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인구이동 통계에서 200년부터는 읍·면에서 동 지역인 도시로 이동(이촌 향도)하는 인구보다 동 지역에서 농촌(읍·면)으로 이동(이도향촌)하는 인

문서에서 한국의 농촌개발 전략 (페이지 73-78)

구가 많아졌다(심재헌 외 2018: 38). 이도향촌 인구이동은 초기에는 수도

권 읍·면부에서 발생하였지만 2010년 이후에 일반 군의 읍·면부에서도 발

생하고 있다. 더구나 대표적인 농촌지역인 군 면부에서도 2011년부터는

이도향촌 인구이동으로 전환되었다(박시현·최용욱 2014: 47).

2.2.2. 마을 공동체의 변화

전통적으로 한국의 농촌 마을은 소우주로 불릴 정도로 강한 공동 체가 존재하였다. 농촌 마을은 비교적 독립된 모듬살이의 공간에서 구성원들이 직접적이고 친밀한 대인관계에 바탕한 특별한 연대감과 역사성 등을 갖는 단위로 인식되었다(김기홍 2014: 95).

농촌 마을 공동체는 다양한 형태의 조직 활동에 기초하고 있다.

이들 조직은 자생 조직과 비자생 조직으로 구분되는데 자생 조직은 마을이라는 자연적인 지리 조건에 의해 형성된 조직으로 대표적으 로 대동계를 들 수 있다. 대동계는 상부상조, 마을 공동행사에 관한 의사결정, 공동신앙의 집전 등을 목적으로 조직된 지연적 사회조직 이다(한국농촌경제연구원 2003). 대동계는 1년에 한 번의 정기총회 를 개최하고 마을의 대소사를 논의한다. 대동계 외에도 마을에는 상 사계, 혼사계, 저축계, 친목계 등의 상부상조와 친목을 위한 자생조 직이 존재하였다. 농촌 마을에는 꽹과리 징 장구 북을 다룰 줄 아는 사람들을 중심으로 농악회가 존재한다. 또한 농촌 두레나 품앗이와 같은 노동협력집단이 존재한다. 두레는 마을 전체를 구성원으로 하 여 한 가구에 한 사람이 꼭 참여해야 하는 비교적 강한 공동체를 지 향하고 있다. 이에 비해 품앗이는 마을 주민 간의 자발적인 노동력 교환으로 대부분의 농촌 마을에 존재하였다. 소규모 보나 저수지의 물을 이용하여 농사를 짓는 사람들의 물 관리 조직인 수리계도 존재 하였다.

자생 조직이 마을 주민의 자발적인 집단이라면 비자생 조직은 농 협 등과 같이 기존에 존재하였던 이익 집단과 정부의 권유 등에 만 들어진 조직이다. 농협은 농촌에 조직된 대표적인 이익조직으로 해 방 이후부터 존재하였다. 농지개혁과 한국전쟁 이후 농촌 마을에는

국가 주도로 다양한 형태의 조직이 만들어졌다.

1958년에 영농활동을 촉진하기 위한 농사개량클럽이 전국 마을 단위에 조직되었다. 또한 8.15 이후 한국에 처음 도입된 4-H 클럽은 1958년에 면의 마을 단위까지 조직되었다. 1958년에는 농촌 부녀 조 직으로 생활개선 클럽이 조직되었으며, 1967년부터는 부녀자의 사 회활동을 촉진하기 위한 부녀 교실이 조직되었다. 1968년부터는 인 구 억제를 위한 가족계획사업을 추진하기 위해 마을 단위에 가족계 획어머니회를 조직하였다.

농촌의 마을에 존재하였던 공동체 조직은 1970년대 농촌 새마을 운동의 전개과정을 통해 그 기능과 역할이 크게 변한다. 농촌 새마 을운동은 환경개선, 소득 증대, 주민 의식개혁 등에 목표를 두고 마 을공동으로 사업을 추진하였다. 새마을 사업을 추진하는 과정에서 마을 주민은 노동력이나 토지를 제공하거나 기타 마을 사업의 추진 에 필요한 일을 공동으로 해야 하는 상황에 직면하였다. 이는 당시 까지 농촌 마을에 존재했던 공동노동과 공동체적 규범에 의한 자기 통제의 협업적 전통을 농촌 새마을운동의 마을사업에 적용하여 농 촌주민의 집합적 참여를 이끌어내고자 당시 정부의 의도가 작용하 였다(하재훈 2014: 265). 그 결과 새마을운동이 추진되는 과정에서 마을의 안녕과 질서 유지 등을 위한 전통적 공동체 기능은 약화되 고, 새마을 사업비의 충당이라는 물질적 기능이 부각됨으로써 마을 공동체 조직은 농촌 새마을운동의 물적 토대로서 작동하게 되었다.

