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권역내 인구이동의 비교

문서에서 요 약 (페이지 100-109)

이하에서는 수도권, 충청권, 호남권, 대구경북권, 부산경남권의 5개 권역을 기 준으로 하고, 각 권역을 중심대도시-주변 도시지역-배후 농어촌 지역으로 구성되 는 정주계층으로 세분하여 권역내 정주계층간 인구이동, 권역간‧정주계층간 인 구이동 등을 지역간에 비교 분석한다. 먼저 각 권역이 우리나라 전체 인구이동에 서 차지하는 비중을 보면, <표 4-8>에서 보는 바와 같이 수도권의 비중은 지난 20년 동안 지속적으로 증가한 반면 지방의 비중은 감소하는 가운데 수도권에 인 접한 충청권의 경우 최근 10년 사이에 그 비중이 증가하는 특징을 찾을 수 있다.

즉, 수도권의 경우 지난 20년 동안 우리나라 전체 인구이동량에서 차지하는 비중

<표 4-8> 권역 내 인구이동의 비중 변화

(단위 : %) 구 분 1980∼1985 1985∼1990 1990∼1995 1995∼2000

수도권 41.6 46.4 53.2 54.9

충청권 10.4 9.7 9.5 9.7

호남권 14.0 12.3 10.4 9.8

대구경북권 12.3 11.5 8.8 8.5

부산경남권 15.8 14.7 13.3 12.7

강원‧제주 6.0 5.5 4.8 4.5

합 계 100.0 100.0 100.0 100.0

주 : 전체 인구이동량에 대한 권역내 인구이동의 비중을 기준으로 함.

자료: 통계청. 각 연도. 인구 및 주택총조사 2% 표본자료.

78

이 1980∼85년의 41.6%에서 1995∼2000년의 54.9%로 증가하고 있으며, 충청권의 경우 1990∼95년의 9.5%에서 1995∼2000년의 9.7%로 증가세로 반전되고 있다.

이에 비해 호남권과 부산경남권, 그리고 강원‧제주지역의 경우는 전체 인구이동 량에 대한 비중이 지속적으로 감소하여 1995∼2000년 현재 전체의 12.7%와 4.5%

를 차지하고 있다.

권역내 정주계층간 인구이동을 보면, 수도 서울을 중심대도시로 하는 수도권 은 우리나라 전체 인구이동에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데, 권역 내에서 중심대도시인 서울로부터 주변 도시지역과 배후 농어촌지역으로 인구가 지속적 으로 순유출되는 구조적 특징을 보여주고 있다. 중심대도시인 서울로부터 인천 및 신도시를 포함하는 주변 도시지역과 배후 농어촌지역으로 인구 순유출 현상 이 지속되는 가운데, 특히 주변 도시지역으로의 인구 순유출 규모가 크게 증가하 다가 최근에 다소 완화되고 있다. <표 4-9>와 <그림 4-5>에 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지난 20년 동안 중심대도시에서 주변 도시지역으로 순유출되는 인구의 규 모는 수도권 내 전체 인구이동량의 19.7%(1980∼85)에서 36.8%(1990∼95)로 급 증하다가 1995∼2000년 사이에는 24.7%로 감소하고 있다. 수도권 내 주변도시지 역과 배후 농어촌지역간의 인구이동에 있어서는, 최근 인구 순이동 방향이 역전

<그림 4-5> 수도권 내의 지역간 인구이동 : 1995∼2000년

중 심 대 도 시 중 심 대 도 시

주 변 도 시 지 역 주 변 도 시

지 역

배 후 농 어 촌 지 역 배 후 농 어 촌

지 역

2 4 . 7

0 . 6

1 . 2

중 심 대 도 시 중 심 대 도 시

주 변 도 시 지 역 주 변 도 시

지 역

배 후 농 어 촌 지 역 배 후 농 어 촌

지 역

2 4 . 7

0 . 6

1 . 2

주 : 권역 내 전체 이동인구 중에서 순유입인구가 차지하는 비율을 나타냄.

