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접선의 방정식

문서에서 Ⅰ 함수의 극한 (페이지 42-48)

정답과해설

042

다항함수의 미분법

⑴ f(x)=x¤ -3x+8로 놓으면 ㅇㅇf '(x)=2x-3

따라서 주어진 곡선 위의 점 (1, 6)에서의 접선의 기 울기는 f '(1)이므로

ㅇㅇf '(1)=2¥1-3=-1

⑵ f(x)=x‹ -2x¤ +x+3으로 놓으면 ㅇㅇf '(x)=3x¤ -4x+1

따라서 주어진 곡선 위의 점 (-1, -1)에서의 접선 의 기울기는 f '(-1)이므로

ㅇㅇf '(-1)=3¥(-1)¤ -4¥(-1)+1=8

1

⑴ f(x)=x¤ +4x-3으로 놓으면

⑴ ㅇㅇf '(x)=2x+4

점 (1, 2)에서의 접선의 기울기는 f '(1)이므로

⑴ ㅇㅇf '(1)=2¥1+4=6

따라서 기울기가 6이고 점 (1, 2)를 지나는 접선의 방 정식은

⑴ ㅇㅇy-2=6(x-1) ㅇㅇ∴ y=6x-4

⑵ f(x)=x‹ -x+1로 놓으면

⑴ ㅇㅇf '(x)=3x¤ -1

점 (1, 1)에서의 접선의 기울기는 f '(1)이므로

⑴ ㅇㅇf '(1)=3¥1-1=2

1

⑴이 접선에 수직인 직선의 기울기는

⑴ ㅇㅇ-

=-⑴따라서 기울기가 - 이고 점 (1, 1)을 지나는 직선 의 방정식은

⑴ ㅇㅇy-1=- (x-1)ㅇㅇ∴ y=- x+

`f(x)= x‹ +ax+b로 놓으면ㅇㅇf '(x)=x¤ +a 점 (1, 1)에서의 접선의 기울기는 f '(1)=-2이므로 ㅇㅇf '(1)=1+a=-2ㅇㅇ∴ a=-3

따라서 곡선 f(x)= x‹ -3x+b가 점 (1, 1)을 지나므로

ㅇㅇ -3+b=1ㅇㅇ∴ b=

ㅇㅇ∴ 2a+3b=2¥(-3)+3¥ =5

`f(x)=x¤ -3x+k로 놓으면ㅇㅇf '(x)=2x-3 x=1에서의 접선의 기울기는 f '(1)이므로 ㅇㅇf '(1)=2¥1-3=-1

이 접선에 수직인 직선의 기울기는 ㅇㅇ- =1

또 x=1일 때 f(1)=-2+k이므로 기울기가 1이고 점 (1, -2+k)를 지나는 직선의 방정식은

ㅇㅇy-(-2+k)=1¥(x-1)ㅇㅇ∴ y=x-3+k 이 식이 y=x-4와 일치해야 하므로

ㅇㅇ-3+k=-4ㅇㅇ∴ k=-1

⑴ `f(x)=x‹ -x+3으로 놓으면ㅇㅇf '(x)=3x¤ -1

접점의 x좌표를 a라 하면 접점의 좌표는

⑴ ㅇㅇ(a, a‹ -a+3) yy㉠ㅇ

x=a에서의 접선의 기울기가 2이므로

⑴ ㅇㅇf '(a)=3a¤ -1=2, a¤ =1

⑴ ㅇㅇ∴ a=1 또는 a=-1 yy㉡ㅇ

⑴㉡을 ㉠에 대입하면 접점의 좌표는

⑴ ㅇㅇ(1, 3), (-1, 3)

⑴따라서 기울기가 2이고 점 (1, 3)을 지나는 접선의 방 정식은

⑴ ㅇㅇy-3=2(x-1)ㅇㅇ∴ y=2x+1

⑴또 기울기가 2이고 점 (-1, 3)을 지나는 접선의 방 정식은

⑴ ㅇㅇy-3=2(x+1)ㅇㅇ∴ y=2x+5

4

1 f '(1)

3

11 3 11 3 1

3

1 3 1

2

3

3 2 1 2 1

2 1 2 1 2 1

f '(1)

개념check | 1 ⑴ -1 ⑵ 8

1 ⑴ y=6x-4 ⑵ y=- x+ 2 5 3 -1 4 ⑴ y=2x+1, y=2x+5

⑵ y=4x-14 ⑶ y=x+5, y=x-27 5 32 6 1 7 ⑴ y=2x+1, y=-2x+9 ⑵ y=3x+2 8 ㄱ, ㄴ 9 3'2 10 - 11 a=-1, y=2x+1

