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제29절 하수처리장 유입량 감소원인 및 효과분석(2005년) 1. 문제의 제기

서울시 4개 하수처리장에 유입된 하수량은 청천 시 기준으로 1998년에서 2004년까지 864천㎥/일 감소하였다. 이 중 중랑하수처리장의 유입하수량이 다른 하수처리장에 비해 많이 감소하여 이 연구에서는 그 원인을 규명하고자 한다.

2. 결론

서울시 4개 하수처리장에 유입된 하수량은 15.4% 감소하였으나 같은 기간 동안에 서울시 하수도 보급인구는 10,319천명에서 10,285천명으로 0.33% 감 소에 그쳤다. 특히 중랑하수처리장의 유입하수량은 7년간 27% 감소하였으나 인구는 0.28% 감소하여 유입하수량 감소는 인구변화와 무관한 것으로 판단된 다. 서울시 상수생산량은 1998년에서 2004년까지 995천㎥/일 감소하였다. 중 랑, 탄천 서남, 난지하수처리구역으로 나누어 보면 각각 371천㎥/일, 60천㎥/

일, 256천㎥/일, 308천㎥/일 감소하였다.

하수로 전량 전환되는 상수의 조정량은 서울시 전체로는 102천㎥/일 증가하 였다. 중랑, 탄천 서남하수처리구역은 각각 40천㎥/일, 5천㎥/일, 60천㎥/일 증 가하였고 난지하수처리구역은 3천㎥/일 감소하였다. 유입하수량이 가장 많이 감소한 중랑하수처리구역의 경우 7년간 상수조정량 증가는 40천㎥/일(3.8%)에 지나지 않았으나 유입하수에서 상수조정량이 차지하는 비율은 48.7%에서 69.3%로 20% 넘게 증가하였다. 즉, 중랑하수처리장의 유입하수에서 상수조정 량을 제외한 양(지하수사용량과 불명수유입량)이 많이 감소하여 상대적으로 상수조정량이 차지하는 비율이 증가한 것을 의미한다. 이에 비해 탄천, 서남, 난지하수처리장의 유입하수 중에서 상수조정량이 차지하는 비율은 7년간 각

각 3.5%, 8.0%, 8.4%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나 중랑하수처리구역과 같은 큰 변 화는 보이지 않았다(<표 2-9> 참조).

1998 1999 2000 2001 2002 2003 2004 증/감 1998-2004

왔으나 하천유지용수로 이용하기 위하여 하천으로 방류하고 있어 하수처리장

따른 것으로 조사되었다.

상수의 누수량은 중랑, 탄천, 서남, 난지하수처리구역에서 각각 272천㎥/일, 11천㎥/일, 192천㎥/일, 223천㎥/일 감소하였다. 중랑하수처리장과 탄천하수처 리구역은 7년간 누수의 감소량이 불명수의 감소량보다 작게 나타났으나 서남 하수처리구역과 난지하수처리구역은 그 반대로 나타났다. 즉, 7년간 누수량이 감소한 만큼 유입하수량도 감소하였을 것이지만 상수관망으로부터 발생되는 누수가 상수관망과 하수관망의 위치 등에 따라 전량 하수처리장으로 유입된다 는 보장이 없어 유입하수량은 그만큼 감소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누 수량의 감소가 유입하수량의 감소에 영향을 미치는 것은 사실이지만 그것보다 지하수 등의 불명수량이 더욱더 큰영향을 준 것으로 판단된다.

하수처리구역 (천㎥/일) 1998년 2004년 감소량

중랑 불명수량 963 415 548

누수량 403 131 272

탄천 불명수량 342 291 51

누수량 66 55 11

서남 불명수량 687 529 158

누수량 330 139 192

난지 불명수량 432 308 124

누수량 333 110 223

<표 2-11> 4개 하수처리구역의 불명수량과 누수량의 변화

간ㆍ지선관거 개량에 따라 불명수는 중랑, 탄천, 서남, 난지하수처리구역에서 7년 동안 각각 90천㎥/일, 21천㎥/일, 67천㎥/일, 45천㎥/일 감소하였을 것으로 추정되었다. 이 양은 7년간 불명수 감소량의 각각 16.5%, 42.2%, 39.8%, 36.5%

