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전략별 추진방안

1) 동해안 벨트 형성을 선도하는 기간교통망의 건설

(1) 도 로

◦ 동해안지역의 접근성을 높여 지역발전과 관광문화 개발을 촉진하여 국토의 균형발전에 기여하고, 통일시대에 대비하는 고속도로망의 건설

- 동해고속도로의 확장 및 노선연장을 통하여 고성~속초~강릉~삼척~울진~포항~

울산~부산으로 이어지는 고속도로의 건설

- 이를 통하여 통일시대를 대비하고, 동해안의 만성적 교통체증 해소와 설악․금강권 접근망을 확보하며, 지역특화산업의 발전 지원과 국토균형발전을 유도

◦ 수도권․경부축 및 내륙지역과 연계되는 고속도로망의 확충으로 수도권 및 경부축의 과 밀해소와 동해안지역의 발전을 촉진하여 국토의 균형있는 발전을 도모

- 7×9의 국토간선도로망 계획과 연계하여 동서간 고속도로망을 확충 - 간성~인제~철원~서울, 양양~춘천~서울의 수도권 연계 고속도로

- 삼척~영월~제천, 울진~영주~천안, 영덕~안동~청주, 포항~대구~김천~군산, 울산~함양의 경부축 및 국토내륙지역 연계 고속도로

◦ 기간교통망에 대한 원활한 접속을 위한 국도 등 도로망의 확충

- 고속도로, 철도 등 기간교통망에 쉽게 접근할 수 있는 연계교통망의 구축 - 주요 국도 및 지방도의 확․포장과 신설

◦ 항만, 공항, 산업단지 등의 원활한 물동량 처리와 효율적인 이용을 위한 연계도로, 배후 수송로, 진입도로 등의 건설

- 양양국제공항, 동해항 등의 이용촉진과 원활한 물동량 처리를 위한 연계도로 건설 - 울산신항만, 포항 영일만 신항과 연계한 고속도로 및 국도의 신설

- 주요 산업단지 진입 및 연결도로 확장․신설

(2) 철 도

◦ 동해안지역의 철도수송력을 획기적으로 증대시키고 환동해권의 관광자원 개발을 견인하 며, 나아가 남북간 철도망연결로 대륙간 연계철도망 구축에 기여함으로써 장차 남북 교 류․협력과 국제화의 전진 기간교통망 역할을 하게 될 철도망의 건설

◦ 시베리아 횡단철도(TSR)와 연결되는 환동해 중심교통축을 형성하고「설악․금강권」과 경주권을 연계하는 새로운 관광교통망을 형성

- 강릉~속초~고성을 연결하는 동해북부선의 건설 - 포항∼삼척을 연결하는 동해중부선의 신설 - 남북철도망(경원선, 금강산선)의 연결․복원

◦ 수도권과의 접근망 개선, 국토 내륙지역과의 연계 강화, 물동량의 원활한 처리 등을 위 한 철도노선의 신설과 확장

- 국토간선철도망계획과 연계하여 수도권 및 국토 내륙지역과의 접근망 개선을 위하여 속초~춘천, 강릉~원주, 울진~영주를 잇는 철도망의 신설

- 포항~울산~부산간 동해남부선의 복선전철화로 포항, 울산 물동량의 원활한 처리를 도모하고, 동해안 철도이용의 효율성을 제고시키며 향후 철도를 통한 동해안 지역간 인적․물적 교류를 촉진

◦ 경부고속철도 울산역 설치로 울산신항의 활용도를 제고시키고 부산지역의 과밀화로 인한 부작용을 완화시키며, 동해남부선의 기능을 활성화하여 물류중심지로서의 기능을 강화

(3) 공 항

◦ 환동해경제권 국제관광벨트의 관문역할을 담당할 국제공항의 확충 - 양양국제공항의 기능확충으로 국제거점기능과 이용편의성을 도모

- 장기적으로 산업수도 울산과 국제적 문화관광도시 경주를 찾는 외국인 방문객 증가에 대비하여 울산․경주․포항을 권역으로 하는 신국제공항을 건설하거나 울산공항을 국제공항으로 개항하기 위한 시설확충을 추진

◦ 동해안 벨트 중부지역의 항공접근성 제고와 관광활성화를 위한 지역공항의 확충 - 울진공항의 조기 완공과 양양국제공항 및 남부지역 국제공항간의 연계노선 확충으로

