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산업별 직종별 여성인력 수요전망 가) 산업별 전망

문서에서 2001. 8 (페이지 89-92)

보여주고 있다. 학력을 통제하더라도 여전히 관찰되는 이러한 남녀 취업의 직종상 분리는 향후 지식기반사회에서의 효율적 여성인력 활용을 위해 해결 돼야 할 중요한 과제라 할 수 있다.

<표 Ⅳ-6> 남녀 학력별 직종별 취업자 분포 (1998)

(단위:

%)

직종 전체 여자 남자

전체 중졸 고졸 대졸 전체 중졸 고졸 대졸

입법공무원 및

고위임직원 51548.0

(2.6)

2702.0 (0.3)

282.6 (0.1)

858.7 (0.3)

1560.7 (1.1)

48846.0 (4.1)

2677.8 (0.9)

16573.0 (3.0)

29595.2 (8.9)

전문가 110696.7

(5.6)

35535.5 (4.4)

60.6 (0.0)

1286.5 (0.4)

34188.4 (24.9)

75161.2 (6.3)

385.4 (0.1)

2671.5 (0.5)

72104.3 (21.6) 기술공 및

준전문가 214001.0

(10.7)

67240.9 (8.4)

1395.4 (0.4)

20841.0 (6.6)

45004.5 (32.7)

146760.1 (12.3)

5451.5 (1.8)

57302.5 (10.5)

84006.1 (25.2)

사무 직원 241776.2

(12.1)

113911.9 (14.2)

6197.9 (1.8)

76344.0 (24.3)

31370.0 (22.8)

127864.3 (10.7)

5003.4 (1.6)

51608.6 (9.5)

71252.3 (21.4) 서비스판매근로

472171.6

(23.7)

280132.6 (34.9)

127042.0 (36.1)

133646.0 (42.6)

19444.6 (14.1)

192039.0 (16.1)

42642.0 (13.7)

110563.0 (20.3)

38834.0 (11.6) 농・어업숙련

근로자 230728.6

(11.6)

107858.7 (13.4)

99713.4 (28.3)

7637.9 (2.4)

507.4 (0.4)

122869.9 (10.3)

92251.3 (29.7)

26385.2 (4.8)

4233.4 (1.3) 기능원,

기능근로자 254521.7

(12.8)

60238.1 (7.5)

38220.4 (10.9)

20934.0 (6.7)

1083.7 (0.8)

194283.6 (16.3)

59346.3 (19.1)

119114.2 (21.8)

15823.1 (4.7) 장치・기계조작

207561.2

(10.4)

27439.3 (3.4)

14550.0 (4.1)

12425.5 (4.0)

463.8 (0.3)

180121.9 (15.1)

48242.1 (15.6)

119773.3 (21.9)

12106.5 (3.6) 단순노무직근로

209623.4

(10.5)

107917.4 (13.4)

64385.6 (18.3)

39654.5 (12.6)

3877.3 (2.8)

101706.0 (8.5)

54162.3 (17.5)

41831.6 (7.7)

5712.1 (1.7)

1,992,628.4

(100.0)

802,976.4 (100.0)

351847.9 (100.0)

313628.1 (100.0)

137500.4 (100.0)

1,189,652.

0 (100.0)

310162.1 (100.0)

545822.9 (100.0)

333667.0 (100.0)

자료: 통계청,「경제활동인구조사」원자료, 1998

2) 산업별 직종별 여성인력 수요전망

에 대한 인력수요는 평균을 약간 웃도는 정도의 성장을 보이는 반면, 금융이 나 서비스기반 산업 등 지식기반 산업에 있어서의 인력수요는 매우 빠른 성 장을 보일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표 Ⅳ-7> 1998-2010 산업별 취업자수 증가 및 증가율 (대분류) (전체와 여성취업자 비교)

산업 전체취업자(A)1 ) 여성취업자(B)2 ) 여성(고정)3 ) 여성/ 전체(B/ A) 농림어업 -1022.9 (-46.0) -389.4 (-36.8) -486.8 (-46.0) 38.1 광업 -10.3 (-37.0) -0.2 (-98.8) -0.1 (-37.0) 2.4 제조업 1170.6 (28.5) 123.4 (8.7) 403.7 (28.5) 10.5 전기가스 69.2 (86.6) 13.3 (114 .9) 10.0 (86.6) 19.2 건설업 -89.6 (-4 .8) -34 .3 (-20.3) -8.1 (-4 .8) 38.3 도소매 1137.2 (21.6) 158.5 (5.9) 580.1 (21.6) 13.9 운수창고 207.0 (18.6) 40.1 (33.8) 22.1 (18.6) 19.4 금융보험 1672.8 (95.0) 460.4 (67.2) 650.7 (95.0) 27.5 기타서비스 1594.4 (44.6) 1133.8 (62.9) 804.4 (44.6) 71.1 합 계 4728.4 (23.6) 1505.6 (18.9) 1976.1 (24.8) 31.8 주: 1)의 자료는 「산업인력수급의 전망과 과제」(한국직업능력개발원, 1998)임.

