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제25절 서울시 물순환 기본계획 연구(2004년) 1. 문제의 제기

서울시가 다가오는 새로운 시대를 맞아 안정되고 쾌적하며 풍요로운 환경도 시가 되기 위해서는 물순환의 연계를 중시하고 다양한 시책을 유기적으로 추 진하여 물이 바람직하게 순환하도록 적극적으로 노력하여야 한다. 이 연구는 도시유역의 물수지분석에 의한 물순환 현황 파악, 개선요소 도출, 목표설정과 대책방안 검토과정을 통하여 서울시가 도시기능을 발전유지하면서 자연물순

환 기능을 회복할 수 있는 「서울시 물순환 기본계획」을 마련하였다. 또한 서 울시가 물순환 기본계획을 달성할 수 있도록 물관련기관과 물순환형성을 위한 다양한 시책을 유기적으로 연계시킬 수 있는 구체적인 방안과 사업추진의 우 선순위결정 및 사업효과의 평가방법을 제시하였다.

2. 결론

1) 침투시설에 의한 물순환 개선

(1) 물순환 회복을 위한 우수침투대책량

우수대책량 산정을 위하여 갈수량이 가장 적게 모의된 1982년 강수량으로 기준강수량을 채택한다.

서울시 전체의 행정구역별 침투량은 81.8㎥/ha이며, 자치구별 면적당 우수 침투대책량은 동작구가 186㎥/ha로 가장 많았고, 금천구, 영등포구가 그다음으 로 많았으며, 강서구와 광진구가 16㎥/ha로 가장 적게 나타났다.

(2) 침투시설 설치 가능지역 검토

과거의 침수지역인 저지대가 아닌 곳, 녹지 및 오픈스페이스를 제외한 불투 수지역인 곳, 투수가 양호한 지역(점토 및 실트질 토양 제외), 사계절 평균지하 수심이 1m 이상인 지역을 대상으로 침투시설 설치 가능지역을 설정한다. 한편 자치구별 침투시설 설치 가능면적은 <표 2-3>과 같다.

구분 구면적(㎢) 침투시설

시 자치구별 우수저류대책량은 <그림 2-1>과 같다.

<그림 2-1> 서울시 자치구별 물순환회복을 위한 우수침투대책량

3) 빗물이용에 의한 물순환 개선방안

토지용도별 빗물집수이용가능량은 <표 2-4>와 같다.

구분 학교용지(천㎥) 공원(천㎥) 체육용지(㎥)

서울특별시 2,216 889 73,884

종로구 85.4 25.5

-중구 38.8 30.8 9,735.2

용산구 50.7 3.2 48.5

성동구 82.5 7.7

-광진구 102.7 64.3

-동대문구 99.3 10.5

-중랑구 59.4 12.6

-<표 2-4> 토지지목별 빗물집수 가능용량(2001)

구분 학교용지(천㎥) 공원(천㎥) 체육용지(㎥)

성북구 151.8 3.5

-강북구 40.4 5.9

-도봉구 58.9 9.4

-노원구 241.4 62.0

-은평구 48.4 5.6 510.4

서대문구 209.7 22.3

-마포구 57.0 4.6

-양천구 73.4 40.1 15,153.3

강서구 81.5 80.4 3,785.6

구로구 61.5 16.9

-금천구 26.8 12.0 1,410.5

영등포구 50.3 15.0

-동작구 94.3 49.5 171.4

관악구 89.7 22.0 949.8

서초구 79.6 59.4

-강남구 142.6 110.1 690.8

송파구 120.6 158.8 41,428.0

강동구 68.8 57.2

-<표 계속> 토지지목별 빗물집수 가능용량(2001)

4) 효율적 물이용에 의한 물순환개선 방안

물순환 개선방안으로서 중수도의 확대보급, 하수처리수의 재이용에 의한 물 순환 개선, 초기우수 및 월류수 저감에 의한 물순환 개선, 녹지공간확충에 의 한 물순환 개선 등을 진행하여야 한다.

3. 정책건의

서울시 물 관련 행정은 각각의 과제에 대해서 하천, 도시, 하수, 상수, 생활 환경, 자연환경 등의 실ㆍ국에서 치수대책, 이수대책, 환경대책 등으로 분류되 어 개별적, 종적으로 수행되어 왔으나 서울시의 물관리 행정이 물순환 관리 및

정보의 통합관리를 포함하는 물순환 기본계획 하에 관계 행정실ㆍ국들의 연계 와 시민ㆍ기업의 협력 하에서 유역 전체적으로 추진되도록 해야 한다.

행정체계는 현재 환경국, 건설기획국, 상수도사업본부 및 복지여성국 체계 에서 물관리 행정을 종합적이고 체계적으로 추진할 수 있도록 종합관리부문, 수자원부문, 물순환부문, 물환경부문의 조직체계로 나눈다.

서울시 물정보통합방안은 정보화 추진환경을 정비하고 물관리종합정보시스 템을 구축하는 것과 함께 시민들에게 제공하는 물관련 정보서비스체계를 구축 하는 것으로 한다.

물순환 종합계획의 수행은 시와 자치구의 시책을 통합하는 것과 함께 행정 ㆍ시민ㆍ기업과의 협동ㆍ연대를 강화하고 역할분담을 명확하게 제시하여 추 진사업을 계획하는 것으로 한다.

물순환 회복이 실현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권장시책이 필요하다.

-물순환 재생구상을 실현하기 위해서는 실시계획의 책정이 필요하다. 실시 계획에서는 구체적인 사업효과, 정비계획, 연차계획, 사업비, 사업부담 등 을 충분히 검토하여야 하며 이를 위해서는 전체의 정비 및 계획의 추진상 황 등을 파악하기 위한 기관으로 “추진협의회”의 설치 등도 필요하다.

-물순환 회복을 위해서는 행정기관과 시민과의 연대가 불가피하다. 행정기 관과 시민이 양호한 파트너십을 형성하고 상호 신뢰를 바탕으로 바람직한 물순환을 구축하는 것이 중요하며 이를 위해서는 물순환에 관한 파트너십 형성을 위한 설명회 등과 같은 주민의식개발활동이 필요하다.

-시뮬레이션모델의 신뢰도향상 및 사업실시 후의 효과평가를 위해서 기초 자료인 강우량, 수위, 수질 등을 계속적으로 관측하고 자료를 축적하여야 한다.

제26절 가정에서의 수돗물 사용량 기초조사연구(2004년)

Outline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