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직업교육훈련과 기관의 목적의 성취 정도

문서에서 2001. 8 (페이지 134-138)

나. 여성 직업교육훈련에 대한 의견

2) 직업교육훈련과 기관의 목적의 성취 정도

직업교육훈련과 관련하여 기관의 목적 달성도를 살펴보면, 70% 정도 이상 의 달성하였다고 본 기관이 43.5%로 가장 많았고, 90%이상과 50%이상이 23.7%로 나타났다. 결과적으로 50%이상 목적 달성을 하였다고 생각하는 기 관은 90.1%로 거의 모든 기관들이 자체적으로 판단할 때 목적 달성정도가 높은 것으로 인식하고 있다.

<표 Ⅴ-14> 직업교육훈련 기관의 목적 성취정도

구분 빈도 백분율 (%)

기관이 추구하는 목적을 90%이상 달성 31 23.7

기관이 추구하는 목적을 70%이상 달성 57 43.5

기관이 추구하는 목적을 50%이상 달성 31 23.7

기관이 추구하는 목적을 30%이상 달성 8 6.1

기관이 추구하는 목적을 30%미만 달성 4 3.1

합계 131 100.0

기관 유형별로 목적의 성취정도를 알아보면 직업교육기관은 70% 이상이 71.2%로 거의 상당한 부분에서 높은 달성도를 보여주고 있고, 그와 반면 직 업훈련기관은 70%이상의 성취도는 63.1%로 높은 달성도는 보여주지만 직업 교육기관보다는 낮은 성취도를 볼 수 있다. 연간교육훈련참여자수의 분포를

보면 70% 이상 달성도 기준에서 보면 300~599인 이하의 기관에서 가장 높 은 성취 정도를 볼 수 있는데 87.5%, 1,000인 이하의 기관에서는 69.6%, 99인 이하의 기관은 69.3% 순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직업훈련기관의 교육훈련목적이 더 구체적임으로 목적 성취도가 높고, 교육훈련 규모에 있어서도 너무 인원이 많거나 적은 경우보다는 적정 한 규모를 지닌 기관의 목적 성취도가 높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표 Ⅴ-15> 유형별 직업교육훈련 기관의 목적 성취정도

구분 90%이상 70%이상 50%이상 30%이상 30%미만 합계

유형

직업교육 18(27.3) 29(43.9) 16(24.2) 2(3.0) 1(1.5) 66(100.0) 직업훈련 13(20.0) 28(43.1) 15(23.1) 6(9.2) 3(4.6) 65(100.0)

규모

99 이하 4(30.8) 5(38.5) 4(30.8) 13(100.0) 100-299 1(33.3) 1(33.3) 1(33.3) 3(100.0) 300-599 1(12.5) 6(75.0) 1(12.5) 8(100.0) 600-999 3(20.0) 6(40.0) 5(33.3) 1(6.7) 15(100.0) 1000이상 12(26.1) 20(43.5) 9(19.6) 3(6.5) 2(4.3) 46(100.0)

가) 기관의 목적을 달성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원동력

직업교육훈련과 관련하여 기관이 추구하는 목적을 달성하는데 있어서 가 장 중요한 원동력이 무엇인가를 조사한 결과, 교・강사나 직원 등 구성원 참 여의식 26.0%, 학생/ 훈련생의 우수성 및 자발적 노력 24.5%, 변화하는 사회 에 적절히 대응함 16.3% 순으로 비율이 나타났고, 소수 의견으로는 전문 직 업 교육 훈련 및 프로그램 우수, 적극적 홍보 등이 나타나 이러한 요소들을 국가차원에서 운영파악을 하고 구체적인 실천전략이 나와야 할 것으로 분석 되었다.

<표 Ⅴ-16> 목적달성의 원동력

빈도 백분율 (%)

기관장의 리더쉽 20 9.6

교・강사나 직원등 구성원 참여의식 54 26.0

학생/ 훈련생의 우수성 및 자발적 노력 51 24.5

변화하는 사회에 적절히 대응함 34 16.3

시설 및 장비등 물적 충분성 21 10.1

정부의 적극적 행・재정적 지원 12 5.8

전문 직업 교육훈련 및 프로그램 우수 6 2.9

적극적 홍보 6 2.9

기타 4 1.9

합계 208 100.0

기관유형별로 나누어 보면 직업교육기관은 학생/ 훈련생의 우수성 및 자발 적 노력 28.6%, 교・강사나 직원 등 구성원 참여의식 23.5%였고, 직업훈련기 관은 교・강사나 직원 등 구성원 참여의식 28.2%, 학생/ 훈련생의 우수성 및 자발적 노력 14.5% 순으로 나타났다.

여기서 볼 때, 기관의 목표 성취에 있어서 중요한 원동력은 인적 자원과 그들의 참여 의식이 무엇보다 중요함을 확인할 수 있다. 특히, 직업교육기관 과 훈련 기관 모두 인적 자원의 우수성을 중요 요인으로 들 고 있으나, 교육 기관의 경우는 학생의 우수성을, 그리고 훈련기관의 경우는 교・강사의 경우 를 중요요인으로 들고 있는 사항이 구체적으로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다.

