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향후 개설하고자하는 직종

문서에서 2001. 8 (페이지 146-153)

나. 여성 직업교육훈련에 대한 의견

7) 향후 개설하고자하는 직종

향후 개설하고자하는 직종을 알아 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제조업부분에서 의 정밀광학분야에서는 무선설비, 통신이론을 개설하고자 하고, 컴퓨터분야 에서는 웹디자인, PC정비사, 애니메이션 제작 등, 의약분야에서는 수지침, 단 전호흡, 환경분야에서는 유기농 재배, 재활용에 관한 프로그램 연구, 천연염 색을 향후 개설하고자 하는 직종이라고 조사되었다.

서비스부분에서 지식서비스 분야인 영상음반분야에서는 노래교실, 멀티미 디어 전문가, 출판분야에서는 인쇄마케팅, 전자출판, 컴퓨터그래픽, 관광분야 에서는 관광 플래너, 관광상품개발교실, 민예품개발, 관광안내전문가, 관광통역 안내원, 의료서비스분야에서는 간병인, 건강상담 컨설턴트, 전문 발 관리사, 캐 어복지사, 호스피스, 대체의학, 디자인분야에서 다기능기술자, 산업디자인, 헤어 디자인, 경영컨설팅분야에서는 부동산 경매, 공매전문가 과정, 웹마스터 등, 광고분야에서는 광고 모니터링, 카피라이터, 모니터 요원 등, 정보통신서비스 분야에서는 E-비즈니스 전문가, 인터넷 검색, 웹프로그래머 과정, 소프트웨어 분야에서는 시각디자인 컴퓨터 그래픽, 프로그램 개발 등, 방송서비스분야에 서는 만화 프로그램 개발, 데이터베이스분야에서는 데이터 통신 등이 조사되 었다.

기타분야에서는 그룹 요리 지도 강사 양성반, 미용실, 의류수선, 이바지 음 식, 조리과정, 제과 제빵 창업 등이 개설하고자 하는 직종이다.

<표 Ⅴ-30> 향후 개설하고자하는 직종

대분류 중분류 소분류

제조업

기계산업(1)

정밀광학(1), 통신기기(2), 컴퓨터(23), 생물(1), 의약(1), 환경(4) 전자정보(25)

생물의약(6) 소재화학(0)

서비스업

지식서비스(53) 영상음반(3),출판(4), 관광(15), 의료서비스(19), 교육서비스(12), 디자인(7), 엔지니어링(1), 경영컨설팅(7),광고(4), 정보통신서비스(14), 소프트웨어(9),

방송서비스(1), 데이터베이스(6) 제조업지원(19)

정보서비스(30)

기타 창업등(11) 창업(11)

향후, 개설하고자 하는 분야를 지식기반사회의 도래와 함께 적합한 직종과 비교해 볼 때, 약간의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다. 예컨대 향후 개설분야에서 는 지식서비스 분야가 가장 많고, 다음이 정보서비스 분양이다. 특히 의료서 비스분야가 정보통신서비스 분야 보다 더 많음을 알 수 있다. 그러나 창업의 경우는 지식기반사회에 적합 직종과 향후 개설분야가 매우 유사하게 나타나 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가) 지식기반사회에 적합한 분야 신설 의도

지식기반사회에 적합한 분야를 새롭게 신설하여 운영 할 예정에 대하여 물어본 결과 운영한다 답변한 기관들이 65.5%, 운영하지 않는다 34.5%로 나타나고 있다.

<표 Ⅴ-31> 지식기반사회에 적합한 분야 신설 유무

구분 빈도 백분율 (%)

예 78 65.5

아니오 41 34.5

합계 119 100.0

기관유형별, 연간 교육 훈련 참여자수별, 설립연도별, 교육 훈련 과정수별

지식기반사회에 적합한 분야를 새롭게 신설하여 운영 할 예정에 대하여 물 어본 결과 운영한다 가고 한 기관들이 운영하지 않는다 보다 훨씬 높은 응답을 보여 새로운 분야에 대한 도전의식을 볼 수 있다

.

