4.7 육계 31,876 5.5 5 육계 20,270 4.0 계란 24,936 4.6 우유 20,995 4.0 계란 24,533 4.2 6 계란 16,338 3.3 우유 21,578 4.0 계란 19,906 3.8 우유 22,704 3.9 7 딸기 12,270 2.4 13,086 2.4 마늘 12,400 2.4 딸기 18,167 3.1 8 사과 11,004 2.2 마늘 12,785 2.4 딸기 12,056 2.3 양파 14,427 2.5 9 감귤 9,896 2.0 사과 12,144 2.2 양파 11,634 2.2 마늘 12,755 2.2 10 양파 9,431 1.9 오리 11,049 2.0 오리 11,348 2.2 사과 11,253 1.9 자료: 농림축산식품부(「농림축산식품 주요통계」 각 년도), 한국농촌경제연구원 KASMO(Korea Agricultural

Simulation Model)

∙ (상위 품목 변화 전망) 2021년과 2022년 생산액 상위 3개 품목의 순위는 2020년과 동일 할 것으로 추정된다. 2021년에는 계란 가격 상승으로 생산액 상위 5개 품목에 계란이 새 롭게 올라설 것으로 추정되며, 2022년에는 계란 가격 안정화로 다시 상위 5위권 밖으로 벗어날 것으로 전망된다. 중장기적으로 육류 수요가 증가하여 돼지가 1위, 한육우가 2 위로 올라설 것으로 전망된다.

2.4.2. 농업 부가가치 동향과 전망

∙ 2021년 농업 부가가치는 전년 대비 7.0% 증가한 31조 8,350억 원으로 추정된다.

- (재배업) 비료비, 농약비 등 중간재비는 증가하나 판매가격 상승에 따른 생산액 증가 폭이 더 커 부가가치는 전년 대비 2.6% 증가한 24조 1,380억 원으로 추정된다.

- (축산업) 사료비, 가축구입비 등 중간재비는 증가하나 가격 상승에 따른 생산액 증가 폭이 더 커 부가가치는 전년 대비 24.0% 증가한 7조 6,970억 원으로 추정된다.

∙ (2022년 전망) 농업생산액은 하락하는 반면, 중간재비는 증가하여 농업부문 부가가치 는 전년 대비 5.5% 감소(2020년 대비 1.2% 증가)한 30조 920억 원으로 전망된다.

26_ 제1부 농정 방향과 한국 농업 미래

- (재배업) 생산액이 감소하고, 원자재 가격 상승에 따른 비료비, 농약비 증가 등으로 부가가치는 전년 대비 1.2% 감소한 23조 8,440억 원으로 전망된다.

- (축산업) 가축구입가격이 9.6% 하락하나 생산액 감소폭이 더 커 부가가치는 전년 대 비 18.8% 감소한 6조 2,480억 원으로 전망된다.

∙ (중장기 전망) 농업부문 부가가치는 중장기적으로 연평균 0.4% 증가하여 2031년에는 33조 50억 원으로 전망된다.

- (재배업) 중간재비가 증가하나 생산액이 상대적으로 크게 증가하여 부가가치는 연평 균 0.4%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 (축산업) 사료비를 포함한 중간재비가 증가하나 생산액이 상대적으로 크게 증가하여 부가가치는 연평균 0.3%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 2021년 농업부문 부가가치율은 58.9%로 추정되며, 생산액 감소 대비 부가가치 감소폭 이 커 2022년 부가가치율은 소폭 감소할 것으로 전망된다. 2023년 부가가치 증가로 부 가가치율은 일시적으로 증가하나, 이후 생산액 증가폭 대비 부가가치 증가폭이 작아 부 가가치율은 점점 감소하여, 2031년에는 57.0% 수준으로 전망된다.

- 2031년 재배업 부가가치율은 2021년과 비슷한 수준을 유지할 것으로 전망되나, 축산 업 부가가치율은 연평균 0.3%p 감소하여 2031년 30.1%가 될 것으로 전망된다.

[ 표 1-18 ] 농업 부가가치1) 동향과 전망

단위: 십억 원, % 구 분 2001 2020 2021

(추정)

전망 연평균 변화율(%)

2022 2026 2031 20/01 21/20 22/21 31/21 농업 20,526 29,744 31,835 30,092 31,089 33,005 2.0 7.0 -5.5 0.4

(63.4)2) (59.3) (58.9) (57.5) (58.5) (57.0) -0.2%p -0.4%p -1.4%p -0.2%p 재배업 17,994 23,536 24,138 23,844 24,371 25,100 1.4 2.6 -1.2 0.4

(74.8) (79.1) (79.0) (78.5) (79.6) (79.2) 0.2%p -0.1%p -0.5%p 0.0%p 축산업 2,533 6,208 7,697 6,248 6,718 7,905 4.8 24.0 -18.8 0.3

(30.5) (30.5) (32.8) (28.5) (29.8) (30.1) 0.0%p 2.3%p -4.3%p -0.3%p 주 1) 부가가치는 명목 기준이며, 부대서비스는 제외됨.

2) ( )는 부가가치율을 의미함.

자료: 한국은행, 한국농촌경제연구원 KASMO(Korea Agricultural Simulation Model)

제1장 2022년 농업 및 농가경제 동향과 전망 _27

문서에서 Ⅰ 농업.농촌, 새 희망을 보다 (페이지 34-3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