관광객의 이용편의성을 도모

- 울릉경비행장의 건설로 울릉지역의 교통접근성 제고와 연계관광의 활성화를 촉진

(4) 항 만

◦ 거점항만을 신설하여 환동해축을 국제항만축으로 변모시키고 환동해경제권의 국제물류 기반을 대폭적으로 확충

◦ 환동해경제권의 거점항만을 확충

- 급격히 성장하는 환동해권의 지리적·전략적 중심에 위치한 동해항을 복합허브항으로 육성하여 환동해권 물류교역의 거점화를 추진

∙ 환동해권 교류확대에 부응하고 수도권 물류분산을 통한 국가경쟁력 강화를 위해 동해항의 기능과 보완적인 신항만 건설

- 환동해권의 중심항만(Mega Hub Port)으로 포항영일만 신항을 건설하여 국제물류․

산업생산․비즈니스기능의 중추거점으로 육성

- 항만시설 부족으로 인한 만성적인 체선․체화 현상을 해소하고 국토 동남권의 환동해 거점항만으로 울산신항만을 개발

◦ 기존항만의 확충 및 정비

- 기존항만 시설의 확충 및 기능별 특화를 통해 항만기능의 효율성을 제고하여 해양관 광 활성화 및 환동해권 교류확대를 대비

∙ 속초항을 크루즈항으로 개발하여 북방교역과 연계한 해상관광 및 여객수송 기능을

강화

- 울산항 항만시설 운영의 효율성 증대를 위해 부두시설을 확충

2) 지역발전을 견인하는 산업중추도시 및 거점의 육성

(1) 산업중추도시의 육성

◦ 동해안 벨트지역의 주요 도시지역을 중심으로 지역특성에 따라 산업중추도시를 육성하 여 지역발전을 선도․견인하고 축 형성을 촉진

◦ 속초를 설악․금강연계 관광산업 중추도시로 육성

- 설악산․금강산을 새로운 국제관광지대로 변모시켜 나가기 위한 기반을 확충 - 설악산․금강산 일대와 연계되어 국제적 관광지대로 도약할 수 있도록 국제관광자유

지역을 조성하여 비자 없고 조세부담이 최소화되는 국제관광특구를 개발

- 속초항에 크루즈항 기능을 부여하여 금강․설악국제관광지대의 허브관광항의 기반을 구축

- 양양국제공항 개항지정을 통한 국제공항의 기능을 확충하고 국제교류협력의 거점지 로 육성(C.I.Q 및 면세점 설치)

◦ 포항을 철강산업 중추도시로 육성

- 철강산업으로 특화된 포항지역의 산업기반과 연구개발 인프라를 활용하여 철강, 신소 재․부품분야의 NT산업을 중점적으로 육성

∙ 나노기술연구개발지원센터 등의 설립을 통하여 나노기술의 연구기반을 마련하고, 영일만 신항 배후지역에 NT기업 중심의 산업부지를 조성․공급

- 포항공대와 포항제철의 고급인력과 자본 등 포항이 지닌 풍부한 과학기술혁신 잠재력 을 바탕으로 R&D특구로 지정하여 환동해 시대의 국제적 연구개발 거점으로 육성 - 인근의 창원(기계), 울산(자동차․정밀화학), 구미~대구~경산(전자․섬유)과 연계

하여 광역 나노산업벨트 구축을 추진

◦ 울산을 자동차산업 중추도시로 육성

- 울산의 3대 주력산업인 자동차, 조선, 정밀화학산업을 1차 전략산업으로 하되, 자동 차 산업을 핵심전략 산업으로 육성

- 세계적 자동차산업의 거점을 조성하고 자동차산업 클러스터를 육성 ∙ 국내 최대의 자동차 특화단지(일명 오토밸리)를 개발

∙ 지역내 혁신체제간의 협력을 강화하기 위한 체제정비를 도모하고 또한, 부산(부품 소재), 포항(철강), 경남(기계)과 연계되는「광역 클러스터」네트워크를 구축하여 클러스터의 경쟁력을 강화

∙ 국제(동북아)적으로는 세계적 자동차 클러스터인 일본의 도요다 클러스터 등과 네 트워크를 구성하는 방안을 추진하여 국제적으로도 인정받는 세계적인 자동차 집적 지를 형성

- 울산의 핵심산업인 조선산업이 향후에도 지속적인 국제경쟁력 확보할 수 있도록 조선 및 해양플랜트산업단지 조성, 조선해양기술통합혁신센터(UMTIC) 설치 등 조선산업 의 경쟁력을 강화

- 화학산업, 정밀화학산업, 환경산업 등 화학관련 산업의 혁신 클러스터를 구축하여 미 래의 새로운 주력산업을 창출

∙ 텔레매틱스(Telematics) 산업 육성으로 자동차․조선 관련분야를 IT와 접목하여 첨단화․정보화 등의 고부가가치화의 성장 견인

- 취약한 연구기능과 인력양성기능을 보완․확충하고, 산업발전을 지속적으로 보장하 는 데 긴요한 도시환경 조성에 주력

∙ 고급기술인력을 양성․보급하고 지역의 기술혁신을 추진할 수 있도록 일반대학이 나 지역특성을 감안한 과학기술대학 등의 신설이나 이전을 추진하며, 한국과학기 술연구원(KIST) 분원 설치로 추진

∙ 산업생산활동 관련 국가공공기관, 자동차․조선․석유화학산업 관련 국가공공기

관, 생산활동 지원 및 노동 관련 국가공공기관의 집적화를 도모

◦ 부산의 국제물류산업수도, 대구의 섬유패션산업수도와 기능적으로 연계하여 육성

(2) 거점의 육성

◦ 산업중추도시의 육성과 연계하여 동해안 벨트의 주요 거점지역에 지역특성에 따른 거점 기능을 육성하여 지역발전과 벨트 형성을 도모

◦ 고성지역을 접경지역의「한민족 평화․생태지대」조성과 연계하여 남북교류거점지역으 로 육성

- 남북교류타운, 통일전망대 개발

◦ 강릉을 중심으로 해양생물, 신소재산업 거점을 육성

- 풍부한 해양자원과 신소재자원을 산업화 할 수 있는 연구시설, 창업시설을 확충하고, 지역대학 및 KIST강릉분원과 협력체제를 구축

- Eco 부품소재인 신소재 산업과 해양생물산업의 거점지역으로 육성

- 문화관광기능과 강원도의 지하자원 등의 활용과 관련되는 국가공공기관을 적극 유치 하고, 이들 기관 및 관련단체, 그리고 관련 민간기업 등을 수용할 신개발구를 조성

- 문화관광기능과 강원도의 지하자원 등의 활용과 관련되는 국가공공기관을 적극 유치 하고, 이들 기관 및 관련단체, 그리고 관련 민간기업 등을 수용할 신개발구를 조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