12 - 13 y=2x-2 14 y= x+2 5 1 5 1

11

4 3

3 2 1 2

유제 pp. 77~81

다항함수의미분법

043

⑵ `f(x)=x¤ -4x+2로 놓으면

⑴ ㅇㅇf '(x)=2x-4

접점의 x좌표를 a라 하면 접점의 좌표는

⑴ ㅇㅇ(a, a¤ -4a+2) yy㉠ㅇ

직선 4x-y+1=0에 평행한 x=a에서의 접선의 기 울기는 4이므로

⑴ ㅇㅇf '(a)=2a-4=4ㅇㅇ∴ a=4 yy㉡ㅇ

⑴㉡을 ㉠에 대입하면 접점의 좌표는

⑴ ㅇㅇ(4, 2)

따라서 기울기가 4이고 점 (4, 2)를 지나는 접선의 방 정식은

⑴ ㅇㅇy-2=4(x-4)ㅇㅇ∴ y=4x-14

⑶ `f(x)=x‹ -3x¤ -8x로 놓으면

⑴ ㅇㅇf '(x)=3x¤ -6x-8

접점의 x좌표를 a라 하면 접점의 좌표는

⑴ ㅇㅇ(a, a‹ -3a¤ -8a) yy㉠ㅇ

x축의 양의 방향과 이루는 각의 크기가 45˘인 접선의 기울기는 tan 45˘=1이므로

⑴ ㅇㅇf '(a)=3a¤ -6a-8=1, a¤ -2a-3=0

⑴ ㅇㅇ∴ a=-1 또는 a=3

⑴㉡을 ㉠에 대입하면 접점의 좌표는

⑴ ㅇㅇ(-1, 4), (3, -24)

따라서 기울기가 1이고 점(-1, 4), (3, -24)를 각 각 지나는 접선의 방정식은

⑴ ㅇㅇy-4=x+1, y+24=x-3

⑴ ㅇㅇ∴ y=x+5, y=x-27

`f(x)=x¤ -5x+1로 놓으면ㅇㅇf '(x)=2x-5 접점의 x좌표를 a라 하면 접점의 좌표는

ㅇㅇ(a, a¤ -5a+1) yy㉠ㅇ x=a에서의 접선의 기울기는

ㅇㅇf '(a)=2a-5

직선 y=-x+1의 기울기는 -1이고 접선은 직선 y=-x+1과 수직으로 만나므로

ㅇㅇ(2a-5)_(-1)=-1ㅇㅇ∴ a=3

a=3을 ㉠에 대입하면 접점의 좌표는ㅇㅇ(3, -5) 따라서 기울기가 1이고 점 (3, -5)를 지나는 접선의 방 정식은

ㅇㅇy-(-5)=x-3 ㅇㅇ∴ y=x-8

따라서 직선 y=x-8과 x축 및 y축으로 둘러싸인 도형의 넓이를 S라 하면

ㅇㅇS=1_8_8=32 2

y=x-8 y

O x

S 8

-8

5

f(x)=x‹ -x¤ +1로 놓으면ㅇㅇf '(x)=3x¤ -2x 접점의 x좌표를 t라 하면 접점의 좌표는 ㅇㅇ(t, t‹ -t¤ +1)

x=t에서의 접선의 기울기는 ㅇㅇf '(t)=3t¤ -2t

기울기가 3t¤ -2t이고 점 (t, t‹ -t¤ +1)을 지나는 접선 의 방정식은

ㅇㅇy-(t‹ -t¤ +1)=(3t¤ -2t)(x-t)

ㅇㅇ∴ y=(3t¤ -2t)x-2t‹ +t¤ +1 yy`㉠ㅇ 접선 ㉠이 직선 y=ax와 일치하므로

ㅇㅇ3t¤ -2t=a yy`㉡ㅇ ㅇㅇ-2t‹ +t¤ +1=0 Δ 2t‹ -t¤ -1=0 yy`㉢ㅇ

㉢을 조립제법을 이용하여 인수분해하면

ㅇㅇ

ㅇㅇ∴ (t-1)(2t¤ +t+1)=0 ㅇㅇ∴ t=1 (∵ 2t¤ +t+1>0) t=1을 ㉡에 대입하면

ㅇㅇ3¥1¤ -2¥1=aㅇㅇ∴ a=1

⑴ f(x)=-x¤ +4x로 놓으면ㅇㅇf '(x)=-2x+4 접점의 x좌표를 t라 하면 접점의 좌표는 ㅇㅇ(t, -t¤ +4t)

x=t에서의 접선의 기울기는 ㅇㅇf '(t)=-2t+4

기울기가 -2t+4이고 점 (t, -t¤ +4t)를 지나는 접선의 방정식은

ㅇㅇy-(-t¤ +4t)=(-2t+4)(x-t)

