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새마을운동의 정립

문서에서 한국의 농촌개발 전략 (페이지 122-125)

서의 값싼 노동력유지를 위해 저곡가정책을 유지했기 때문이다.(한국농 촌경제연구원 2019.)

2. 새마을운동의 전개

2.2. 새마을운동의 정립

초기 1년의 새마을가꾸기사업 경험을 바탕으로 1972년에는 발전 된 형태의 새마을운동이 추진되었다. 주목할 만한 사실은 마을의 선 정이었다. 1971년에는 전국의 모든 마을을 대상으로 하였지만 1972 년에는 1971년의 사업추진실적에 따라 전체 마을의 약 반수에 해당 하는 16,600여 마을에 대해서만 선별적으로 지원하였다. 이는 1971 년의 새마을사업을 제대로 수행하지 못한 반수의 마을에 대해 1972 년에 또 지원을 하는 것은 사업 실행 및 효과면에서 바람직하지 못했 고, 한편으로 주민 스스로의 노력이 중요하다는 새마을운동의 자조 이념을 주민들에게 주지시키기 위한 조치였다. 선별 지원의 기준은

① 지도자의 유무 ② 주민협동체제의 유무, ③ 자체자금조성 실적 등 으로 설정함으로써 자조의 이념을 경제적 자원동원뿐만 아니라 사회

조직 면에서도 자극하고자 하였다(권태준·김광웅 1981: 178).

1972년의 새마을운동은 1971년의 마을환경개선사업 외에도 일부 마을은 정미소, 구판장, 창고 등의 영농 기반시설 등을 설치하였다.

또한 1972년 새마을운동의 정부 지원은 1971년과 같이 시멘트와 철 근 등의 건설자재였지만, 어떤 사업을 할 것인가를 결정하는 데 마 을 주민의 의견을 반영하려는 노력과 절차를 강조하였다. 1972년은 적어도 선별된 마을에 대해서는 실험사업(pilot project)의 단계를 벗 어나 새마을운동의 지속적인 발전체제와 기대감을 갖게끔 한 해였 다고 할 수 있다(권태준·김광웅 1981: 179).

1972년에는 정부의 행정 조직과 정책 추진 절차에 새마을운동이 추진될 수 있는 장치를 도입하기 시작했다. 중앙정부 관련 부처의 차관급으로 구성된 「새마을운동중앙협의회」를 구성하고 「새마을지 도자연수원」을 개설하여 새마을운동을 추진하는 주민 조직의 지도 능력을 배양하려고 하였다. 이러한 조치들을 통해 주민들에게 새마 을운동에의 지속적인 참여와 기대감을 갖도록 하였다.

1973년에 이르러 새마을운동은 그 사업구조와 추진체제 양면에서 전국적인 체계화가 이루어졌다. 1971년과 1972년의 경험을 바탕으 로 개발대상 마을을 전국의 34,665개 마을로 확대하되 마을의 발전 수준에 따라 기초마을(underdeveloped village), 자조마을(developing village), 자립마을(developed village)로 나누어서 마을별로 개발사업 을 달리 하게끔 하였다. 마을의 유형에 따라 사업 대상도 <표 4-1>

과 같이 달리 추진되었다. 기초마을이 생활환경정비 위주의 사업에 중점을 둔 반면 자립마을은 소득증대를 위한 사업들이 추진되었다.

<표 4-1> 마을 수준별 중점 개발사업

다수확품종의 보급 덕분이었다. 식량증산 등에 힘입어 1975년은 농 가소득이 도시근로자 소득을 앞지르기 시작하였다.

문서에서 한국의 농촌개발 전략 (페이지 122-125)

Outline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