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사업 내용

문서에서 한국의 농촌개발 전략 (페이지 109-113)

하는 지역사회개발 개념을 축약한 것이다. “지역사회주민이 계획과 실천 을 위하여 스스로를 조직화하고 그들의 공통된, 또는 개인적인 욕구나 문

3. 사업 내용

3.1. 시범마을 선정

초기 지역사회개발사업은 우선 시범단계로 시범마을을 선정하고 이들 지역에 한해서만 사업을 실시하였다. 1958년에는 5개군 12개

마을에 실시하였으며 1959년에는 20개 군 121개 마을로 확장되었다.

1960년도에는 141개의 마을이 추가되어 262개 마을에서 추진되었다.

1958년도의 시범마을은 다음과 같은 기준에 의해서 선정되었다.

󰋼 가급적 교통이 편리한 지역

󰋼 대부분의 주민이 동질적인 농민으로 구성되어 있는 지역

󰋼 마을의 경제, 사회, 문화적 개발 여건과 자원이 풍부한 지역 시범마을 선정은 ① 군의 대표 지도원과 면에 배치된 마을지도원 및 해당 면의 면장이 현지조사를 거쳐 시범마을 선정기준에 적합한 시범마을 대상 후보 지역을 선정하여 군에 보고. ② 군지역사회개발 위원장인 군수는 면에서 선정한 후보지역에 대해 관계관과의 검토 과정을 거쳐 군의 시범마을 대상 후보지역으로 결정하고 중앙위원 회에 후보 지역을 보고. ③ 지역사회개발중앙위원회는 군이 선정한 시범마을 후보 지역을 현지조사를 거쳐 심사한 후 지역사회개발사 업 시범마을로 최종 확정하였다.

3.2. 지도원의 선발과 훈련

지역사회개발사업에서 지도원의 자질은 사업의 성패를 좌우할 만 큼 중요했다. 지역사회개발 지도원은 대학 교육을 이수한 자 중에서 선발하였다. 선발된 지도원은 농촌주민들의 의욕과 태도에 변화를 일으킬 수 있고 지역의 부존자원을 활용하여 지역개발사업을 추진 할 수 있도록 지도력 배양, 주민 조직 방법, 토론법, 영농과 생활기

술 및 토목기술 등 지역사회개발과 관련된 분야에 대한 훈련을 받았 다. 지역사회개발 지도원은 중앙위원회가 직접 선발하였으며 수원에 신설된 신생활훈련원과 농촌진흥청 훈련소 등에서 소정의 훈련 과 정을 이수한 후 현지에 배치되었다(농림부. 한국농촌경제연구원 편 찬 1999).

<표 3-3> 연도별 지도원 훈련 상황

연도 1958 1959 1960 1961 1962 1963 계

회 1 1 1 2 6 2 13

인원(명) 24 59 87 314 437 121 1,042

자료: 농촌진흥청(1979)(원자료); 여기서는 농림부. 한국농촌경제연구원 편찬(1999: 2075) 재인용.

3.3. 사업의 추진

초장기에는 지역사회개발사업 추진을 위해서 1개 군에 4명의 지 도원을 파견하였다. 그 중에서 대표 지도원으로 임명된 1명이 중앙 위원회와 군, 그리고 마을지도원 간의 연락을 담당하였다. 나머지 지도원들은 시범마을에 주재하면서 주민을 조직화하고 마을 주민들 의 의견을 반영하여 마을 여건에 적합한 개발계획을 수립하고 이를 지원하는 업무를 담당하였다. 마을에 주재하는 마을지도원의 임무는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다.

① 시범마을의 현황조사 및 개발 여건 분석

② 시범마을의 지역개발과 관련한 문제의식 도출

③ 마을 주민 자력에 의한 마을개발 자조사업 추진

④ 외부의 기술과 재정 지원을 필요로 하는 보조사업 추진

⑤ 지도자의 육성과 주민의 조직화

⑥ 농업협동조합 등 농업생산의 협동화 추진

⑦ 마을주민의 생활개선과 건강증진을 위한 보건활동 추진

지역사회개발사업은 자조사업과 보조사업으로 나누어 추진되었 다. 자조사업은 외부의 지원 없이 마을 주민들이 마을 개발을 위하 여 스스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하는 사업이다. 보조사업은 주민이 계획한 지역사회개발사업 중 자신들의 자본과 노력만으로는 추진하 기 어려워 정부나 기타 기관으로부터 재정적, 기술적 지원을 받아 추진하는 사업들이다. 지역사회개발사업이 농촌진흥사업과 통합되 기 이전인 1961년까지 지역사회개발 보조사업은 818개 시범마을에 총 1,291건이 추진되었다(한국농촌경제연구원 1999: 2076-2077).

자조사업과 보조사업으로 추진한 사업에 공통적으로 포함된 내용은

󰋼 농업 및 그 관련 분야(영농기술 향상, 가축 장려 등)

󰋼 건설사업 분야(도로, 교량, 치수, 제방 등)

󰋼 사회교육 분야(성인 교육, 농촌문고, 협동조합, 4-H 구락부, 부 녀회 설치 또는 강화 등)

󰋼 보건위생 분야(변소, 우물, 부엌개량 등)

󰋼 생활개선 분야(미신 타파, 의복 간소화, 절주 등) 이다.

문서에서 한국의 농촌개발 전략 (페이지 109-113)

Outline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