자료: <표 4-9>.

제 4 장∙인구이동의 지역간 비교분석 79

<표 4-9> 수도권 내의 지역간 인구 순이동

(단위 : %) 시 기 전출지

전입지 중심대도시 주변도시지역 배후농어촌지역 합 계

1980-1985

중심대도시 -19.7 -3.3 -23.0

주변도시지역 19.7 4.0 23.7

배후농어촌지역 3.3 -4.0 -0.7

합 계 23.0 -23.7 0.7

1985-1990

중심대도시 -22.8 -0.2 -23.1

주변도시지역 22.8 5.0 27.8

배후농어촌지역 0.2 -5.0 -4.8

합 계 23.1 -27.8 4.8

1990-1995

중심대도시 -36.8 -1.1 -37.9

주변도시지역 36.8 0.9 37.7

배후농어촌지역 1.1 -0.9 0.2

합 계 37.9 -37.7 -0.2

1995-2000

중심대도시 -24.7 -1.2 -25.9

주변도시지역 24.7 -0.6 24.1

배후농어촌지역 1.2 0.6 1.8

합 계 25.9 -24.1 -1.8

주 : 권역 내 전체 인구이동량에 대한 순이동 인구의 비율을 기준으로 함.

자료: 통계청. 각 연도. 인구 및 주택총조사 2% 표본자료.

되어 배후 농어촌지역으로 주변 도시지역의 인구가 역류하는 현상을 나타내고 있다. 즉, 1995∼2000년 사이에 주변 도시지역으로부터 배후 농어촌지역으로 오 히려 인구가 유출되는 구조로 전환되면서 권역 내 전체 이동량의 0.6%가 주변 도시지역에서 배후 농어촌지역으로 순유출되고 있다. 수도권의 이러한 인구이동 특성은 중심대도시인 서울의 인구가 주변지역으로 확산되는 대도시광역화 현상 을 보여주는 것이라 할 수 있는데, 앞의 도시화와 인구분포에 관한 분석에서 최 근 중심대도시 서울의 절대인구수 자체가 감소하면서 역도시화 현상이 나타나고 있음을 보았다.

대전을 중심대도시로 하는 충청권의 경우는 수도권의 경우에서와는 달리 중심 대도시인 대전으로 주변 도시지역과 배후 농어촌지역에서 인구가 지속적으로 순 유입되고 있다. 즉, <표 4-10>과 <그림 4-6>에 알 수 있는 것처럼 대전충청

80

<그림 4-6> 충청권 내의 지역간 인구이동 : 1995∼2000년

2 . 4

6 . 7

4 . 9

중 심 대 도 시 중 심 대 도 시

주 변 도 시 지 역 주 변 도 시

지 역

배 후 농 어 촌 지 역 배 후 농 어 촌

지 역

2 . 4

6 . 7

4 . 9

중 심 대 도 시 중 심 대 도 시

주 변 도 시 지 역 주 변 도 시

지 역

배 후 농 어 촌 지 역 배 후 농 어 촌

지 역

주 : 권역 내 전체 이동인구 중에서 순유입 인구가 차지하는 비율을 나타냄.

자료: <표 4-10>.

<표 4-10> 충청권 내의 지역간 인구 순이동

(단위 : %) 시 기 전출지

전입지 중심대도시 주변도시지역 배후농어촌지역 합 계

1980-1985

중심대도시 0.2 23.1 23.4

주변도시지역 -0.2 23.8 23.6

배후농어촌지역 -23.1 -23.8 -47.0

합 계 -23.4 -23.6 47.0

1985-1990

중심대도시 2.4 19.5 21.9

주변도시지역 -2.4 23.9 21.5

배후농어촌지역 -19.5 -23.9 -43.4

합 계 -21.9 -21.5 43.4

1990-1995

중심대도시 6.2 15.5 21.7

주변도시지역 -6.2 15.5 9.3

배후농어촌지역 -15.5 -15.5 -31.0

합 계 -21.7 -9.3 31.0

1995-2000

중심대도시 2.4 4.9 7.3

주변도시지역 -2.4 6.7 4.3

배후농어촌지역 -4.9 -6.7 -11.6

합 계 -7.3 -4.3 11.6

주 : 권역 내 전체 인구이동량에 대한 순이동 인구의 비율을 기준으로 함.

