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세계경제에서 대도시권의 경쟁력

문서에서 of the Capital Region (페이지 50-53)

사회적 기반 및 접근성 인적 자원 생산적 환경

◦ 기초 기반 - 도로 - 철도 - 항공 - 자산

◦ 기술적 기반 - ICT(정보통신기술) - 원격통신

- 인터넷

◦ 지식 기반 - 교육시설

◦ 공간의 질 - 주택 - 자연 환경 - 문화적 쾌적성 - 안전성

◦ 인구 동향 - 기술인력 이주 - 다양성

◦ 높은 수준의 기술인력 - 지식집약적 기술

◦ 기업 문화 - 낮은 진입장벽 - 위험부담 문화

◦ 분야별 집중도 - 균형 / 의존성 - 고용 집중 - 고부가가치 활동

◦ 국제화(세계화) - 수출, 글로벌 판매활동 - 투자

- 기업 문화

- FDI(외국인직접투자) 특성

◦ 혁신 - 특허 - R&D 수준 - 연구기관 및 대학 - 기업 및 연구기관간 연계 - 스필오버 효과

◦ 거버넌스 및 제도적 역량

◦ 이용 가능한 자본

◦ 전문화(특화)

◦ 경쟁 특성

자료 : Cambridge Econometrics and University of Cambridge. 2004.

“Regional Performance and Regional Competitiveness in Europe”. Presentation on Urban Development: Steps Ahead. Joint Institute for Innovation Policy.

<표 Ⅱ-2> 지역경쟁력의 구성 요소

관한 이론을 토대로 하되, 글로벌화된 경제체제에서 우위를 점하기 위해 필요한 핵심산업의 존재 여부, 글로벌 네트워크의 정도 등을 보다 강조하고 있다.

세계도시에 대한 관심을 촉발시킨 Sassen(1991)은 세계도시를 ‘세계 자본이 집 중되고 축적되어 초국적 기업, 금융, 거래활동, 권력 등이 상호 결합되는 세계경 제의 의사결정지’로 정의하였다. Thrift(1988)는 세계도시를 ‘경영, 연구개발, 전략 계획, 은행, 보험, 부동산, 회계, 법률서비스, 컨설팅, 광고 등과 같은 생산자서비 스의 경제활동이 활발한 중심도시’로 정의하였다. Taylor(2001)는 세계도시를 ‘경 제적 상호작용이 밀집하는 공간이며, 정보가 생산적인 지식으로 전환하는 전략 적인 장소’로 정의하고 있다. 또한 Taylor(2009)는 세계도시의 경쟁력은 해당 도 시의 고급생산자서비스 기능이 중요하다는 점도 강조하고 있다. 이에 따르면 고 급생산자서비스 기업은 다국적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세계경제 네트워크에서 다른 도시들과 연계가 강한 도시를 선호하기 때문에 세계도시에 집적하게 된다 는 것이다. Scott(2001)은 세계도시의 공간적 영역이 확대된 세계도시지역(global city-region)이 등장할 것이라 주장하고, 세계도시지역을 ‘세계화로 인한 국경 없 는 자유시장 경쟁의 가속화에 대응하기 위하여 국가(중앙정부)의 명령과 간섭에 서 벗어나 스스로 자원의 동원 및 재조직화를 통해 형성한 세계의 발전을 주도하 는 새로운 중심지역’으로 정의하였다. 이에 따르면 세계도시지역은 첨단기술 또 는 신기술산업으로 대표되는 유연적 제조업, 기업업무ㆍ금융활동ㆍ뉴미디어 등 과 같은 서비스 부문의 중요한 중심지로서, 다국적 기업 경영을 위한 중요한 활 동근거지로서 기능하게 된다. 이상의 논의를 종합하면, 세계도시는 주로 생산자 서비스업 또는 지식기반서비스업과 첨단제조업 등과 같이 높은 부가가치를 창 출하고 미래를 선도할 수 있는 산업에 특화되어 있으며, 이러한 분야의 국제적 기업이 입지해 있어 전세계적으로 중요한 위상을 지니는 지역으로 개념화할 수 있을 것이다.

구성요소 내 용 중 점 사 항 평 가 항 목

경제적 번영

경제 투입 요소의 경쟁력

경제활동을 위한 투입요소의 질

및 생산성 수준은? 노동 투입, 자본 투입, 규제 innovation

경쟁력

현재 수준이 향후에도 지속될만 큼 sustainable한가?

Innovation Track Record, 혁신인프라

산업클러스터의

경쟁력 경제활동의 통합/발전수준은? 보유 클러스터의 경쟁력 및 집 적도, 산업구조

장소 매력도

삶의 질 경쟁력 기본 생활환경 및 서비스경쟁력 은?

소득, 물가, 통근 및 근로시간, 의료, 안전, 교육, 문화 및 여가 사회구조 안정성 사회적 안정성이 유지될 것인

가? 소득불균형수준(Gini 계수)

생태학적 지속성 경제발전과 함께 그린인프라를 균형있게 추진 중인가?

공기오염, 인당 공원녹지면적, CO2배출량, 재생에너지

연계성

메가시티리전내

연계성 교통 및 산업의 연계성 수준은?

광역 교통인프라(철도, 도로), 통신 인프라, 산업클러스터 연 계성

글로벌 인프라 및

위상 글로벌리티(globality) 수준은?

영어능력, 외국인학교 및 병원, 문화개방 수준, 국제회의 개최 수, Global 기업 HQ 보유수, 국제기구수, 항공편연결 도시수 메가시티리전

거버넌스

정치ㆍ경제ㆍ문화적 특수성에 적합한 의사결장체계를 운영 중 인가?

광역경제권 거버넌스 선진화

자료 : 동아일보 미래전략연구소. 2009. 「미래의 경쟁력 메가시티」.

<표 Ⅱ-3> 메가시티리전 경쟁력의 구성요소

한편, 동아일보미래전략연구소(2009)는 세계도시 또는 세계적인 대도시권을 메가시티리전(Megacity Region)으로 명명하고, 메가시티리전의 경쟁력을 결정짓 는 요소를 개별 도시가 갖는 경제적 번영과 장소매력의 조화, 도시들 간의 연계 성 등 3가지로 규정하였다. 메가시티리전의 경쟁력을 결정하는 첫 번째 요소인

‘경제적 번영’은 주로 고부가가치형 산업구조에 기인하며, 지역이 지닌 투입 요 소의 경쟁력, 혁신 경쟁력과 산업클러스터의 경쟁력이 뒷받침되어야 한다는 점 을 강조하고 있다. 두 번째 요소인 ‘장소 매력도’는 해당 지역을 지속가능한 성장 이 가능한 커뮤니티로 만드는 모든 활동을 포함하는 요소로서, 삶의 질, 사회구

조의 안정성과 함께 공원녹지 면적, CO2 배출량, 재생에너지 등과 같은 생태학적 지속성이 뒷받침되어야 달성할 수 있다. 세 번째 요소인 ‘연계성’은 중심도시와 배후지 간 또는 다핵거점 간의 시너지 효과를 내는 메가시티리전의 핵심경쟁력 으로서, 메가시티리전 내 연계성, 글로벌 인프라 수준 및 지역의 글로벌 위상, 거 버넌스 등이 뒷받침되어야 한다는 점을 강조하고 있다.

문서에서 of the Capital Region (페이지 50-5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