를 차지한다. 불명수 감소량이 가장 많은 중랑하수처리구역에서 간․지선관거 가 가장 많이 개량되었으나 간․지선관거 개량이 불명수량 감소에 미치는 영향 은 가장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즉 중랑하수처리구역의 불명수량 감소에는 간․

지선관거 개량보다 더 크게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중랑, 탄천, 서남, 난지하수처리구역에서 각각 총 24.8㎞, 8.8㎞, 1.8㎞, 2.5㎞

의 차집관거 연장이 확장되었는데 중랑하수처리구역의 연장확장이 다른 처리 구역에 비해 작게는 2.8배에서 크게는 13.8배까지 많이 이루어졌다. 불명수 감 소는 차집관거 확장공사에 따른 계곡수 및 하천수의 유입량 감소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판단된다.

4개 하수처리장 유입하수량 감소를 통하여 직접적으로 하수처리효율 증대, 하수처리장 건설비용 절감과 하수처리비용 절감, 간접적으로 하수처리장 부지 축소로 인한 사회적 공간 활용 등의 효과가 기대된다.

2002년 하수도정비기본계획(변경)보고서에서 제시한 계획하수량과 현 시점 에서의 실제 유입량은 발생하수량과 불명수 부분 모두에서 많은 차이를 보이 고 있다. 따라서 현 시점에서 새로운 계획하수량 산정이 필요하다.

3. 정책건의

유입하수량의 감소는 불명수의 감소로 나타났다. 불명수의 감소원인은 노후 상수관교체와 하수관거정비에서 찾아보았으나 서울시의 불명수량 자료가 미 흡하여 각 사업에 따른 불명수량 감소를 정량적으로 나타내기에는 현실적인 한계를 지닌다. 따라서 유입하수량 감소 분석을 정량적으로 수행하기 위해서 는 모니터링 등을 통하여 불명수량의 실증적인 파악이 우선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고 판단된다.

유입하수량의 32.3%는 불명수이다. 불명수는 중랑, 탄천, 서남, 난지하수처 리장 유입수의 각각 27.2%, 35.5%, 32.7%, 37.9%를 차지하고 있다. 이 양을 감소시킬 수 있으면 하수처리비용 절감뿐 아니라 하수처리장 부지에 체육시설 및 공원 조성 등 다양한 활용이 가능하므로 앞으로도 유입 불명수량 감소를 위한 지속적인 투자를 통해 상수노후관 및 하수관망 정비 등에 대한 서울시의 노력이 요구된다.

불명수 감소에 많은 영향을 미치는 차집관거 정비 및 확장사업을 통하여 계 곡수와 하천수의 하수관거 유입차단을 위한 투자재원 확보와 정비가 요구된다.

하천 상류부의 계곡수에 대한 기존 하천 및 하수관거 말단부 등에 전폭 웨 어를 설치하여 일괄 차집하는 경우 불명수 유입저감을 위해 차집관거를 연장 시공하여야 한다. 그 대책방안으로 일반하천에는 원형관 또는 암거 시공이 필 요하다. 복개하천에는 U-Ditch, 밀폐 박스형 또는 원형관 부설이 필요하다. 또 한 수질상태가 양호한 지역은 하천차집시설을 제거하여 하천으로 방류한다.

하수관거 및 차집관거의 접합부, 맨홀의 노후 및 파손, 타관통과 등 관거불량 개소로부터 침입되는 지하수를 방지하기 위해 관거정비사업을 적극 추진한다.

차집관거상 중요한 지점을 선정하여 자동유량 기록장치 등을 설치하고 차 집관거 및 유입관거 등에 체계적이고 연속적인 유량관측을 실시함으로써 불 명수 유입지점의 조기발견 및 통제방법을 강구한다. 이러한 작업은 하수처리 장 운영과 관련하여 지속적이며 장기적인 계획에 의해 효율적으로 시행하여 야 한다.

2004년 12월말 현재 지하철역사로부터 발생하는 총 지하수량은 130천㎥/일 로서 이 중 70.8%에 해당하는 약 92.1천㎥/일이 하천으로 방류되고 있으나 나 머지 지하수량도 하천으로 방류하여 하수처리장의 효율 증대 및 하천의 건천 화를 방지하여야 한다.

제30절 시민적 수요에 부응한 하천유지용수 확보 및 공급

Outline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