ㅇㅇ∴ y=(-2t+4)x+t¤ yy㉠ㅇ 이 직선이 점 (2, 5)를 지나므로

ㅇㅇ5=(-2t+4)¥2+t¤ , t¤ -4t+3=0

ㅇㅇ∴ t=1 또는 t=3 yy㉡ㅇ 따라서 ㉡을 ㉠에 대입하여 접선의 방정식을 구하면 t=1일 때ㅇㅇy=2x+1

t=3일 때ㅇㅇy=-2x+9

⑵ f(x)=x‹ +4로 놓으면ㅇㅇf '(x)=3x¤

접점의 x좌표를 t라 하면 접점의 좌표는 ㅇㅇ(t, t‹ +4)

x=t에서의 접선의 기울기는 ㅇㅇf '(t)=3t¤

기울기가 3t¤ 이고 점 (t, t‹ +4)를 지나는 접선의 방 정식은

7

1 2 -1 0 -1 F≥ 2 1 ≥1 2 1 1 Ï0

6

정답과해설

044

ㅇㅇy-(t‹ +4)=3t¤ (x-t)

ㅇㅇ∴ y=3t¤ x-2t‹ +4 yy㉠ㅇ 이 직선이 점 (0, 2)를 지나므로

ㅇㅇ2=-2t‹ +4, t‹ =1 ㅇㅇ(t-1)(t¤ +t+1)=0 ㅇㅇ∴ t=1 (∵ t¤ +t+1>0)

t=1을 ㉠에 대입하여 접선의 방정식을 구하면 ㅇㅇy=3x+2

`f(x)=x‹ 으로 놓으면 f '(x)=3x¤

접점의 x좌표를 t라 하면 접점의 좌표는 ㅇㅇ(t, t‹ )

x=t에서의 접선의 기울기는

ㅇㅇf '(t)=3t¤ yy㉠ㅇ

기울기가 3t¤ 이고 점 (t, t‹ )을 지나는 접선의 방정식은 ㅇㅇy-t‹ =3t¤ (x-t)

ㅇㅇ∴ y=3t¤ x-2t‹

이 직선이 점 (2, 4)를 지나므로 ㅇㅇ4=6t¤ -2t‹ , t‹ -3t¤ +2=0 ㅇㅇ∴ (t-1)(t¤ -2t-2)=0

ㅇㅇ∴ t=1 또는 t=1—'3 yy㉡ㅇ 따라서 ㉡을 ㉠에 대입하면 구하는 접선의 기울기는 ㅇㅇf '(1)=3¥1¤ =3

ㅇㅇf '(1+'3 )=3¥(1+'3 )¤ =12+6'3 ㅇㅇf '(1-'3 )=3¥(1-'3)¤ =12-6'3

이므로보기에서 접선의 기울기가 될 수 있는 것은 ㄱ, ㄴ 이다.

f(x)= x› +3으로 놓으면ㅇㅇf '(x)=x‹

접점의 x좌표를 t(t>0)라 하면 접점 P의 좌표는

ㅇㅇP{t, t› +3} yy㉠ㅇ

x=t에서의 접선의 기울기는 ㅇㅇf '(t)=t‹

기울기가 t‹ 이고 점 {t, t› +3}을 지나는 접선의 방정 식은

ㅇㅇy-{ t› +3}=t‹ (x-t)

ㅇㅇ∴ y=t‹ x- t› +3 이 직선이 점 (0, 0)을 지나므로 ㅇㅇ0=0-3 t› +3, t› =4

4 3 4 1 4

1 4 1

4 1

9

4

8

ㅇㅇ(t+'2 )(t-'2 )(t¤ +2)=0 ㅇㅇ∴ t='2 (∵ t>0)

따라서 t='2 를 ㉠에 대입하면 접점 P의 좌표는 ㅇㅇP('2, 4)

ㅇㅇ∴ OP”="√('2 )¤ +4¤ =3'2

f(x)=ax‹ +bx, g(x)=bx¤ +cx+1로 놓으면 ㅇㅇf '(x)=3ax¤ +b, g '(x)=2bx+c 두 곡선이 모두 점 (1, 0)을 지나므로

