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공공기관 이전의 필요성

공공기관 지방이전을 위한 정책과제와 효과

1. 공공기관 이전의 필요성

2. 공공기관 이전의 주요 쟁점 3. 효율적인 이전 추진을 위한 과제 4. 공공기관 이전의 효과

1. 공공기관 이전의 필요성

1) 수도권 집중과 지역불균형

◦ 지난 40여년간 수도권 집중억제를 위한 지속적인 노력에도 불구하고 인구, 산업 등 수도 권 집중현상이 지속되어 국토불균형 구조는 심화되고 있음

◦ 수도권과 지방의 경제력 격차도 시정되고 있지 않음

- 전반적인 지역경제의 실태를 반영하는 지역의 총량경제력 관점에서 볼 때 수도권과 지방의 경제력 격차는 시정되지 않고 있으며, 지방의 수도권 의존성도 지속되고 있음 - 최근 이러한 수도권과 지방간의 경제력 격차는 더욱 확대되는 경향을 보이고 있음

<표 1> 총량경제력의 수도권과 비수도권 비교(2000년)

2) 중추관리기능의 지방분산 추진

(1) 중추관리기능의 집중과 수도권 과밀

◦ 수도권정비계획법을 근간으로 한 수도권 정비계획이 1984년부터 수립되면서 수도권내 인구유발시설에 대한 규제와 인위적인 시설 이전 정책들이 시행되어 왔음

- 그러나 경제활동 기능의 수도권 집중, 특히 중앙부처, 공기업, 기업본사, 명문대학 등 중추관리기능의 수도권 집중은 보다 심화되고 있음

<표 2> 수도권 중추기능 집중도

구 분 수도권 비중

인 구 46.0%

제조업 고용기회 46.6%

중추기능

정(政) 중 앙 부 처

공기업 본사

100%

83.2%

산(産)

100대 기업 본사 500대 기업 본사 3000대 기업 본사

91.0%

82.6%

71.9%

학(學) 20개 명문대학 65.0%

자료: 박양호․김창현, 국토균형발전을 위한 중추기능의 공간적 재편방안, 국토연구원, 2002.

◦ 공공기관, 기업, 대학 등 제반 기능이나 시설 가운데 공공기관의 수도권 집중도가 가장 높은 경향을 보이고 있음

- 중앙행정기관의 67.2%, 정부산하기관의 85.5%가 수도권에 집중하고 있음. 특히 개별 법에 의해 설립된 공공법인의 대부분이 수도권에 소재하는 등 정부산하기관의 수도 권 집중도는 점점 더 심화되고 있음

<표 3> 수도권 공공기능의 입지 현황

◦ 공공기관의 분산이 필요한 또 다른 이유는 공공기관을 지방으로 이전함으로서 민간에

(2) 국내외 공공기관 지방이전 정책의 추이

◦ 3차례에 걸친 공공기관 지방이전 추진을 통해 60여 기관, 20,000여명이 지방으로 이전

3) 공공기관 지방이전의 필요성

(1) 지방의 성장기반 강화

◦ 지금까지 수도권 집중억제 정책은 지방이 성장할 수 있는 기반이 갖추어지지 않은 체 이루어져 왔음

- 수도권의 집중억제가 실효를 거두려면 수도권에서 분산되는 기능이 지방에 정착할 수 있는 기반이 구축되어야 함

◦ 지방의 성장기반을 마련하기 위해서는 전통적인 제조업의 입지뿐 아니라 지역발전의 성 장을 주도할 수 있는 혁신역량을 갖춘 대학, 연구소, 고급인력, 중추관리기능 등을 갖추 는 것이 매우 중요함

- 이러한 혁신역량을 갖춘 기관의 지방분산을 통해 지방의 성장기반 구축을 촉진할 수 있을 것임

◦ 공공기관의 지방이전은 지방 성장기반의 주요한 요소를 제공함으로서 지역발전의 계기 를 제공할 수 있음

- 공공기관은 전문적 지식을 지닌 고급인력을 갖추고 있어, 무엇보다도 지역의 혁신역 량을 강화시켜줄 수 있을 것임

- 지역의 이미지를 제고하여, 지역내 투자를 유인하는 계기를 제공하게 됨

- 이는 저개발된 지역의 생산 자원을 활용할 수 있는 등 지역의 기존 경쟁력 및 잠재력 을 최대한 발휘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게 됨

(2) 공공기능의 선도적 분산 유도

◦ 지금까지의 수도권 정책이 대기업, 제조업, 사무실 규제 등 일방적 규제에 의한 민간에 대한 입지 제한 정책에 머물고 있었음

- 공공부문의 경우에도 신규입지 규제라는 소극적인 정책으로 대처해 왔음

◦ 여기서 한발 더 나아가 보다 적극적으로 공공부분이 선도적으로 지방균형발전을 위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