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여객통행 변화의 시‧도간 비교

문서에서 요 약 (페이지 165-169)

지금까지 5개 권역과 각 권역을 중심대도시, 주변 도시지역, 배후 농어촌지역 의 정주계층으로 구분하여 지역간에 여객통행 패턴이 어떠한 구조적 변화를 보 이는지를 살펴보았는데, 아래에서는 권역 및 정주계층간 여객통행 패턴 변화를 좀 더 구체적으로 살펴보고자 시‧도간 여객통행 패턴이 어떠한 구조를 지니고 있고 어떻게 변모되어 왔는가를 분석한다.

1998년과 2001년 사이의 시‧도간 여객통행 패턴을 비교해 보면, 전반적으로

7) 전통적으로 농어촌의 소도읍이 가지고 있던 전통 재래시장 등의 중심지 기능으로 인해 농어촌지역간 에 수평적으로 이뤄지던 교류가 교통발달 등에 따라 인근 도시지역과의 교류로 대체되는 현상이 그 대표적 사례가 될 것이다.

제 5 장∙상호교류패턴의 지역간 비교분석 143

대도시는 인접한 도(道)지역과 여객통행이 가장 많은 반면, 도(道)지역은 지역마 다 여객통행 패턴이 서로 다르다는 특징을 찾을 수 있다. 즉, <표 5-13>에 나타나 있듯이, 울산은 부산과 여객통행량이 가장 많고 나머지 대도시는 모두 인접한 도 (道)지역과 여객통행량이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나는 반면 도(道)지역의 경우에 는 지역마다 약간의 편차를 보이고 있는데, 경기, 전남, 경북, 경남 등은 권역 내 대도시와 여객통행이 가장 많은 반면, 전북은 충남과 여객통행이 가장 많고, 강 원은 서울, 충북과 충남은 경기와의 여객통행량이 가장 많음을 알 수 있다.

각 지역별로 좀 더 자세히 살펴보면, 먼저 수도권에서 서울의 경우에는 경기도 와의 여객통행량이 압도적으로 많은 것으로 나타나는데, 1998년에는 서울의 시‧

도간 여객통행량의 70.8%를 경기도와의 여객통행이 차지하고 있고, 2001년에는 그 비중이 더욱 증대되어 72.7%에 이르고 있다. 경기도 역시 서울과의 여객통행 량 비중이 1998년과 2001년에 각각 75.3%와 76.4%로 매우 높은 가운데 그 비중 이 증가하고 있다. 인천의 경우에는 서울과 경기도와의 여객통행량이 인천 전체 여객통행량의 거의 반반씩을 분담하는 형태를 보여주고 있다. 이는 수도권의 경 우 지역간 연계성이 극히 높아 하나의 통합된 정주공간이 형성되어 있음을 말해 주는 것이다.

다음으로 부산경남권을 보면, 부산의 경우에는 경남과의 여객통행이 부산의 전체 여객통행량의 50% 이상을 차지하고 있고, 경남 역시 부산과의 여객통행량 이 경남 전체 여객통행량의 50% 이상을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난다. 그리고 1998 년과 2001년 사이에 부산의 경우 경남과의 여객통행량 비중이 55.5%에서 58.0%

로 증가하고 있으며, 경남의 경우에서도 부산과의 여객통행량 비중이 전체의 51.0%에서 55.8%로 증가하고 있다. 이는 이 시기에 두 지역간의 연계성이 더욱 긴밀해지고 있음을 보여주는 결과라 할 수 있다. 울산의 경우에는 부산과의 여객 통행이 가장 많고, 경남보다 경북과의 여객통행이 많은 것으로 나타나는데, 이는 울산이 경북과 연접해 있어 경주, 포항 등 경북의 일부 도시와 여객통행이 많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된다.

