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가치창조의 극대화 이론

다. 경영원리 및 인재상의 변화

2) 가치창조의 극대화 이론

위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전통적인 기업행동의 논리는 자본의 논리를 반 영하는 이윤극대화(profit maximum)였으나 오늘날의 기업은 환경집단과의 신뢰성 있는 관계의 형성・유지를 위한 갈등의 극소화, 나아가서 가치창조의

극대화(value creation maximum)로 바뀌어지고 있다. 여기에서 기업이 창 출・부가・제공하는 가치란 종래의 경제적인 면에서 투자자에게 있어서 자 산가치 나 합병・취득(M&A)등 기업을 매매할 때의 가치 가 아닌 기업의 경 제적・사회적・문화적 존재의의 로 볼 수 있는 것으로서 사회의 다양한 주체 와 다양한 영역의 충족함의 창조와 실현에의 공헌능력( 풍족함의 창출에 대 한 도구성 )으로 정의된다.

다음〔그림 Ⅱ-5〕는 기업이 창출・제공하도록 사회가 요청하는 가치와 이 에 대응하는 기업의 사회적 역할의 확대를 나타낸 것이다. 따라서 기업은

〔그림 Ⅱ-6〕에서 보는 것과 같은 여러 이해관계자가 요구하는 다양한 가치 를 창출・제공하지 않으면 안 된다.

개별극대화

전체극대화

인간소외, 환경오염의 출현

・자본의 확대재생산의 극대화 (이윤추구)와 노동에의 분배율 의 향상(소득의 향상)

・생활자의 주체화・생활욕구 의 고차화

・인간성의 실현(인간소외의 해소)과 인간-환경계의 보전(환경파괴의 해소)

・생활환경의 질적 향상과 삶의 쾌적화・개성화(삶의 질 창조)

・인간환경의 질적 향상(환경창조) 과 다양한 문화의 창조(문화창조)

물질적・경제적 측면 정신적・생리적 측면

경제적 풍족함+생활적 풍족함 (경제적 풍족함+인간적 풍족함, 생활적 풍족함+문화적 풍족함) (경제적 풍족함+인간적 풍족함)

[풍족함의 영역]

풍 족 함 의

창 조 방 향

경제적 풍족함 인간적 풍족함

생활적 풍족함 문화적 풍족함

자료: 김원수(1995), p . 141.

〔그림 Ⅱ-5〕기업가치영역과 사회적 역할의 확대

대상

내용 기업(자본) 사원(인간) 소비자(생활) 지역(사회)

경제 가치

자본의 확대재생산 성장욕구의

충족력 (영리목적론)

사원의 경제욕구의

충족력 (노동분배론)

소비자의 생활욕구의

충족력 (사회분배론)

지역・국민경 제발전에의

공헌력 (산업분배론)

경제 가치의

확대

인간 가치

경영자욕구 (이념)의

실현력 (기업이념론)

사원의 인간성의

실현력 (인간가치

창조력)

소비자의 인간성의 확보력 (인간가치

창조력)

인간・환경계 의 보전력

(인간가치 확대력)

인간 가치의

확대

생활 가치

고객・수요・

시장의 창조력 (생산목적론)

직장환경의 쾌적성의

창조력 (생활가치

확대력)

소비자에의 쾌적성의

제공력 (생활가치

창조력)

지역환경의 쾌적성의

창조력 (생활가치

확대력)

생활 가치의

확대

문화 가치

기업의 개성표현력과

문화공헌력 (기업시민론)

기업문화의 창조력 (문화가치

확대력)

생활문화창조 에의 공헌력

(문화가치 확대력)

지역・사회의 창조력 (문화가치

창조력)

문화 가치의

확대

기업목적의 복합화

사원에의 기업다가치화

소비자에의 기업다가치화

지역사회에의 기업다가치화 자료: 김원수(1995), p . 142.

〔그림 Ⅱ-6〕기업의 다가치 모델

기업이 이와 같은 여러 가치를 부가・창출・제공할 수 있으려면 기업은 상호작용을 능동적으로 수행하는 학습 시스템이 되어야만 한다. 즉, 학습이 란 상호작용 속에서 여러 가지 시행착오를 거듭하면서 실패와 성공의 경험 을 토대로 하여 문제해결 능력을 누적적으로 형성하여 나가야 한다. 따라서 이때의 학습은 적응적 학습이 아니라 주체적・능동적인 학습이어야만 한다.

이들 기업이 적극적으로 환경에 작용하여 가면서 학습하는 과정이 바로 혁

신(innovation)의 과정이며, 이 과정을 통해 기업과 환경은 학습에 의해 스스 로 변혁되는 것이다. 기업을 가치창조를 극대화하기 위한 학습 시스템으로 볼 때 가장 기본적인 자원은 인적 자원과 관계의 두 가지이다. 학습을 하는 주체는 인간이며, 이들 개개의 인간이 서로 관계를 가지면서 기업이라는 조 직 속에서 학습해 가는 것이다. 이러한 점에서 기업윤리가 뿌리내리기 위해 서는 기업 내・외부의 제도적 측면에서 뿐 아니라 기업 가치를 창출하는 기 업인 및 종업원에 대한 교육이 함께 뒤따라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