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농식품 지원의 식생활 교육 연계 부족

제3장

2. 농식품 지원정책 평가

2.2. 농식품 지원정책의 성과와 당면과제

2.2.8. 농식품 지원의 식생활 교육 연계 부족

취약계층 대상 농식품 지원이 지속적으로 식생활을 변화시켜 영양 섭취 상태를 개선하고 건강에도 긍정적 영향을 미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식생활 교육을 병행해 추진해야 한다. 식생활 교육 프로그램은 수혜자들이 건강한 식생활에 필 요한 식품 선택에 도움을 줄 수 있는 내용으로 구성하며, 수혜자들의 신체적 여건 과 거주 지역 등을 감안하여 쉽게 접근할 수 있는 장소에서 교육 효과를 제고시키

는 방향으로 다양하게 추진될 필요가 있다. 또한 타 취약계층 지원프로그램과 연 동될 수 있도록 통합 전달체계를 활용하여 효율적으로 추진되어야 한다.

취약계층 농식품 지원사업 중 식생활 교육이 지원 내용에 포함되어 있는 사업 은 운영 중인 사업에서는 ‘건강과일바구니 지원사업’, ‘영양플러스사업’, ‘실버 건 강 식생활사업’이 해당되며, 시범사업으로 운영 중인 ‘농식품바우처 지원사업’과

‘임산부 친환경농산물 지원사업’이 있다.

구분 교육대상 교육 방식 교육 내용

건강과일 바구니 지원사업

아동관련 기관 이용 초등학생

영양교육 강사(영양사)에 의해 건강간식 및 올바른 식생활에 대하여 교육 실시

∙ 2~3종류의 제철 과일을 아동 1인당 80g~100g씩 섭취할 수 있 도록 제공

∙ 초등학교 정규 수업 시간인 약 40분 이내로 간단한 이론교육과 함께 체험활동 중심의 교육 실시

∙ 난이도 : 초등학교 중학년 수준

- 참가자가 이해할 수 있는 수준의 내용과 언어로 교육하며 참가 자의 영양적 요구와 흥미, 교육 정도 등을 최대한 고려하여 야 함

- 저학년과 고학년은 활동지 등의 난이도를 수정하여 교육의 흥 미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함

∙ 체험활동 : 간단한 조리 실습 등의 체험교육을 포함하도록 권장 - 영양교육이 매일 진행되는 것이 아니므로 주요 정보를 간략히

정리하여 교육 처음과 끝에 강조함

영양 플러스

사업

임신부, 출산 수유부, 영유아

영양개선을 위한 영양교 육으로써, 1회 이상의 가 정방문, 단체교육, 상담 등 영양교육 실시

∙ 주요 교육내용은 대상자별 식생활/영양 관리 방법, 식사구성안 을 이용한 식사계획, 식생활 실천지침, 모유수유, 올바른 이유식 시작과 진행, 보충식품을 이용한 음식 조리 등으로 구성

실버 건강 식생활

사업

65세 이상의 독거노인 등

취약계층 어르신

공동부엌 실습교육·가정 방문을 통한 맞춤형 영양 교육

∙ (방법) 개인별 영양상태에 따라 월1회 맞춤형 영양교육 및 상담 실시

∙ (이론교육) 대상자의 상황에 따라 단체교육과 개인・가정방문 상 담 선택

∙ (실습교육) 거동이 가능한 대상자인 경우, 스스로 식생활 관리 능 력 향상을 위하여 공동급식 조리실습을 포함하여 교육 - 단체교육 시 이론과 실습교육을 함께 진행할 것을 권장 - 단, 거동 불편자의 경우 가정방문 상담 시 관련 정보를 공유 임산부

친환경 농산물 지원사업

임산부, 출산부

이론교육 1시간(비대면 온라인 교육) * 4회

∙ 친환경 농산물과 연계한 식생활 교육

∙ 임산부 식생활 관리 교육

∙ 기타 지속가능한 식생활 교육

<표 3-23> 식품 지원제도의 식생활 교육 프로그램

(계속)