ㅇㅇf(1)=a+b=0 yy`㉠ㅇ ㅇㅇg(1)=b+c+1=0 yy`㉡ㅇ x=1에서의 접선의 기울기가 같으므로

ㅇㅇf '(1)=g '(1) ㅇㅇ3a+b=2b+c

ㅇㅇ∴ 3a-b-c=0 yy`㉢ㅇ

㉠에서 a=-b이므로 이를 ㉢에 대입하면

ㅇㅇ-3b-b-c=0ㅇㅇ∴ 4b+c=0 yy`㉣ㅇ

㉡, ㉣을 연립하면ㅇㅇb= , c=-

a=-b이므로ㅇㅇa=-ㅇㅇ∴ a+b+c=- + +{-

}=-f(x)=x‹ +ax+3, g(x)=x¤ +2로 놓으면 ㅇㅇf '(x)=3x¤ +a, g '(x)=2x

두 곡선이 x=t에서 접한다고 하면

x=t에서의 함수 f(x), g(x)의 함숫값이 같으므로 ㅇㅇf(t)=g(t)

ㅇㅇ∴ t‹ +at+3=t¤ +2 yy㉠ㅇ 또 x=t에서의 접선의 기울기가 같으므로

ㅇㅇf '(t)=g '(t)

ㅇㅇ∴ 3t¤ +a=2t Δ a=2t-3t¤ yy㉡ㅇ

㉡을 ㉠에 대입하여 정리하면 ㅇㅇt‹ +(2t-3t¤ )¥t+3=t¤ +2 ㅇㅇ2t‹ -t¤ -1=0

ㅇㅇ∴ (t-1)(2t¤ +t+1)=0 ㅇㅇ∴ t=1 (∵ 2t¤ +t+1>0) 따라서 t=1을 ㉡에 대입하면 ㅇㅇa=2-3=-1

이때 x=1에서의 접선의 기울기는 ㅇㅇg'(1)=2

이고, 접점의 좌표는 (1, 3)이므로 구하는 공통접선의 방 정식은

ㅇㅇy-3=2(x-1) ∴ y=2x+1

1 1

4 3 4 3 1 3 1 3

1 3

4 3 1

3

0

1

다항함수의미분법

045

f(x)=x¤ -3, g(x)=ax¤ 으로 놓으면

ㅇㅇf '(x)=2x, g '(x)=2ax 두 곡선의 교점의 x좌표를 t라 하면

x=t에서의 함수 f(x), g(x)의 함숫값이 같으므로 ㅇㅇf(t)=g(t)

ㅇㅇ∴ t¤ -3=at¤ yy㉠ㅇ 또 x=t에서의 곡선 y=f(x), y=g(x)의 두 접선의 기 울기의 곱이 -1이므로

ㅇㅇf '(t)¥g'(t)=-1 ㅇㅇ2t¥2at=-1

ㅇㅇ∴ 4at¤ =-1 yy㉡ㅇ

㉠을 ㉡에 대입하면

ㅇㅇ4(t¤ -3)=-1 ∴ t¤ =

t¤ = 을 ㉡에 대입하면

ㅇㅇ4a¥ =-1ㅇㅇ∴

a=-x ⁄ 1일 때 (분모) ⁄ 0이고 극한값이 존재하므로 ㅇㅇ(분자) ⁄ 0 Δ f(x)=0

ㅇㅇ∴ f(1)=0 yy㉠ㅇ

`f(1)=0을 주어진 식에 대입하면

ㅇㅇ = =2

ㅇㅇ∴ f '(1)=2 yy㉡ㅇ

㉠에 의하여 곡선 y=f(x)는 점 (1, 0)을 지나고 ㉡에 의 하여 x=1에서의 접선의 기울기가 2이므로 구하는 접선 의 방정식은

ㅇㅇy=2(x-1)ㅇㅇ∴ y=2x-2

점 (3, a)의 직선 y=x에 대한 대칭점은 ㅇㅇ(a, 3)

