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농업·농촌 부문 에너지 이용현황

문서에서 Ⅰ 농업.농촌, 새 희망을 보다 (페이지 188-193)

제6장 탄소중립 대응 농업·농촌 에너지전환 방향모색 _177

178_ 제2부 2022년 농정 현안

2.2. 농업·농촌 및 1차 가공 제조업의 에너지소비량 2.2.1. 농업 부문 에너지소비량

3)

∙ 농림어업부문의 에너지 소비량은 3,320천toe 수준이고 우리나라 전체 에너지 소비량 중에서 1.5% 정도 수준으로 나타났다.

- 최근까지도 석유류 소비 비중이 60% 이상으로 대부분을 차지하나, 전력 사용 비중이 최근 약 40% 수준으로 2010년대 이후 크게 증가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

∙ 농림업부문 에너지소비량은 2,333천toe 로 국가전체 소비량의 1% 수준이다.

- 농업 기계용 비중이 47%로 가장 많고, 장비·설비가 40%, 건물용이 13% 수준이다.

[ 표 6-8 ] 농림어업부문 에너지원별 소비

단위: 천toe, %

에너지원 1992년 2001년 2010년 2013년 2016년

연탄 163.6

(6.3) 106.9

(2.4) 185.7

(5.4) 183.9

(5.3) 81.0

(2.4)

석유 1,936.5

(85.4) 3,854.5

(85.9) 2,351.3

(68.5) 2,231.2

(64.0) 1,974.3 (59.5)

전력 182.7

(8.1) 524.7

(11.7) 894.1

(26.0) 1,067.5

(30.6) 1,262.4 (38.0)

합계 2,268.4

(100.0) 4,487.3

(100.0) 3,433.8

(100.0) 3,484.6

(100.0) 3,320.1 (100.0) 자료: 에너지경제연구원·한국에너지공단(2018).

[ 표 6-9 ] 농림업 용도별 에너지소비 및 소비량 비중

단위: 천toe, %

구 분 2010년 2013년 2016년

소비량 비중 소비량 비중 소비량 비중

농업기계용 1,337.9 55.5 1,309.0 52.4 1,086.8 46.6

건물용 212.7 8.8 256.2 10.3 311.4 13.3

장비·설비 858.4 35.6 931.6 37.3 934.7 40.1

합계 2,409.0 100.0 2,496.8 100.0 2,333.0 100.0

국가전체 183,912 1.31) 200,347 1.21) 215,419 1.11) 주 1) 국가전체 에너지소비량 중 농림업부문 에너지 소비량 비중임.

자료: 에너지경제연구원·한국에너지공단(2018).

3) 에너지 총조사는 3년 주기로 발표되며, 최근 자료는 2016년 현황 자료(2018년 발표)이다. 2019년 자료는 2022년 발간 예정이다.

제6장 탄소중립 대응 농업·농촌 에너지전환 방향모색 _179

[ 표 6-10 ] 농림업 용도별 에너지원별 소비

단위: kcal

농업기계용 건물용 장비 및 설비 합계

연탄 - - 809,655.8 809,655.8

석유소계 7,052,168.7 862,227.1 2,765,619.0 10,680,014.8

휘발유 766,594.0 - 3,903.1 770,497.1

등유 1,496,796.4 88,983.2 1,938,065.2 3,523,844.8

경유 4,787,275.9 770,510.7 578,235.6 6,136,022.2

경질중유 - 1,490.1 50,023.9 51,514.0

중유 - - 126,590.2 126,590.2

중질중유 - - 57,645.9 57,645.9

프로판 1,502.3 1,243.2 11,155.0 13,900.6

부탄 - - -

-도시가스 - - 8,081.4 24,870.1

전력 3,816,280.2 2,235,164. 5,763,692.6 11,815,136.9 합계 10,868,448.9 3,114,179.9 9,347,048.8 23,329,677.5 자료: 에너지경제연구원·한국에너지공단(2018).-에너지 총조사.

2.2.2. 농촌 부문 에너지소비량 추정

∙ 농촌 가구의 에너지소비량은 도시 가구 대비 28% 수준으로 추정된다.

- 탄소 배출량이 많은 연탄과 등유와 프로판/부탄 등의 소비량이 도시 가구 대비 2배 이 상 많아, 농촌지역 난방 등 열에너지 공급에 대한 인프라 구축 방안 마련이 필요하다.

- 그러나 신재생에너지 설치 비중이 도시지역보다 매우 높아 신재생에너지 소비량은 도시 가구보다 3.5배 이상 많은 상황이다.