자료: 통계청. 각 연도. 인구 및 주택총조사 2% 표본자료.

권의 경우 지난 20년 동안 주변 도시지역과 배후 농어촌지역으로부터 중심대도 시인 대전으로 인구가 지속적으로 순유입되는 가운데 규모 면에서 배후 농어촌

제 4 장∙인구이동의 지역간 비교분석 81

지역으로부터의 인구 순유입 규모가 주변 도시지역에 비해 압도적으로 높은 수 준을 유지하고 있다. 그리고 주변 도시지역과 배후 농어촌지역간 인구이동에 있 어서는 주변 도시지역으로 배후 농어촌지역의 인구가 지속적으로 순유입되고 있 는 가운데 그 규모 면에서는 주변 도시지역에서 중심대도시로의 순유입보다 약 간 높은 수준을 보여주고 있다. 충청권의 이러한 인구이동 특성은, 수도권의 경 우와는 달리 중심대도시 대전으로 인구가 집중되는 대도시 집중화 현상을 나타 내는 것이라 할 수 있다. 이와 함께 배후 농어촌지역에서 중심대도시 대전과 주 변 도시지역으로 비슷한 규모의 인구가 유입되고 있는 반면 주변 도시지역에서 중심대도시로의 인구유입은 비교적 낮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어 중심대도시와 주 변 도시지역이 정주계층에서 서로 대등한 위치에 있음을 엿볼 수 있다.

광주를 중심대도시로 하는 호남권의 경우, 중심대도시로 지속적으로 인구가 순유입되는 가운데 최근에는 주변 도시지역에서 중심대도시로의 인구 순유입이 확대되면서 주변 도시지역이 인구 순유출 현상을 경험하는 구조적 특징을 보여 주고 있다. <표 4-11>과 <그림 4-7>에서 보는 바와 같이, 1980년∼1990년의 10년 동안에는 호남권의 배후 농어촌지역으로부터 중심대도시인 광주와 주변 도시지 역으로 인구가 대량으로 순유입되는 가운데 주변 도시지역에서 중심대도

<그림 4-7> 호남권 내의 지역간 인구이동 : 1995∼2000년

4 . 2

3 . 0

5 . 9

중 심 대 도 시 중 심 대 도 시

주 변 도 시 지 역 주 변 도 시

지 역

배 후 농 어 촌 지 역 배 후 농 어 촌

지 역

4 . 2

3 . 0

5 . 9

중 심 대 도 시 중 심 대 도 시

주 변 도 시 지 역 주 변 도 시

지 역

배 후 농 어 촌 지 역 배 후 농 어 촌

지 역 주 : 권역 내 전체 이동인구 중에서 순유입인구가 차지하는 비율을 나타냄.

자료: <표 4-11>.

82

<표 4-11> 호남권 내의 지역간 인구 순이동

(단위 : %) 시 기 전출지

전입지 중심대도시 주변도시지역 배후농어촌지역 합 계

1980-1985

중심대도시 1.8 21.4 23.1

주변도시지역 -1.8 24.9 23.1

배후농어촌지역 -21.4 -24.9 -46.3

합 계 -23.1 -23.1 46.3

1985-1990

중심대도시 1.3 20.6 21.9

주변도시지역 -1.3 25.0 23.7

배후농어촌지역 -20.6 -25.0 -45.6

합 계 -21.9 -23.7 45.6

1990-1995

중심대도시 3.7 14.7 18.4

주변도시지역 -3.7 15.5 11.8

배후농어촌지역 -14.7 -15.5 -30.2

합 계 -18.4 -11.8 30.2

1995-2000

중심대도시 4.2 5.9 10.1

주변도시지역 -4.2 3.0 -1.2

배후농어촌지역 -5.9 -3.0 -8.9

합 계 -10.1 1.2 8.9

주 : 권역 내 전체 인구이동량에 대한 순이동 인구의 비율을 기준으로 함.

