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생활환경개선

문서에서 한국의 농촌개발 전략 (페이지 132-135)

서의 값싼 노동력유지를 위해 저곡가정책을 유지했기 때문이다.(한국농 촌경제연구원 2019.)

3.2. 생활환경개선

새마을운동은 마을 단위 환경개선사업으로 출발한 만큼 주민의 생활환경 개선에 크게 기여하였다<표 4-3>. 새마을운동으로 추진한 대표적인 사업이 도로개선이다. 새마을운동이 시작되기 전의 1968 년에 시행한 한 조사에 의하면(Park 1998), 조사 대상 32,485개의 마 을 중 30.8%의 마을은 트럭이 마을에 진입할 수 없었으며 8.6%의 마을은 트럭이 진입할 수 있지만 돌아 나올 수는 없는 상태였다. 결 과적으로 약 40%의 농촌 마을은 트럭 통행이 불편한 상태였다. 한 편 마을 내부 도로는 자동차는 불구하고 리어카도 통행할 수 없는 경우가 많았다. 이러한 사정을 반영하여 새마을운동 초기에 주민의 개발수요가 높은 사업이 마을 내 도로와 마을진입도로의 개선이었 다. 표에서 보는 바와 같이 1971~1978년간의 새마을운동을 통해 마 을당 약 2,602m의 마을내부도로와 진입로가 개선되었다.

한국의 농촌 마을은 보통 배산임수(산을 뒤로하고 가까이에 물을 얻을 수 있는 곳)에 위치하여 외부에서 마을에 진입하기 위해서는 소 하천을 건너야 하는 경우가 많았다. 큰 하천의 다리는 보통 정부가 건설하였지만 소하천에 놓이는 소규모의 다리는 목재나 돌을 이용하 여 마을 주민이 건설하거나 아니면 다리가 없는 경우가 많았다. 이런 다리에는 자동차 통행이 불가능하였다. 큰 비가 올 경우 하천을 건널 수 없어 학교를 가지 못하는 초등학생 수도 적지 않았다. 소규모 교 량 건설은 도로에 이어 주민들의 개발 수요가 매우 높았다. 표에서 보는 바와 같이 1971~1978년간의 새마을운동 기간을 통해 전국적 으로 68,797개소, 마을당 2.1개소의 소규모 교량이 건설되었다.

마을 주변의 소규모 하천은 농업용수를 공급할 뿐만 아니라 마을 주민에게 생활용수를 제공하며 경우에 따라서는 어린이들의 물놀이 공간이 되는 매우 중요한 자원이었다. 한국의 기후적인 특성으로 홍 수기에 하천이 범람 또는 유실되거나 토사가 퇴적되며 가뭄이 들 경 우 하천이 메마르는 경우가 적지 않았다. 새마을운동을 통해 소하천 정비 및 소규모 보 건설이 이루어졌다. <표 4-3>에서 보는 바와 같 이 1971~1978년 새마을운동 기간 전국적으로 7,839km의 하천 제 방이 정비되고 24,140개소의 소규모 보가 건설되었다. 이 외에도 새 마을운동 기간 표에서 보는 바와 같이 공동우물과 공동빨래터 등이 정비되었다.

새마을운동 기간 동안 전국적으로 20,629개의 마을회관이 건설되 었다. 이는 전체 농촌 마을의 63%에 해당하는 것이다. 새마을회관으 로 불리우는 마을회관은 새마을운동 추진을 위해 매우 중요한 역할 을 수행하였다. 새마을회관에서 마을 주민이 모여 새마을운동의 추 진 방향 및 방법을 논의하는 한편 정부의 각종 지시 등이 새마을지 도자나 마을 이장을 통해 주민들에게 전달되었다.

새마을운동을 통해 조림사업이 활발하게 추진되었다. 치산녹화라 는 구호 아래 매년 식목일에 전국 모든 마을에서 마을 주민이 모여 정부에서 보급한 묘목을 마을 주변의 산에 식재하였다.새마을운동을 통한 조림사업으로 한국은 산림녹화에 성공한 대표적인 나라로 국 제 사회에서 평가받고 있다.

새마을운동을 통해 농촌의 주거수준이 개선되었다. 새마을운동의 대표적인 사업으로 초가지붕개량을 들 수 있다. 초가지붕은 한국의 전통적인 지붕 양식으로 보온성이 높은 장점이 있지만 매년 볏짚으 로 새로 지붕을 이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1971~1978년간의 새마을운동 기간을 통해 전국적으로 2,251천 동의 지붕개량이 이루 어 졌다.

새마을운동 기간에 농촌의 전기보급이 적극적으로 추진되었다. 새 마을운동이 시작되기 전에는 농촌 주택의 27%에만 전기가 보급되 었다. 1971~1978년 새마을운동 기간 전국적으로 1,204천 호의 농가 에 전기가 공급되었다. 그 결과 1978년에 전체 농가 중 97.8%에 전 기가 공급되었다.

<표 4-3> 새마을운동 생활환경 개선 실적

구분 단위 1971~1978 실적 비고

마을 단위

마을안길 km 42,220 1,280m/마을

마을진입로 km 43,631 1,322m/마을

소교량 개소 68,797 2.1개소/마을

하천제방 km 7,839 238m

보건설 개소 24,140 0.7개소

공동우물 개소 115,376 3.5개소/마을

공동빨래터 개소 61,591 1.9개소/마을

마을회관 동 20,629 전체마을 63%

취락구조개선 마을 1,137

마을조림 ha 502,787

주거단위

지붕개량 천동 2,251

전기공급 천호 1,204

주택개량 동 52,936

자료: 내무부(1974~1978).

문서에서 한국의 농촌개발 전략 (페이지 132-135)

Outline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