144

<표 5-13> 여객통행 변화의 시‧도간 비교

시기 D O 서울 부산 대구 인천 광주 대전 울산 경기 강원 충북 충남 전북 전남 경북 경남 제주 계

1 9 9 8

서울 ■ 1.2 0.8 8.6 0.7 1.4 0.2 70.8 3.9 2.3 3.9 1.6 1.4 2.0 0.8 0.3 100 부산 6.4 ■ 3.8 0.1 0.4 1.0 15.2 1.3 1.3 0.6 0.7 1.5 3.5 8.0 55.5 0.6 100 대구 5.1 4.4 ■ 0.2 0.3 1.4 1.3 1.6 1.5 1.5 0.9 1.3 0.9 69.3 10.2 0.2 100 인천45.2 0.1 0.2 ■ 0.3 0.4 0.1 47.7 1.0 0.7 2.3 0.7 0.4 0.7 0.2 0.0 100 광주 7.1 0.8 0.5 0.6 ■ 0.8 0.2 2.5 0.3 0.5 1.2 11.0 71.7 0.6 1.5 0.7 100 대전13.1 1.8 2.1 0.8 0.7 ■ 0.3 6.9 1.7 17.8 35.7 10.0 1.5 5.8 1.7 0.0 100 울산 3.6 42.4 3.1 0.2 0.3 0.6 ■ 0.8 1.2 0.6 0.5 0.5 1.0 28.1 16.9 0.1 100 경기75.3 0.3 0.3 9.7 0.2 0.8 0.1 ■ 3.0 2.6 4.8 1.0 0.4 1.2 0.3 0.0 100 강원35.5 2.1 2.2 1.8 0.2 1.6 0.7 25.6 ■ 16.2 2.3 0.6 0.3 10.3 0.7 0.0 100 충북16.8 0.8 1.7 1.0 0.3 13.9 0.3 18.1 13.0 ■ 12.8 4.7 1.3 13.3 1.8 0.2 100 충남20.9 0.7 0.8 2.3 0.6 20.4 0.2 24.2 1.3 9.3 ■ 12.9 2.0 3.3 1.1 0.0 100 전북13.4 2.3 1.7 1.1 8.3 8.8 0.3 7.5 0.5 5.3 20.0 ■ 18.6 4.2 7.8 0.1 100 전남 9.2 4.4 1.0 0.5 44.8 1.1 0.5 2.7 0.2 1.2 2.6 15.4 ■ 3.0 13.3 0.1 100 경북 7.9 5.9 44.1 0.5 0.2 2.4 7.4 4.3 4.5 7.2 2.5 2.0 1.7 ■ 9.2 0.0 100 경남 3.7 51.0 8.1 0.2 0.7 0.9 5.6 1.3 0.4 1.2 1.0 4.7 9.7 11.6 ■ 0.0 100 제주54.8 18.9 5.6 0.0 9.9 0.0 1.1 0.0 0.1 4.2 0.0 1.8 2.2 0.8 0.6 ■ 100

2 0 0 1

서울 ■ 1.1 0.9 8.5 0.6 1.4 0.2 72.7 3.7 2.1 3.4 1.4 1.3 1.8 0.7 0.3 100 부산 5.7 ■ 5.2 0.2 0.3 1.0 14.2 1.3 1.0 0.6 0.7 1.7 3.3 6.3 58.0 0.6 100 대구 4.5 5.1 ■ 0.2 0.2 1.2 2.5 1.7 1.3 1.4 1.1 1.2 1.1 68.2 9.9 0.2 100 인천45.0 0.2 0.2 ■ 0.3 0.5 0.0 48.3 1.0 0.8 1.7 0.6 0.5 0.5 0.2 0.0 100 광주 5.5 0.6 0.4 0.6 ■ 0.6 0.2 2.7 0.3 0.4 1.3 10.6 74.8 0.5 0.9 0.5 100 대전12.2 1.7 2.1 0.9 0.6 ■ 0.3 6.9 1.5 20.5 35.5 9.9 2.0 4.7 1.2 0.0 100 울산 3.5 41.2 7.5 0.1 0.3 0.6 ■ 0.9 1.1 0.5 0.5 1.9 1.3 25.6 14.9 0.1 100 경기76.4 0.3 0.4 9.6 0.3 0.8 0.1 ■ 2.8 2.7 4.2 0.9 0.4 1.0 0.3 0.0 100 강원37.0 1.9 2.6 1.8 0.3 1.7 0.8 26.5 ■ 15.0 2.0 0.7 0.4 8.5 0.8 0.0 100 충북15.2 0.8 2.0 1.1 0.3 16.8 0.3 18.5 10.9 ■ 15.4 4.0 1.1 11.5 1.7 0.3 100 충남19.2 0.8 1.2 1.8 0.8 22.5 0.2 22.5 1.1 11.9 ■ 12.2 2.1 2.8 1.1 0.0 100 전북12.6 2.8 2.1 1.0 10.0 9.7 1.1 7.7 0.6 4.8 18.8 ■ 18.8 3.7 6.2 0.1 100 전남 8.3 4.0 1.4 0.6 51.2 1.4 0.6 2.7 0.2 1.0 2.3 13.7 ■ 2.2 10.4 0.0 100 경북 7.0 4.8 53.0 0.4 0.2 2.1 6.8 3.6 3.4 6.3 2.0 1.7 1.4 ■ 7.2 0.0 100 경남 3.6 55.8 9.6 0.2 0.5 0.7 4.9 1.3 0.4 1.2 1.0 3.6 8.3 9.0 ■ 0.0 100 제주55.3 18.3 6.1 1.0 8.0 0.0 0.7 0.0 0.0 6.1 0.0 2.0 1.1 0.6 0.8 ■ 100 주 : 1. 시‧도간 여객통행을 기준으로, 각 시‧도의 전체 여객통행량에서 해당 시‧도와의 여객통행

량이 차지하는 비율(%)을 기준으로 함.