자료: 통계청. 각 연도. 인구 및 주택총조사 2% 표본자료.

시로의 인구 순유입은 미미한 수준을 보여주고 있다. 반면에 1990년∼2000년의 10년 동안에는 주변 도시지역으로부터 중심대도시로 순유입되는 인구규모가 확 대되면서 1995∼2000년 사이에는 주변 도시지역에서 인구가 순유출되고 있는 것 으로 나타나고 있다. 호남권의 이러한 인구이동 특성은, 대도시 주변에 도시계층 이 제대로 형성되지 못하고 있음을 말해 주는 것이라 할 수 있다. 즉, 호남권의 경우 배후 농어촌지역에서 주변 도시지역으로의 인구유입이 상대적으로 낮은 수 준을 보이는 가운데 주변 도시지역과 배후 농어촌지역이 공히 중심대도시로 많 은 양의 인구 순유출을 경험하고 있어 정주계층의 중간허리에 해당하는 중소도 시 지역이 제대로 형성되지 못하고 있으며 주변 도시지역과 배후 농어촌지역이 정주계층에서 서로 대등한 위치에 있음을 알 수 있다.

대구를 중심대도시로 하는 대구경북권의 권역 내 인구이동에서는 중심대도시

제 4 장∙인구이동의 지역간 비교분석 83

로의 인구 순유입 규모가 감소하다가 1990년 이후 주변 도시지역으로 중심대도 시 인구가 순유출되는 광역화현상이 나타나고 있다. <표 4-12>와 <그림 4-8>에 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1980년대에는 대구경북권의 배후 농어촌지역으로 부터 유출되는 인구가 중심대도시인 대구로 순유입되는 인구의 대부분을 차지하 는 가운데 그 규모는 지속적으로 감소하며, 1990년 이후에는 중심대도시 인구가 주변 도시지역으로 순유출되는 구조로 전환되고 있다. 대구경북권의 주변 도시 지역과 배후 농어촌지역간 인구이동에서는 인구 순이동 규모가 중심대도시와 배 후 농어촌지역간 인구이동에서보다 훨씬 적은 가운데 1985년 이후 배후 농어촌 지역으로부터 주변 도시지역으로 순유입되는 인구규모가 감소하고 있다. 이로부 터 대구경북권의 경우, 배후 농어촌지역의 인구가 중심대도시인 대구로 순유입 되는 가운데 최근 10년 사이에 중심대도시 인구가 주변 도시지역으로 순유출되 는 구조적 변화가 일어나고 있음을 발견할 수 있다. 이는 대구대도시가 광역화단 계로 이행되는 초기에 있음을 말해주는 것이며, 동시에 최근 배후 농어촌 지역과 주변 도시지역간의 인구 순이동이 매우 낮은 수준을 보이고 있는 것은 대구경북 권에서 배후 농어촌지역이 권역 내 도시지역과의 연계가 미약함을 시사하는 것 이라 할 수 있다.

<그림 4-8> 대구경북권 내의 지역간 인구이동 : 1995∼2000년

6 . 6 2 . 4

중 심 대 도 시 중 심 대 도 시

주 변 도 시 지 역 주 변 도 시

지 역

배 후 농 어 촌 지 역 배 후 농 어 촌

지 역

6 . 6 2 . 4

중 심 대 도 시 중 심 대 도 시

주 변 도 시 지 역 주 변 도 시

지 역

배 후 농 어 촌 지 역 배 후 농 어 촌

지 역 주 : 권역 내 전체 이동인구 중에서 순유입인구가 차지하는 비율을 나타냄.

자료: <표 4-12>.

문서에서 요 약 (페이지 100-1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