[ 표 6-11 ] 가구별 에너지소비량(Tcal, 열량 환산)

전국 도시가구(A) 농촌가구(B) 농촌가구 상대소비

합계 207,798 162,818 44,981 27.6%

연탄 4,173 930 3,243 348.9%

등유 16,959 5,654 11,306 200.0%

프로판/부탄 5,317 1,520 3,797 249.9%

도시가스 105,971 93,465 12,506 13.4%

전력 55,551 42,319 13,232 31.3%

열에너지 18,703 18,690 13 0.1%

신재생 1,125 241 884 367.0%

주 1) 에너지소비량 및 표본 가구당 에너지소비: 산업통상자원부 「2017년도 에너지총조사보고서」(2016년 기준) 중 지역별 에너지소비량 및 가구원수별 표본가구당 에너지소비,(도시=시지역, 농촌=군지역)

2) 농가 가구 수: 통계청 「농업조사」, 읍면동 가구 수: 통계청 「인구총조사」

180_ 제2부 2022년 농정 현안

2.2.3. 농축산부문 1차 가공 제조업의 에너지소비량

∙ 우리나라 식료품제조업 중 도축·육류가공저장처리업, 과실·채소 가공 및 저장 처리업 과 곡물 도정업을 포함하는 곡물가공품 제조업 등 농축산물 관련 제조업의 최근 평년 에너지소비량은 603천toe로, 곡물가공·전분제품 제조업이 329천toe로 가장 많고, 도 축·육류가공저장처리업 216천toe, 과실채소 가공 저정처리업이 69천toe로 나타났다.

- 이중, 곡물 도정, 과일과 채소의 신선처리 및 도축 등 1차 가공업은 146.3천 toe로 전 체 농축산관련 식품제조업 소비량의 24% 수준이다.

ㆍ육류 및 가금류 도축업은 99.4천toe로 전체 도축·육류가공저장처리업 소비량의 46% 수준이다.

ㆍ과실·채소 가공 및 저장처리업(APC)은 28.3천toe로 김치를 포함한 과실·채소 가공 처리업 소비량의 41% 수준이다.

ㆍ곡물도정업(RPC)는 19.2천toe로 곡물제분업을 포함하는 곡물가공전분제품제조 업 소비량의 5.8% 수준이다.

[ 표 6-12 ] 농축산 가공 제조업의 에너지소비량

단위: 천toe 합계 도축·육류가공저장처리 과실·채소 가공

저장처리 곡물가공·전분, 제품제조

전체 1차 % 소계 도축 % 소계 APC % 소계 RPC %

2015 570.4 131.0 23.0 185.0 89.9 48.6 51.1 21.6 42.3 334.3 19.4 5.8 2016 621.1 152.8 24.6 238.2 108.9 45.7 66.1 25.9 39.2 316.8 18.0 5.7 2017 611.2 124.3 20.3 209.8 82.6 39.4 64.8 22.8 35.1 336.6 18.9 5.6 2018 707.5 155.0 21.9 232.5 99.4 42.8 118.0 36.2 30.7 357.0 19.4 5.4 2019 575.4 274.7 47.7 206.3 205.8 99.8 75.8 44.0 58.1 293.3 24.9 8.5 평년 602.6 146.3 24.3 216.2 99.4 46.0 68.9 28.3 41.1 329.2 19.2 5.8 주: 평년은 최근 5개년의 최대, 최소를 제외한 평균임.

자료: 한국에너지공단, 내부자료.

제6장 탄소중립 대응 농업·농촌 에너지전환 방향모색 _181

2.3. 농업 부문 에너지소비량 산정의 한계

∙ 국내 농업 부문 에너지 사용량을 산정을 위해 농업 관련 국가승인통계들을 분석한 결 과, 에너지원별·품목별·농기계별·사용 용도별 에너지 사용량을 계측할 수 있는 자료는 존재하지 않는 실정이다.

∙ 기존 국가 승인통계, 면세유 공급량 통계, 농산물 소득자료집, 농산물 생산비 조사 등의 목적이 에너지소비량 및 온실가스배출량 통계를 산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기 때문에 에 너지소비량 및 온실가스배출량 통계산정에는 한계가 있다.

[ 표 6-13 ] 국내 농업부문 에너지 관련 국가승인통계 현황

활동자료 에너지 사용량

에너지원별 품목별 농기계별 농작업별

면세유 공급량 통계 X 1) X

농산물 소득자료 1) X X

한국전력통계 ○(전기) X X X

농산물 생산비조사 1) X X

축산물 생산비조사 1) X X

시설채소 온실 현황 및

생산실적 1)

(시설용 고정형 기계만 포함) X

화훼류 재배현황 1) △(고정형)

에너지 총조사 X 3) X

석유류 수급통계 X X X

농기계 보유현황 X X X

농기계 이용 실태조사2) X

(논, 밭으로 구분)

(시설용 고정형 기계 제외) 주 1) 원자료 분석을 통해서만 분석 가능함.

2) 농기계 이용 실태조사는 에너지 사용량보다는 농기계별, 농작업별 이용시간에 관한 자료를 제공함.

3) 2019년 에너지 총조사에서만 가능함.

자료: 저자 작성

182_ 제2부 2022년 농정 현안

문서에서 Ⅰ 농업.농촌, 새 희망을 보다 (페이지 188-19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