<표 Ⅴ-32> 유형별 지식기반사회에 적합 분야 신설 유무

구분 아니오 합계

유형 직업교육 28(50.9) 27(49.1) 55(100.0)

직업훈련 50(78.1) 14(21.9) 64(100.0)

규모

99이하 3 9(75.0) 12(100.0)

100-299 1 2(66.7) 3(100.0)

300-599 6 1(14.3) 7(100.0)

600-999 13 1(7.1) 14(100.0)

1000이상 36 12(25.0) 48(100.0)

나) 지식기반산업 관련 직종 개설시 당면 문제

지식기반산업 관련 교육훈련과정 혹은 직종을 개설하고자 할 때 당면하는 사회적 또는 환경적 문제에 대하여 물어 본 결과 지식 기반 사회의 직업교 육훈련에 대한 여성의 인식 부족 (35.3%)을 가장 높게 응답하였고, 교육훈 련과정의 수요 공급 현황 파악 어려움(30.8%)을 응답하였고, 기타의견으로는 재정적 미비, 우수 교원 미비, 홍보 부족으로 인한 교육생 참여 부족이라는 의견이 있다.

<표 Ⅴ-33> 사회적 또는 환경적 문제

빈도 백분율

(%) 지식기반사회의 직업교육훈련에 대한 여성의 인식 부족 55 35.3 교육 훈련 과정의 수요 공급 현황 파악 어려움 48 30.8 지식 기반 산업 직종이 무엇인지 알기 어려움 16 10.3 사회적 여건이 지식 기반 교육훈련을 받아들이기 어려움 26 16.7

여성 능력에 대한 사회적 인식 절하 2 1.3

재정적 미비 4 2.6

우수 교원 미비 3 1.9

홍보 부족으로 인한 교육성 미달 2 1.3

합계 156 100.0

기관 유형별로 사회적 또는 환경적 문제를 알아보면 직업교육기관과 직업 훈련기관 거의 비슷한 응답을 하였으나, 직업교육기관은 교육훈련과정의 수 요공급현황 파악 어려움을 가장 많이 당면하는 사회적 문제로 보고 있고, 직 업훈련기관은 지식기반사회의 직업교육훈련에 대한 여성의 인식부족을 가장 큰 문제로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러한 향후 직종 개발시 당면 하는 사회적 환경적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여성 직업교육훈련 에 대한 종합적인 수요공급 예측과 인프라 구축이 요구되어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표 Ⅴ-34> 유형별 사회적 또는 환경적 문제

구분 ① ② ③ ④ ⑤

유형 직업교육 18(25.7%) 25(35.7%) 9(12.9%) 12(17.1%) 1(1.4 %) 직업훈련 37(43.0%) 23(26.7%) 7(8.1%) 14(16.3%) 1(1.2%)

규모

99 이하 6(54.5%) 2(18.2%) 1(9.1%) 2(18.2%)

100-299 2(66.7%) 1(33.3 %)

300-599 2(25.0%) 2(25.0%) 2(25.0%) 2(25.0%) 600-999 7(38.9%) 3(16.7%) 3(16.7%) 5(27.8%) 1000이상 25(37.3%) 24(35.8%) 7(10.4 %) 7(10.4 %)

구분 ⑥ ⑦ ⑧ 합계

유형 직업교육 3(4.3%) 2(2.9%) 70(100%)

직업훈련 1(1.2%) 1(1.2%) 2(2.3 %) 86(100%)

규모

99 이하 11(100%)

100-299 3(100%)

300-599 8(100%)

600-999 18(100%)

1000이상 1(1.5%) 1(1.5%) 2(3.0%) 67(100%)

① 지식기반사회의 직업교육훈련에 대한 여성의 인식부족 ② 교육훈련과정의 수요 공급현황 파악 어려움 ③ 지식기반산업 직종이 무엇인지 알기 어려움 ④ 사회적 여 건이 지식기반 교육훈련을 받아들이기 어려움 ⑤ 여성능력에 대한 사회적 인식 절 하 ⑥ 재정적 미비 ⑦ 우수교원미비 ⑧ 홍보부족으로 인한 교육성 미달

지식기반산업 관련 교육훈련과정 혹은 직종을 개설하고자 할 때 당면하는

기관 자체의 문제에 대하여 물어 본 결과 재정적으로 교육훈련 직종변화에 대한 투자를 하기 어려움(39.6%) 을 가장 높은 것으로 응답하였고, 그 다음 이 시설 및 장비가 미비 (30.2%), 지식기반사회에 적합한 직업교육훈련을 가르칠 인력부족(21.9%) 이다. 기타의견으로는 수해자의 인식 부족 및 참여 도 저하 등이 있다.