구분 교육대상 교육 방식 교육 내용

농식품 바우처 지원사업

농식품 바우처 수혜 대상자

(대면교육) 지역주민복지 시설(노인정, 마을회관, 행정복지센터), 그룹홈 및 단체신청기관(지역아 동센터, 자활센터) 등 시 범지역 읍면동 단위에서 1회 20명 내외간 대면교 육 실시

(온라인교육) 「신선한 먹 거리 공부 : 신선학교」 4 편을 YouTube에 탑재하 고, 카카오톡 채널을 통 해 교육참여

교육 대상자가 바우처로 구입한 신선농식품을 구매, 조리, 보관 등 일상생활에서 실천할 수 있는 식생활 교육 중심으로 구성 - 농식품바우처 사업소개

- 농식품바우처 사용방법 및 주의사항 안내(온라인몰 활용 등) - 나의 식생활 돌아보기

- 신선 식품과 다양한 식품군을 균형있게 섭취해야 하는 이유 - 계절별 제철 과일·채소

- 과일·채소 구매 및 보관 방법(지역 농산물이 좋은 이유) - 신선한 레시피(밥 도둑 채소쌈장, 제철과일 요거트볼) - 흰 우유, 달걀

- 우유·계란 구매 및 보관방법(인증마크)

- 신선한 레시피(매콤 달걀덮밥, 부드러운 우유카레)

자료: 보건복지부. (2013). 건강과일바구니 사업 매뉴얼; 보건복지부. (2021). 지역사회 통합건강증진사업 안 내(영양)를 토대로 저자 작성.

2020년 농식품바우처 시범사업 지역의 취약계층을 대상으로 기존에 식생활 관 련 교육을 받았던 경험이 있는지를 조사한 결과32) 전체 응답자 중 4.5%만이 식생 활 교육에 대한 경험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성별을 기준으로 보면 남성(6.0%) 이 여성(4.4%)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고, 연령이 높을수록 식생활 교육 경험이 증 가하였다.

농식품 지원제도 운영 시 식생활 교육을 병행할 필요성에 대해서 조사 결과 취 약계층과 사업 담당 공무원 모두 필요성을 높게 평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33) 취 약계층 대상 식생활 교육을 병행할 필요성에 대해서는 응답자의 62.2%가 필요하 다고 응답하였으며, 필요성 평가 점수가 73점(3.63점/5점)으로 취약계층에서 필 요성을 높게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식생활 교육의 필요성에 대한 인식 수준은 성별에 따라 비슷하였으며, 연령대가 높아질수록 증대하는 경향이 있었 다. 또한, 담당 공무원들도 취약계층 대상 농식품 지원사업에서 식생활 교육을 확 대할 필요가 있다고 응답한 비율이 64.3%에 달했으며, 식생활 교육 확대의 필요 성에 대해 73점(3.64점/5점)으로 높게 응답하였다.

32) 김상효 외(2021b).

33) 김상효 외(2021b).

<그림 3-16> 식생활 교육 병행 및 확대 필요성

단위: %, 점

구분 교육

경험 유 교육 경험 무

매우 불필요

약간 불필요

그저 그렇다

약간 필요

매우 필요

척도 평균 전체 4.5 95.5 7.1 9.0 21.7 37.8 24.4 3.63

성별 남성 6.0 94.0 6.3 8.2 23.0 41.6 20.8 3.62 여성 4.4 95.6 7.8 9.8 20.5 34.4 27.6 3.65

연령

40대 이하 3.5 96.5 10.4 10.4 28.9 34.5 15.7 3.34 50대 3.7 96.3 7.7 10.3 19.4 36.8 25.8 3.63 60대 4.2 95.8 4.1 7.0 20.2 42.0 26.7 3.80 70대 이상 4.8 95.2 5.5 8.6 13.3 37.5 35.2 3.89

식생활 교육 확대 필요성

주: 척도 평균은 5점 만점.

자료: 김상효 외(2021b)를 토대로 재구성하여 저자 작성.

3. 주요국 사례와 시사점-식생활 교육 융합 먹거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