2)는 여성비율의 변화를 가정한 취업자수 전망치에 근거한 수치임.

3)은 1998년도의 직종별 여성비율이 지속된다고 가정할 경우에 근거한 수치임.

( ) 안은 전망치에 따른 1998~2010의 취업자수 증가율임.

한편 1998~2010년의 여성인력에 대한 산업별 인력수요의 변화 및 성장률 을 중분류 수준에서 살펴보면, 제조업 중에서도 의료, 정밀, 광학기기 및 시 계 제조업 등에서 여성의 성장이 전체의 성장률을 웃도는 등 여성의 취업성 장이 기대되는 분야가 나타나고 있다(<부표 Ⅳ-1> 참조).

나) 직종별 전망

1998~2010년의 직종별 인력 수요변화를 대분류 수준에서 살펴보면 관리 직과 전문직에서의 취업자수 성장이 가장 두드러지고, 준전문직과 사무직의

성장이 평균치를 훨씬 웃도는 반면, 농어업 근로자 및 단순노무직과, 장치 및 기계조작원 등 저숙련직의 성장은 평균치에 훨씬 못 미칠 것으로 나타나 고 있다. 이를 여성취업자의 각 직종에서의 성장에 대한 전망결과와 비교해 보면, 여성의 경우 전문직의 성장은 비교적 높을 것으로 예상되나 관리직과 준전문직 등에서의 성장은 전체 성장률에 비해 훨씬 뒤떨어지는 것으로 나 타나고 있고, 대신 사무직과 서비스직 등의 직종에서의 여성의 성장은 전체 보다 더 높을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이러한 수치들은 향후 지식기반사회의 도래에 따른 여성의 노동시장 참여 와 직종선택에 대한 몇 가지 문제점을 제시해 준다. 즉, 전체 고용전망결과 는 노동력의 직업구조가 숙련직과 고학력자를 대상으로 한 전문직 등 지식 기반사회 중심구조로 변환할 것을 예고하고 있으나 과거의 추세에 따른 여 성 취업자의 직업전망결과는 이러한 대세의 변화가 반드시 여성에게도 같은 방향으로 전개되지 않을 수도 있다는 것을 예시해 준다.

<표 Ⅳ-8> 1998-2010 직종별 취업자수 증가 및 증가율(대분류) (전체와 여성취업자의 비교)

(단위: 천명) 직 종 (대분류) 전체취업자(A)1 ) 여자취업자(B)2

) 여자(고정)3 ) 여자/ 전체 (B/ A) 입법공무원, 고위임직원 및

관리자 346.8 (69.4) 4.9 (18.7) 18.2 (69.4) 1.4

전문가 924.4 (78.2) 168.0 (44.3) 296.7 (78.2) 18.2

기술공 및 준전문가 1036.1 (52.6) 146.6 (23.7) 325.5 (52.6) 14.1 사무직원 1039.8 (43.9) 539.2 (48.3) 489.9 (43.9) 51.9 서비스근로자 및 상점과

시장판매 근로자 1484.6 (32.1) 1324.

6 (48.2) 880.8 (32.1) 89.2 농업 및 어업숙련 근로자 -1233.7 (-56.0) -518.3 (-50.3) -576.7 (-56.0) 42.0 기능원 및 관련 기능근로자 707.8 (23.5) -295.3 (-69.8) 99.6 (23.5) -41.7 장치, 기계조작원 및 조립원 268.1 (13.4) -185.4 (-70.0) 35.4 (13.4) -69.2 단순노무직 근로자 154.6 (7.1) 104.3 (9.4) 79.6 (7.1) 67.5

총 계 4728.4 (23.6) 1288.

5 (16.7) 1649.

0 (21.4) 27.3 주: <표 Ⅳ-7>과 동일

전망결과를 보다 세부직종으로 나누어 살펴볼 경우에도 비슷한 결과를 관 찰할 수 있다. 전체적 인력수요는 종합관리자, 수학 및 공학전문가와 자연과 학 및 공학기술공 등 지식기반 분야에서 크게 증가할 것으로 나타나고 있으 나 이러한 분야에서 여성인력의 성장은 전체의 성장률에 못 미치는 양상을 나타내고 있어 이에 대한 개선책이 필요함을 보여준다(<부표 Ⅳ-2> 참조).

2. 여성의 직업교육훈련 공급 현황

문서에서 2001. 8 (페이지 89-9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