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라. 롯데제과

3. 시사점

기업의 윤리경영은 기업의 모든 행위가 초래하는 도덕적, 윤리적 책임의 문제와 직결되며 다시 기업이익과 연결된다. 왜냐하면 엔론이나 대우의 경우 에서처럼 비윤리적 경영은 엄청난 비용과 위험을 수반하기 때문이다. 기업의 사회적 활동에 대한 사회적 관심이 고조되면서 기업의 사회적 책임론이 보 편화되었고, 윤리경영은 기업의 사회적 존재가치에 대한 정당성을 부여받는 기본적인 전제가 되고 있다. 또한 윤리경영을 통한 기업활동은 기업의 사회

적 정당성뿐만 아니라 기업 및 국가의 경쟁력 제고와 직결된다는 점에서 윤 리경영은 기업의 경쟁력 강화 전략으로 고려될 수 있다.

북미지역에서는 지난 70년대 후반이래 기업의 자체 윤리강령이 채택되어 시행되고 있다. 그 배경에는 우선 기업이 소유자와 경영자의 이윤극대화라는 목표로만 존재할 수 없다는 인식이 내재되어 있고, 다음으로 산업사회 초기 와는 달리 오늘날의 기업은 합법성과 윤리성이라는 사회적 용인을 받지 않 고는 존재하기 어렵다는 논리가 내재해 있다. 우리 나라의 전국경제인연합회 도 각 기업의 윤리강령의 제정 확대를 촉구하는 한편 2001년에 전경련 산하 에 기업윤리임원협의회, 기업윤리지원센터, 기업윤리연구회와 같은 단체를 결성하여 기업윤리와 관련된 인프라 구축에 심혈을 기울이고 있다.

이 연구에서 사례로 조사된 국내 기업, 즉 포스코, 신세계, LG전자, 롯데제 과의 윤리경영의 내용을 종합분석 해보면, 윤리경영과 관련된 윤리강령의 제 정 및 실천적 프로그램은 최근 2~3년 이내에 제정되어 있음을 볼 수 있다.

따라서 우리 나라의 윤리경영은 이제 시작단계에 있으며, 비록 윤리강령을 제정한 기업이 전경련 산하기업 49.7%에 이른다고 하나 설문에 참여하지 않 은 기업과 윤리경영에 대한 관심이 상대적으로 적은 중소기업을 고려해 보 면 그 비율은 더욱 더 낮다고 하겠다. 게다가 윤리경영을 하기 위한 실천적 제도 마련 역시 일천하다고 할 수 있다.

하지만 기업의 윤리경영에서는 기업윤리강령이나 종업원 행동준칙과 같은 선언적이고 명시적인 원칙 제정만으로는 충분하지 않다. 기업활동에서 윤리 적 사안이 현실적으로 발생하였을 경우 실천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 제도적 장치가 기업 내에 제도화되는 것이 중요하다. 즉 윤리적 사안의 고발제도, 평가 및 포상제도, 기업윤리의식 개선을 위한 제도 및 기업윤리의 교육 등 기업윤리실천을 위한 제도적 장치의 확립이 요구된다고 할 수 있다.

기업차원의 노력과 더불어 기업윤리확립을 위한 사회의 지원도 매우 중요 하다고 할 수 있다. 시민단체나 종교단체 등의 NGO에서는 기업윤리를 모범 적으로 실천하는 기업을 선발하여 우수기업 윤리대상 등을 수여, 일반 시민 들에게 널리 알림으로써 이들 우수 기업의 대사회적 이미지를 고양하는 동 시에 모범적인 기업윤리 사례가 사회적으로 확산되도록 노력할 필요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