<표 Ⅴ-17> 유형별 목적달성의 원동력

구분 기관장의

리더쉽

구성원의 참여의식

참여자의 자발적 노력

변화하는

사회의 대응 시설, 장비 충분성 유형 직업교육 7(7.1%) 23(23.5 %) 28(28.6%) 18(18.4 %) 15(15.3 %)

직업훈련 13(11.8%) 31(28.2%) 16(14.5%) 6(5.5%) 9(8.2%)

규모

99 이하 1(5.0%) 6(30%) 7(35.0%) 3(15.0%) 2(10.0%)

100-299 2(33.3%) 3(50.0%)

300-599 3(25.0%) 3(25.0%) 3(25.0%) 1(8.3%)

600-999 3(11.5%) 8(30.8%) 5(19.2%) 4(15.4 %) 2(7.7%) 1000이상 11(13.4 %) 25(30.5 %) 15(18.3%) 9(11.0%) 8(9.8%)

구분 정부의 지원

교육훈련 우수

적극적

홍보 기타 합계

유형 직업교육 3(3.1%) 2(2.0%) 2(2.) 98(100%)

직업훈련 6(5.5%) 4(3.6%) 4(3.6%) 4(3.6%) 110(100%)

규모

99 이하 1(5.0%) 20(100%)

100-299 1(16.7%) 6(100%)

300-599 1(8.3%) 1(8.3%) 12(100%)

600-999 3(11.5%) 1(3.8%) 26(100%)

1000이상 5(6.1%) 2(2.4 %) 5(6.1%) 2(2.4 %) 82(100%)

나) 기관이 추구하는 목적을 달성하기 어려웠던 원인

기관이 추구하는 목적을 달성하기 어려웠던 원인은 시설 및 장비 등 물적 불충분성이 29.5%, 학생/ 훈련생의 우수성 및 자발적 노력 부족 26.8%, 정부 의 적극적 행・재정적 지원부족 21.3% 순으로 조사되었다. 소수의견으로는 교・강사나 직원 등 구성원 참여의식이 부족 등, 전문직업교육 훈련 프로그 램 미비, 교육비 부담 등이 조사되었다.

<표 Ⅴ-18> 목적을 달성하기 어려운 점

빈도 백분율 (%)

기관장의 리더쉽 부족 4 2.2

교・강사나 직원등 구성원의 참여의식 부족 6 3.3

학생/ 훈련생의 우수성 및 자발적 노력부족 49 26.8

변화하는 사회에 적절히 대응하지 못함 22 12.0

시설 및 장비등 물적 불충분성 54 29.5

정부의 적극적 행・재정적 지원 부족 39 21.3

전문직업 교육 훈련 프로그램 미비 2 1.1

우수교원 확보 미비 5 2.7

교육비 부담 2 1.1

합계 183 100.0

기관유형별로 살펴보면 기관이 추구하는 목적을 달성하기 어려웠던 원인 은 학생 또는 훈련생의 능력 부족이나 자발적 노력 부족을 가장 중요한 요

인으로 응답을 하였고, 그 다음으로 시설 및 장비 등 물적 불충분성을 응답 을 하여서 기관유형별로는 큰 특징이 없다.

연간 교육훈련 참여자수별로 살펴보면 100-299인 에서는 정부의 적극적 행・재정적 지원부족을 가장 많이 응답하여 규모별로 약간은 다르게 응답을 하였다. 따라서, 여성 직업훈련기관은 기관자체의 문제보다는 외적요소 즉, 학습자와 정부에 문제를 두고있음을 보인다.

<표 Ⅴ-19> 유형별 목적 달성 어려움

구분 기관장의

리더쉽

구성원의 참여의식

참여자의 자발적 노력

변화하는

사회의 대응 시설, 장비 충분성 유형 직업교육 3(3.1%) 4(4.2%) 27(27.1%) 13(13.5%) 29(30.2%)

직업훈련 1(1.1%) 2(2.3 %) 22(25.2%) 9(10.3%) 25(28.7%)

규모

99 이하 1(5.6%) 8(44.4 %) 3(16.7%) 3(16.7%)

100-299 1(25.0%) 1(25.0%)

300-599 4(30.8%) 5(38.5 %)

600-999 2(8.3 %) 5(20.8%) 4(16.7%) 6(25.0%) 1000이상 1(1.6%) 19(29.7%) 7(10.9%) 17(26.6%)

구분 정부의 지원 교육훈련 교원 확보 교육비 부담 합계

유형 직업교육 17(17.7%) 3(3.1%) 96(100%)

직업훈련 22(25.3%) 2(2.3 %) 2(2.3 %) 2(2.3%) 87(100%)

규모

99 이하 2(11.1%) 1(5.6%) 18(100%)

100-299 2(50.0%) 2(100%)

300-599 3(23.1%) 1(7.7%) 13(100%)

600-999 6(25.0%) 1(4.2%) 24(100%)

1000이상 15(25.4 %) 2(3.1%) 2(3.1%) 1(1.6%) 64(100%)

3) 향후 지식기반사회에서 여성 직업교육훈련 기관의 역할과 기능

문서에서 2001. 8 (페이지 134-13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