점 (a, 3)은 곡선 f(x)=x‹ +2x 위의 점이므로 ㅇㅇa‹ +2a=3, a‹ +2a-3=0

ㅇㅇ(a-1)(a¤ +a+3)=0

ㅇㅇ∴ a=1 {∵ a¤ +a+3={a+ }¤ + >0}

f '(x)=3x¤ +2이므로 x=1에서의 접선의 기울기는 ㅇㅇf '(1)=5

따라서 기울기가 5이고 점 (1, 3)을 지나는 접선의 방정 식은

ㅇㅇy-3=5(x-1)ㅇㅇ∴ y=5x-2 11

4 1 2

4 1

f(x)-f(1) lim x-1

x⁄1

f(x) lim x-1

x⁄1

limx⁄1

3 1

1 11 11

4 11

4

11 4

2

1

이때 곡선 y=f —⁄ (x) 위의 점 (3, a)에서의 접선은 곡선

y=f(x) 위의 접선 y=5x-2와 직선 y=x에 대하여 대 칭이므로

ㅇㅇx=5y-2ㅇㅇ∴ y= x+2 5 1 5

f(x)=x‹ -2x+1로 놓으면ㅇㅇf '(x)=3x¤ -2 접점의 x좌표를 t라 하면 접점의 좌표는

ㅇㅇ(t, t‹ -2t+1) yy`㉠ㅇ x=t에서의 접선의 기울기는

ㅇㅇf '(t)=3t¤ -2

따라서 기울기가 3t¤ -2이고 점 (t, t‹ -2t+1)을 지나 는 접선의 방정식은

ㅇㅇy-(t‹ -2t+1)=(3t¤ -2)(x-t) ㅇㅇ∴ y=(3t¤ -2)x-2t‹ +1 이 직선이 점 (0, -1)을 지나므로 ㅇㅇ-1=-2t‹ +1

ㅇㅇt‹ -1=0, (t-1)(t¤ +t+1)=0 ㅇㅇ∴ t=1 (∵ t¤ +t+1>0)

t=1을 ㉠에 대입하면 접점의 좌표는ㅇㅇ(1, 0) 이때 접선의 기울기가 f '(1)=1이므로 접선에 수직인 직 선의 기울기는 -1이다.

따라서 기울기가 -1이고 점 (1, 0)을 지나는 직선의 방 정식은

ㅇㅇy-0=-(x-1)ㅇㅇ∴ y=-x+1

`f(x)=-x‹ +6x¤ +4x-1로 놓으면

ㅇㅇf '(x)=-3x¤ +12x+4=-3(x-2)¤ +16 이므로 x=2일 때, (최댓값)=16

따라서 x=2일 때 기울기가 16으로 최대인 접선의 접점 의 좌표는 (2, 23)

따라서 기울기가 16이고 점 (2, 23)을 지나는 접선의 방 정식은

ㅇㅇy-23=16(x-2)ㅇㅇ∴ y=16x-9

2 1

1 y=-x+1 2 y=16x-9

3 y=4x+7 4 -2 5 y=12x-16

6 3 7 1 또는 3 8 y= x+

9 3개 10 ① 11 ④

16 9 1 9

pp. 82~83

연습 문제

정답과해설

046

y=x‹ +ax¤ +(2a+1)x+a+5를 a에 대하여 정리하면 ㅇㅇa(x+1)¤ +(x‹ +x+5-y)=0

이 식은 a에 대한 항등식이므로 ㅇㅇx+1=0, x‹ +x+5-y=0 ㅇㅇ∴ x=-1, y=3

따라서 a의 값에 관계없이 일정한 점 P는ㅇㅇP(-1, 3) f(x)=x‹ +ax¤ +(2a+1)x+a+5로 놓으면

ㅇㅇf '(x)=3x¤ +2ax+2a+1

x=-1에서의 접선의 기울기는 f '(-1)이므로 ㅇㅇf '(-1)=3-2a+2a+1=4

따라서 기울기가 4이고 점 P(-1, 3)을 지나는 접선의 방정식은

ㅇㅇy-3=4(x+1)ㅇㅇ∴ y=4x+7 f(x)=x‹ +ax+b로 놓으면ㅇㅇf '(x)=3x¤ +a 접점의 x좌표를 t라 하면 접점의 좌표는 ㅇㅇ(t, t‹ +at+b)

x=t에서의 접선의 기울기는 f '(t)이므로 ㅇㅇf '(t)=3t¤ +a

따라서 기울기가 3t¤ +a이고 점 (t, t‹ +at+b)를 지나 는 접선의 방정식은

ㅇㅇy-(t‹ +at+b)=(3t¤ +a)(x-t) ㅇㅇ∴ y=(3t¤ +a)x-2t‹ +b

이 접선이 직선 y=2x-1과 일치하므로

ㅇㅇ3t¤ +a=2ㅇㅇ∴ a=2-3t¤ yy㉠ㅇ ㅇㅇ-2t‹ +b=-1ㅇㅇ∴ b=2t‹ -1 yy㉡ㅇ 그런데 곡선 y=f(x)가 점 (1, 1)을 지나므로

