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라. 서구 자본주의 윤리

여기서 합리적 계산은 기술적 가능성의 증대에 힘을 얻기도 했지만 보다 근본적으로는 서구사회의 구조적 특이성으로부터 유래했다고 보았다. 특히 사회구조적 부문 중에서도 합리적인 법과 행정체계 안에서 합리적 계산에 입각한 예측 가능한 경제활동이 가능할 수 있었다고 보는 것이다. 결국 베버 는 궁극적으로 자본주의의 출현은 서구문화의 합리적 성격 중에서 경제적 합리주의의 산물이라고 보았다.

경제체제는 여기에 부합되는 정신적 기질이나 에토스(ethos)가 있기 마련 인데, 종교적 관념이 일상의 행동을 지배하는 사회 속에서는 오직 종교적 관 념의 변화만이 새로운 사고방식과 행동양식의 출현을 가능케 했다는 것이다.

베버가 자본주의 경제체제에 부합되는 정신적 풍조, 즉 새로운 경제윤리 (economics ethics)의 기원을 종교적 관념의 개혁 속에서 찾는 까닭도 바로 여기에 있다. 베버는 근대자본주의의 역사적 형성을 주도한 사회계층이 압도 적으로 프로테스탄트였고, 또한 자본주의가 번성한 지역에서 종교개혁이 특 별히 우호적으로 받아들여졌다는 점에 주목함으로써, 근대 자본주의와 종교 개혁과의 내면적 친화관계를 추적했다. 프로테스탄티즘과 근대 자본주의 문 화와의 내면적 친화관계를 해명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이러한 친화적 관 계가 물질주의적인(materialistic) 혹은 최소한의 반금욕주의적인 삶의 쾌락 (anti-ascetic joy of life)의 측면에서가 아니라, 순수한 종교적 특성이라는 측 면으로부터 찾아져야 한다고 단언했다. 베버는 전통적인 카톨릭 교도들과 구 분되는 프로테스탄트들의 일련의 생활상의 특징들을 경제적 합리주의로 명 명하였다. 특히 직업활동에서 영리추구를 위한 적극적 기업활동, 강한 직업 적 성취동기, 경건하고 성실한 일상생활의 태도와 같은 것이 그것이다. 이러 한 특징으로 인해서 기업가 차원의 경제적 전통주의는 차츰 체계적이고 합 리적으로 정당한 이윤을 추구하려는 근대자본주의 정신으로 대체되어 갔다 는 것이다. 또한 노동자 차원의 경제적 전통주의는 일 자체를 절대적인 자 기목표, 즉 직업적 소명으로 받아들이는 등으로 근대자본주의는 발전의 동력 을 획득할 수 있었다는 것이었다.

베버는 근대 자본주의의 성격을 합리성 혹은 합리화의 관점에서 규정한다.

앞서 살펴본 바 있는 기술적, 법적, 행정적 요소의 계산(예측)가능성의 증대

가 외적 합리화라면 의식과 생활태도의 합리화는 내적 합리화라고 할 수 있 을 것이다. 베버는 이와 같이 두 요인의 합리성의 결합에서 근대자본주의의 발달조건을 찾고 있다. 물론 그의 설명의 역점은 내적 합리화에 두고 있으며 어느 정도는 양자를 인과론적으로 파악하기도 했다.

하지만 베버의 기본입장에 대한 비판도 있다. 자유경쟁을 극도로 배척한다 는 입장이나, 문헌자료만을 바탕으로 프로테스탄트교리가 바로 자본주의 정 신의 발전이라는 결과를 낳았다고 주장하는 것은 무리가 있다는 것이다. 하 지만 베버는 오직 프로테스탄트들의 금욕적 합리주의 윤리가 근대 개신교도 들의 행위동기에 영향을 주었던 사실이나 방향을 추적하고 있을 뿐이다. 오 히려 베버는 역으로 프로테스탄트들의 금욕주의가 발전해 나가는데 있어서 사회적 조건, 특히 경제적 조건의 총화에 의해 영향을 받고 있었음을 탐구해 야할 과제로 남겨놓고 있다.

근대 자본주의 정신에 근거한 핵심윤리 및 가치 - 물질적 부 강조

- 소명의식 - 정직/ 청렴 - 검소/ 절약 - 절제/ 중용

- 이타정신/ 봉사정신 - 조직헌신

- 완벽주의 - 준법정신 - 질서의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