<표 Ⅴ-35> 기관 자체의 문제

빈도 백분율

(%)

지식기반사회에 적합한 직업교육훈련을 가르칠 인력부족 37 21.9

시설 및 장비가 미비 51 30.2

지식기반 사회 교육훈련에 대한 기관장 및 교직원 인식부족 12 7.1

재정적으로 교육훈련 직종변화에 대한 투자를 하 기 어려움 67 39.6

수혜자의 인식 부족 및 참여도 저하 2 1.2

합계 169 100.0

기관 자체의 문제를 기관유형별로 보면 직업교육기관은 시설 및 장비가 갖추어지지 않음(34.6%) , 재정적으로 교육훈련 직종변화에 대한 투자를 하 기 어려움(32.1%) 을 응답하였고, 직업훈련기관은 재정적으로 교육훈련직종 변화에 대한 투자를 하기 어려움(46.6%) , 시설 및 장비가 미비 (26.1%)응답 하여 비슷하게 나타났다.

<표 Ⅴ-36> 유형별 기관 자체의 문제

구분 ① ② ③ ④ ⑤ 합계

기관 유형

직업교육 14(17.3%) 28(34.6%) 11(13.6%) 26(32.1%) 2(2.5%) 81(100%) 직업훈련 23(26.1%) 23(26.1%) 1(1.1%) 41(46.6%) 88(100%) 연간

교육 훈련 참여 자수

99 이하 2(16.7%) 5(41.7%) 1(8.3%) 4(33.3 %) 12(100%)

100-299 1(25.0%) 3(75.0%) 4(100%)

300-599 1(12.5%) 3(37.5 %) 1(12.5%) 3(37.5 %) 28(100%) 600-999 5(25.0%) 5(25.0%) 2(10.0%) 8(40.0%) 20(100%) 1000이상 16(25.0%) 17(26.6%) 1(1.6%) 30(46.9%) 64(100%)

① 지식기반사회에 적합한 직업교육훈련을 가르칠 인력부족 ② 시설 및 장비가 갖 추어지지 않음 ③ 지식기반사회 교육훈련에 대한 기관장 및 교직원 인식부족 ④ 재

정적으로 교육훈련직종변화에 대한 투자를 하기 어려움 ⑤ 수혜자의 인식부족 및 참여도 저하

이의 조사 결과에 의하면, 지식기반사회에 적합한 여성 교육훈련 직종을 개설하고자 할 경우, 가장 중요한 지원 항목이 재정적인 부문임이 나타났으 며, 이것은 여성 교육훈련의 발전을 위한 적극적인 지원이 요구되어지고 있 는 부분이기도 하다.

지식기반산업 관련 교육훈련과정 혹은 직종을 개설하고자 할 때 당면하는 과정별 혹은 직종별 문제로 대다수는 기관의 특성에 적합한 지식기반 교육 훈련 과정이 없음(50.6%) 로 하는 의견이 많았고, 사회적 여건이 지식기반 교육훈련을 받아들이기 어려움(29.9%) 을 가장 높게 응답하였다.

<표 Ⅴ-37> 과정별 혹은 직종별 문제

빈도 백분율

(%) 기관의 특성에 적합한 지식기반 교육훈련 과정이 없음 39 50.6

해당 과정 교강사의 노력 부족 7 9.1

지식기반산업 직종이 무엇인지 알기 어려움 8 10.4

사회적 여건이 지식기반 교육훈련을 받아들이기 어려움 23 29.9

합계 77 100.0

기관 유형별로는 기관의 특성에 적합한 지식기반 교육훈련 과정이 없음 에 대한 문제는 직업교육기관에서는 55.3%, 직업훈련기관에서는 46.2%로 가 장 높은 응답을 하였다.

그러나 지식기반사회에 적합한 직종과 향후 개설하고 싶은 직종에서 높은 비율을 보인 직종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이러한 응답은 각 기관의 물적 인적 자원을 고려하여 볼 때 현실적으로 이런 과정을 개설하기 어려움을 보이고 있으며, 이것은 프로그램 개발 및 운영에 대한 적극적 상담 및 자문의 필요 성을 언급하고 있다.

