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취락의 입지와 행정리

문서에서 한국의 농촌개발 전략 (페이지 79-83)

2.3. 농촌 공간의 변화

2.3.1. 취락의 입지와 행정리

한국에서 취락이 형성되기 위해서는 몇 가지의 기본 조건이 필요 한데 가장 기본적인 조건은 식수이다. 식수만큼 중요하지는 않지만 취락 형성의 조건으로 산과 구릉지도 중요하다. 또 하나의 취락 형 성의 조건은 농경지이다. 이러한 조건 때문에 한국의 농촌 마을은 뒤에 산을 두고 앞에는 농경지가 펼쳐 있고 가까이 하천이 흐르는 곳에 입지하는 경우가 많다. 이른바 배산임수 지형이다. 자연적인 조건 외에 취락의 형성은 시장과의 거리, 교통의 편의성 등이 작용 한다. 또한 취락 형태에 강한 영향을 미치는 것이 마을 단위 공동체 활동이다. 강한 유교적 질서가 지배한 한국사회에서 같은 성씨의 주 민들이 서로 모여 살면서 마을을 형성하는 경우가 많았다.

이러한 조건이 종합되어 한국의 취락은 집촌형태가 많다. 계곡이 나 하천 또는 도로변을 따라 일렬로 집들이 들어선 선촌(線村)이 있 고 도시 계획이나 신 마을 조성과 같이 정책에 의해 방사 형태의 촌 락도 있지만 그 수는 많지 않다. 집촌은 촌락 내의 강력한 사회유대 와 독립된 공동체의식을 갖게 하고 협동생활을 영위케 한다.

<그림 2-5> 전통적인 한국의 농촌마을 입지 모형

자료: Park, Jin-Hwan(1998: 57).

자연스럽게 형성된 취락을 자연마을이라고 하고 자연마을을 중심 으로 최말단 행정구역을 정하고 그것을 행정리라고 하였다. 부동산 의 소재지 표시 등과 같이 법적인 문제에 대응하기 위해서 규정하는 것이 법정리이다. 지역에 따라 다르지만 보통 수 개의 자연마을이 모혀 하나의 행정리를 형성하고 다시 수 개의 행정리가 모여 하나의 법정리를 형성하는 것이 많다. 행정리에는 우리나라 행정의 최하위 업무를 담당하는 이장이 있다. 예를 들면 어떤 농가가 00면 풍림리 000번지에 소재한다고 할 때 그 풍림리는 법정리이다. 풍림리는 3개 의 행정리, 풍강, 죽림, 오출로 구성되어 있다. 다시 죽림이라는 행정 리는 죽림윗마을과 죽림아랫마을이라는 2개의 자연마을로 구성되어 있다.

<그림 2-6>은 사례 조사(성주인 외 2016)에 의한 행정리의 자연마 을 입지형태를 보여 주고 있다. 평야지인 부연군 신암1리는 본마을 인 중말의 배후에 농경지를 사이에 두고 소규모의 배후 마을이 군데 군데 입지하고 있다. 산간지인 함양군 송전마을은 본 마을인 세동마 을 배후에 계곡을 따라서 소규모의 배후마을이 입지하고 있다.

<그림 2-6> 평야 마을과 산간 마을의 분포 형태 사례

자료: 성주인 외(2016).

<표 2-7>은 1982년 농촌이라 할 수 있는 군지역의 법정리 행정리 및 자연마을 수를 나타내고 있다. <표 2-7>에서 한국에는 16,338개 의 법정리와 35,280개의 행정리, 그리고 67,657개의 자연마을이 존 재하였다. 1개 법정리는 2.15개의 행정리로 구성되어 있고 1개 행정 리는 1.92개의 자연마을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1개 자연마을에는 평균 약 30가구가 있는 것으로 나타나는데 강원도처럼 산악지형이 고 영농조건이 불리한 지역은 가구 수가 적고 전남처럼 평야지역이 면서 영농조건이 좋은 곳일수록 가구 수가 많은 것을 알 수 있다. 제 주도의 경우 1개 자연 마을당 평균 80여 가구가 있는데 이는 화산지 역인 제주도에서는 식수를 구할 수 있는 한정된 곳에 마을이 분포하 고 이곳에 주민이 모여 살고 있기 때문이다.

<표 2-7> 군지역의 법정리 및 행정리 자연마을 수(1982년 현재)

단위: 개, 호

구분 합계 경기 강원 충북 충남 전북 전남 경북 경남 제주

법정리 16,338 1,981 1,167 1,435 2,309 1,548 2,679 2,973 2,115 131 행정리 35,280 4,285 2,142 2,539 4,513 5,082 6,395 5,285 4,878 161

자연

마을 67,657 7,046 6,247 5,869 10,450 6,688 9,353 12,241 9,211 552 자연마을당

가구수 29.6 31.6 18.2 25.1 25.0 32.7 39.7 28.0 29.8 85.8 자료: 내무부 지방행정국(1983).

농촌의 과소화가 진행됨에 따라 마을당 가구 수의 감소가 진행되 었는데 특히 배후 자연 마을의 가구 수 감소가 심화되었다. <표 2-8>은 사례 조사(성주인 외 2016)에 의한 행정리당 자연마을수와 가구 수를 나타내고 있다. 표에서 도시근교인 경기도 양평군 문호리 는 본 마을을 제외한 자연마을당 가구 수가 100호를 넘지만 평야지 인 부여군의 마을과 지리적 여건이 불리한 산간지 함양군 마을의 배 후 자연마을의 평균 가구 수는 10호 내외인 것을 알 수 있다.

<표 2-8> 행정리의 자연마을 현황 사례(2016년 기준)

단위: 개, 호

구분 마을명 총 가구 수 자연마을 수 자연마을당 평균 가구 수

(본 마을 제외)

근교

양평문호4리 545 5 109(100)

양평정배1리 196 3 65(50)

화성석포1리 107 1 107(-)

울주다개리 183 4 46(14)

울주신화리 136 4 34(17)

<계속>

구분 마을명 총 가구 수 자연마을 수 자연마을당 평균 가구 수

(본 마을 제외)

평야

부여추양1리 43 2 22(13)

부여신암1리 94 7 13(10)

부안청서리 35 1 35(-)

산간

함양월평리 45 4 12(7)

함양송전리 95 5 19(8)

함양식송리 53 1 53(-)

자료: 성주인 외(2016: 102). 사례마을 이장 조사.

문서에서 한국의 농촌개발 전략 (페이지 79-83)

Outline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