2. 음영부분은 각 시‧도와 여객통행량이 가장 많은 시‧도를 나타냄.

자료: 국가교통데이터베이스(www.ktdb.go.kr).

제 5 장∙상호교류패턴의 지역간 비교분석 145

대구경북권을 보면, 대구와 경북의 경우에는 두 지역 상호간의 여객통행이 가 장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가운데 지리적으로 인접한 경남, 울산, 부산 등과의 여객통행도 어느 정도 이루어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난다. 이런 양상은 광주와 전 남의 경우에도 비슷하게 나타나고 있다. 즉, 광주와 전남도 상호간의 여객통행의 비중이 가장 크고 인접한 전북과 경남과의 교류도 어느 정도 이루어지고 있다.

또한 전남과 경북의 경우에는 서울과의 여객통행도 인접 시‧도와의 여객통행에 버금가는 수준으로 이루어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난다. 이 두 권역에서 다른 권역 과 특히 대비되는 특성은 대구와 광주의 경우 주변 도(道)지역 즉, 경북과 전남과 의 여객통행이 매우 높은 비중을 차지하는 반면 경북의 경우는 대구 이외 지역과 의 여객통행이 상당히 빈번한 것으로 나타나며, 전남 역시 광주 외 지역과의 여 객통행이 활발하고 전북의 경우는 충남, 서울 등과의 여객통행이 광주 못지 않게 빈번하다는 점이다. 이는 두 권역에서 중심대도시를 중심으로 한 정주공간의 통 합성이 상대적으로 낮음을 의미하는 것이다.

충청권에서는, 대전의 경우에는 충남과의 여객통행이 1998년과 2001년에 각각 전체의 35.7%와 35.5%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으나 다른 대도시의 경우와 비교해보면 상대적으로 적은 비중이라 할 수 있다. 이는 대전이 충남 및 인접 수도권 지역과 전북 등 인접 시‧도와의 여객통행도 상당한 비중으로 이뤄지고 있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특히, 서울과의 여객통행도 1998년과 2001년에 각각 전체의 13.1%와 12.2%로서 비수도권 대도시 중에서 지리적 인접성으로 인하여 가장 높은 비율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난다. 충남의 경우에는 대전과의 여객통행 이 경기와의 여객 통행과 거의 비슷한 수준이거나 오히려 더 낮은 수준인 것으로 나타난다. 즉, 1998년 충남과 대전의 여객통행은 충남의 시‧도간 여객통행량 전 체의 20.4%인데 반해, 충남과 경기의 여객통행량은 24.2%로서 오히려 더 높다.

또한 서울과의 여객통행도 1998년과 2001년에 각각 전체의 20.9%와 19.2%로서 20%에 육박하고 있다. 이러한 사실은 충남의 여객통행이 수도권 의존적임을 보 여주는 것이다.

146

충북, 강원, 제주의 경우는 여객통행에 있어서 수도권 의존도가 충남의 경우보 다 더욱 높은 것으로 나타난다. 즉, 충북은 1998년과 2001년 모두 경기와의 여객 통행이 시‧도간 여객통행에서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하여, 각각 18.1%와 18.5%

로 나타나고 있다. 서울과의 여객통행 비중도 매우 높아서 인접한 시‧도인 대전, 강원, 충남과의 여객통행보다 높거나 비슷한 수준을 보여준다. 1998년에 비해 2001년에는 충북의 시‧도간 여객통행에서 대전과 충남의 비중이 다소 증가하고 강원의 비중은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난다. 강원도의 경우에는 서울과 경기와의 여객통행 비중이 절대적으로 높게 나타나고, 인접한 충북과의 여객통행도 꽤 이 루어지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제주도의 경우에는 시‧도간 여객통행이 전체 여 객통행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매우 낮고, 대부분의 여객통행이 서울과 부산에 집 중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난다.

마지막으로 전북의 경우에는 충남과의 여객통행이 1998년과 2001년에 각각 전 체의 20.0%와 18.8%로 전북의 시‧도간 여객통행에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며, 서울과의 여객통행도 각각 13.4%와 12.6%로 광주와의 여 객통행 비중보다 높고 대전과의 여객통행도 광주와의 여객통행과 비슷한 수준인 것으로 나타난다. 이는 광주가 전북의 중심 대도시로서 기능을 수행하고 있지 못 하고 있는 상황에서, 전북의 인구는 인접 시‧도인 대전‧충남과 교류하거나 중간 도시를 거치지 않고 서울과 직접 교류하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다만 1998년 과 2001년을 비교해 보면 광주와의 여객통행 비중이 8.3%에서 10.0%로 증가하는 추세를 보여주고 있다.

문서에서 요 약 (페이지 165-16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