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농촌 사회의 변화

문서에서 한국의 농촌개발 전략 (페이지 70-73)

2. 한국 농촌의 특성과 변화

2.2. 농촌 사회의 변화

2.2.1. 인구 유출과 고령화

한국 농촌 사회의 변화 양상을 가장 잘 나타내 주는 것이 고령화이 다. 한국 사회는 다른 나라에 비해 고령화의 진행속도가 빠르지만 농 촌의 고령화는 더욱 더 심하였다. <그림 2-3>에서 보는 바와 같이 1960년대에 65세 이상 고령자 비율이 도시와 농촌 간에 큰 차이가 나 지 않았다. 하지만 2015년 농촌의 고령화율은 21%로 도시의 11.4%에 비해 근 2배 가까이 높다.

<그림 2-3> 65세 이상 인구 비율 비교

자료: 통계청(각 연도). 󰡔인구주택총조사󰡕.

농촌의 고령화가 진행된 가장 큰 이유는 지난 50년 동안 젊은 층 을 중심으로 이촌향도 현상이 지속되었기 때문이다. 한국에서 농촌 의 인구는 1965년을 정점으로 감소하였다. 1960년대 농촌의 높은 출 산력과 낮은 사망력에도 불구하고 농촌의 인구가 감소하였다는 것 은 얼마나 많은 농촌인구가 도시로 유출되었는지를 나타내 준다.

1965년부터 1980년까지의 이촌향도 현상을 살펴보면 1965년부터 1970년까지는 농촌인구의 11%에 해당하는 약 182만 7천 명이 도시 로 이동하였고, 1970년부터 1975년까지는 농촌인구의 12%에 해당 하는 약 176만 4천 명이 도시로 이동하였다. 1975년부터 1980년까 지도 어느 때보다 많은 농촌인구가 도시로 이동한 것으로 나타났다.

농촌에서 도시로의 인구 이동은 젊은 층에서 두드러졌다. 통계에 의하면 농촌에서 도시로 인구 이동한 사람 중 15세부터 34세 사이의

연령층이 차지하는 비중은 1965년부터 1970년 사이는 50%인데 1970년부터 1975년 사이는 64.2%로 증가한다. 젊은 층은 일자리를 찾아서 또는 상급 학교 진학을 위하여 농촌에서 도시로 이동한다.

특히 상급학교 진학을 위해 도시로 나간 젊은이는 도시에서 일자리 를 찾아 그대로 도시에 머무는 경우가 대부분이었다(정지웅 1981:

275). 젊은 층의 농촌 유출은 농촌 고령화의 가장 큰 요인으로 작용 하였다.

농촌에서 젊의 층의 유출과 출생률 저하는 농가의 노동력 구조에 도 영향을 미친다. 표에서 보는 바와 같이 농가 호당 평균 인구는 1967년 6.5명을 정점으로 계속 감소하여 2013년에는 2.1명으로 감소 하였다. 고령자 부부만이 가구를 구성하는 농가가 한국의 가장 대표 적인 농가 형태로 자리잡았다.

<표 2-5> 농가의 호당 인구 및 인구 고령화

단위: 천 명, %

구분 총인구 및 농가인구

호당농가인구 65세 이상 농가수(천 호) 농가인구(천 명) 농가인구

1953 2,249 13,151 5.85

1960 2,359 14,559 6.17

1967 2,586 16,078 6.22

1970 2,481 14,711 5.93 5.0

1980 2,155 10,827 5.02 6.8

1990 1,767 6,661 3.77 11.5

2000 1.383 4,031 2.91 21.7

2010 1,177 3,062 2.60

2016 1,068 2,496 2.34

자료: 통계청(각 연도). 󰡔농림어업총조사󰡕. 인구는 연앙추계인구임.

농촌의 인구는 계속 줄다가 2006년부터 조금씩 증가하고 있다. 이 는 이촌향도 인구이동이 이도향촌의 인구이동으로 바뀐 점에 기인 한다.8 이는 보통 개발도상국가의 국가 발전과정에서 발생하는 이촌 향도 인구 이동 현상이 한국에서는 어느 정도 진정되고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하지만 지역적으로는 여전히 인구 유출이 계속되는 농촌 이 여전히 존재한다. 인구이동 통계에 따르면 2015년에서 2018년 사 이에 전출이 전입보다 우세한 시·군지역은 137개 지역 중에 66개 지 역(48.2%)에 달하였다.

<그림 2-4> 인구이동 순증가 시‧군의 변화

자료: 농림축산식품부·한국농촌경제연구원(2019).

8 인구이동 통계에서 2008년부터는 읍·면에서 동 지역인 도시로 이동(이촌

문서에서 한국의 농촌개발 전략 (페이지 70-73)

Outline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