새마을운동이 진행됨에 따라 마을 단위에 조직된 비자생적 조직 은 1977년 리‧동 단위 농민조직 정리 통합에 관한 정부의 지시에 의 해 새마을 영농회로 통합되었다. 1987년 집계에 의하면 새마을 영농 회는 전국 군 단위 모든 행정상 리‧동 35,435개 전부와 일부 도시근 교의 마을에 조직되어 있었다(정지웅 1981: 168). 농촌의 부녀 조직

역시 1977년 말 새마을부녀회로 통합하여 일원화되었다.

새마을운동은 마을 공동체 활동의 공식화를 촉진하는 계기로 작 용하였다. 새마을운동은 정부의 지시와 새마을 리더라는 공식적인 리더 중심의 의사결정구조를 농촌 마을에 이식하였다(박시현 외 2016: 37). 이러한 경험은 새마을운동 이후에 마을 공동체 활동이 보 다 공식화된 활동으로 변화하는 데 기여하였다. 새마을운동 이후 전 통적으로 연장자에게 집중되었던 농촌 마을 의사결정 구조는 젊은 구성원 및 전문역량을 가진 새로운 리더 그룹으로 분산되는 효과를 가져 왔다.

공식화된 공동체 활동은 농가의 영농형태, 주민들의 사회적 이해 의 다양화 등에도 영향을 받게 된다. 개별 농가 단위로 영농 활동이 이루어짐에 따라 과거 두레와 같이 마을 공동체가 개별 농가의 경제 활동을 직접 지원하는 경우가 줄어들었다. 마을은 개별 가구의 생산 및 주거 공간으로서의 의미가 강해졌다(최양부 1985). 또한 농가와 비농가 간의 사회조직 분화가 혈연성을 탈피하여 학연이나 관심사 와 같이 사회적 이해가 중시되는 조직으로 결성되었다.

상업농이 진전됨에 따라 농촌에도 전문화된 이익집단이 결성되기 시작하였다. 제도권 금융이 확대됨에 따라 마을금고, 저축계, 쌀계 등 전통적 집단들이 해체된 반면 1990년대에 들어오면서 작목반과 같은 전문화된 이익집단이 결성되기 시작하였다(오내원 외 2001a: 4).

<표 2-6>은 한국농촌경제연구원이 수행한 마을연구에서 마을의 조직 활동을 살펴본 것이다(성주인 외 2019). 표의 주민 설문조사 결 과, 마을에서 소멸한 사회조직으로 상조계와 혼사 관련 계와 같이 전통적인 상호 부조형 마을 조직이 주로 감소하였다. 반면에 고령화 에 따른 노인회, 마을 외부와의 연계하여 활동을 하는 동호회, 귀농·

귀촌 조직, 마을사업조직은 크게 소멸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고령화에 따른 청년회, 과거 새마을운동 시 조직된 새마을회, 마을

동이 저조한 이유는 고령화 등으로 주민의 활동력 저하와 함께 전통 적으로 수행되었던 농어촌 마을의 공동체 활동의 약화되었기 때문 이다.10 농가의 개별 경제활동의 증가는 농협과 같은 다목적 경제활 동 조직 등과 같이 마을 외부의 경제 조직과의 관계를 강화시키고 있다.

주민 들의 활동 범위가 넓어짐에 따라 공동체 활동의 공간적 범위 가 마을을 벗어난 광역으로 확대되고 있다. 광역화된 공동체 활동은 주로 귀농·귀촌인과 같이 외부 활동이 활발한 주민이 증가하는 한편 정부 지원 사업에도 영향을 받고 있다. 광역화된 공동체 활동은 공 동체 활동의 목표와 관심 영역이 기능적이고 분명하다는 점이 특징 이다. 광역화된 공동체 활동은 예를 들어 중간지원조직과 같이 정책 및 제도적 지원에 의해 형성된 공식화된 조직이 공동체 활동의 핵심 역할을 수행하는 경우가 많다. 최근에는 지방 분권화가 가속화됨에 따라 광역화된 공동체 활동이 지역 단위의 거버넌스와 파트너십으 로 발전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10 한국농촌경제연구원이 20년 동안 추적 관찰한 충청남도 4개 마을의 조직

문서에서 한국의 농촌개발 전략 (페이지 73-78)

Outline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