<표 Ⅴ-38> 유형별 과정별 혹은 직종별 문제

구분 ① ② ③ ④ 합계 유형 직업교육 21(55.3%) 3(7.9%) 5(13.2%) 9(23.7%) 38(100.0%)

직업훈련 18(46.2%) 4(10.3 %) 3(7.7%) 14(35.9%) 39(100.0%)

규모

99 이하 3(42.9%) 2(28.6%) 2(28.6%) 7(100.0%)

100-299 1(100.0%) 1(100.0%)

300-599 2(50.1%) 1(25.0%) 1(25.0%) 4(100.0%) 600-999 2(22.1%) 1(11.1%) 1(11.1%) 5(55.6%) 9(100.0%) 1000이상 17(51.5%) 3(9.1%) 3(9.1%) 10(30.3 %) 33(100.0%)

① 기관의 특성에 적합한 지식기반 교육훈련 과정이 없음 ② 해당 과정 교강사의 노력부족 ③ 지식기반 산업 직종이 무엇인지 알기 어려움 ④ 사회적 여건이 지식기반 교육훈련을 받아들이기 어려움

다) 필요한 지원 사항

지식기반산업 관련 교육훈련과정 혹은 직종을 개설하기 위해서는 시급하 게 필요한 지원사항은 다음과 같이 응답하였다.

총 113개 기관은 재정적・행정적 지원이 47.8%, 교원의 전문화 및 지속적 재교육 15.9%, 교육 환경 변화에 대한 실질적 개선 지원 9.7%로 응답하였고, 세부 지원 사항으로는 직업교육에 대한 사회인식변화, 여성 인력 수용의 제 도적 지원 및 인식 변화, 배출 인력의 적절한 활용 모색, 변화하는 환경 정 보 제공, 지역적 특성화 프로그램 및 수용인원조사 등이 필요하다고 응답하 였다.

<표 Ⅴ-39> 필요한 지원사항

빈도 백분율 (%)

재정적・행정적 지원 54 47.8%

교원의 전문화 및 지속적 재교육 18 15.9%

직업교육에 대한 사회인식변화 8 7.1%

교육 환경 변화에 대한 실질적 개선 지원 11 9.7%

여성 인력 수용의 제도적 지원 및 인식 변화 8 7.1%

배출 인력의 적절한 활용모색 7 6.2%

변화하는 환경 정보 제공 5 4.4 %

지역적 특성화 프로그램 및 수용인원조사 2 1.8%

합계 113 100.0%

이상에서 볼 때, 여성 직업교육훈련기관들은 대개 재정적 지원과 행정적 지원을 요구하고 있으며, 이러한 요구 사항은 여성 직업교육훈련 기관이 기 본적으로 교육훈련 환경이 충분히 갖추어지지 않음으로 인하여 나타나는 현 상으로 보여진다.

<표 Ⅴ-40> 유형별 필요한 지원사항

구분 ① ② ③ ④ ⑤

유형 직업교육 25(52.1%) 8(16.7%) 2(4.2%) 6(12.5%) 1(2.1%) 직업훈련 29(44.6%) 10(15.4 %) 6(9.2%) 5(7.7%) 7(10.8%)

규모

99 이하 5(50.0%) 2(20.0%) 2(20.0%)

100-299 1(50.0%) 1(50.0%)

300-599 4(50.0%) 1(12.5 %) 1(12.5%) 1(12.5%)

600-999 8(47.1%) 5(29.4 %) 4(5.9%) 1(5.9%) 1(5.9%) 1000이상 24(50.0%) 6(12.5 %) 3(6.3%) 4(8.3%) 4(8.3 %)

구분 ⑥ ⑦ ⑧ 합계

유형 직업교육 4(8.3%) 2(4.2%) 48(100%)

직업훈련 3(4.6%) 3(4.6%) 2(3.1%) 65(100%)

규모

99 이하 1(10.0%) 10(100%)

100-299 2(100%)

300-599 1(12.5%) 8(100%)

600-999 1(5.9%) 17(100%)

1000이상 3(6.3%) 2(4.2%) 2(4.2%) 48(100%)

① 재정적・행정적 지원 ② 교원의 전문화 및 지속적 재교육 ③ 직업교육에 대한 사회 인식 변화 ④ 교육환경 변화에 대한 실직적 개선 지원 ⑤ 여성인력 수용의 제도적 지원 및 인식변 화 ⑥ 배출인력의 적절한 활용 모색 ⑦ 변화하는 환경정보제공 ⑧ 지역적특성화 프로그램 및 수용인원조사

문서에서 2001. 8 (페이지 146-15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