ㅇㅇf(1)=1+a+b=1

ㅇㅇ∴ a+b=0 yy㉢ㅇ

㉠, ㉡을 ㉢에 대입하여 정리하면 ㅇㅇ2t‹ -3t¤ +1=0

ㅇㅇ(2t+1)(t-1)¤ =0

ㅇㅇ∴ t=- 또는 t=1 yy`㉣ㅇ

㉣을 ㉠, ㉡에 각각 대입하면

ㅇㅇa= , b=- 또는 a=-1, b=1 이때 a<b이므로ㅇㅇa=-1, b=1 ㅇㅇ∴ a-b=-2

f(x)=x‹ 으로 놓으면ㅇㅇf '(x)=3x¤

접점의 x좌표를 a라 하면 접점의 좌표는 ㅇㅇ(a, a‹ )

x=a에서의 접선의 기울기는 f '(a)이므로 ㅇㅇf '(a)=3a¤

5

5 4 5

4 1 2

4

3

따라서 기울기가 3a¤ 이고 점 (a, a‹ )을 지나는 접선의 방

정식은

ㅇㅇy-a‹ =3a¤ (x-a)

ㅇㅇ∴ y=3a¤ x-2a‹ yy`㉠ㅇ 또 g(x)=x‹ -32로 놓으면ㅇㅇg '(x)=3x¤

곡선 y=g(x)의 접점의 x좌표를 b라 하면 접점의 좌표는 ㅇㅇ(b, b‹ -32)

x=b에서의 접선의 기울기는 g '(b)이므로 ㅇㅇg '(b)=3b¤

따라서 기울기가 3b¤ 이고 점 (b, b‹ -32)를 지나는 접선 의 방정식은

ㅇㅇy-(b‹ -32)=3b¤ (x-b)

ㅇㅇ∴ y=3b¤ x-2b‹ -32 yy`㉡ㅇ

㉠, ㉡이 일치해야 하므로

ㅇㅇ3a¤ =3b¤ yy`㉢ㅇ ㅇㅇ-2a‹ =-2b‹ -32 yy`㉣ㅇ

㉢에서ㅇㅇa¤ -b¤ =0

ㅇㅇ(a+b)(a-b)=0ㅇㅇ∴ a=b 또는 a=-b a=b를 ㉣에 대입하면

ㅇㅇ-2a‹ =-2a‹ -32 ㅇㅇ0¥a‹ =32ㅇㅇ∴ 해가 없다.

a=-b를 ㉣에 대입하면 ㅇㅇ-2a‹ =2a‹ -32, a‹ -8=0 ㅇㅇ(a-2)(a¤ +2a+4)=0

ㅇㅇ∴ a=2 (∵ a¤ +2a+4=(a+1)¤ +3>0) ㅇㅇ∴ b=-2

a=2 또는 b=-2를 ㉠ 또는 ㉡에 대입하여 구하는 공통접선의 방정식을 구하면

ㅇㅇy=12x-16

f(x)= x‹ -ax¤ 으로 놓으면ㅇㅇf '(x)=x¤ -2ax 주어진 접선의 기울기가 2이므로

ㅇㅇf '(x)=x¤ -2ax=2

이때 두 접선의 접점의 x좌표가 각각 a, b이므로 a, b는 방정식

ㅇㅇx¤ -2ax-2=0 의 두 근이다.

따라서 근과 계수의 관계에 의하여

ㅇㅇa+b=2a, ab=-2 yy`㉠ㅇ

이때 a¤ +b¤ =40이므로 ㅇㅇa¤ +b¤ =(a+b)¤ -2ab ㅇㅇ40=4a¤ +4 (∵ ㉠)

ㅇㅇa¤ =9ㅇㅇ∴ a=3 (∵ a>0) 1

6

3

다항함수의미분법

047

`f(x)=-x¤ +4x-3에서 ㅇㅇf '(x)=-2x+4

이때 접점의 x좌표를 a라 하면 접점의 좌표는 ㅇㅇ(a, -a¤ +4a-3)

또한 x=a에서 접선의 기울기는 ㅇㅇf '(a)=-2a+4

따라서 기울기가 -2a+4이고 점 (a, -a¤ +4a-3)을 지나는 접선의 방정식은

ㅇㅇy-(-a¤ +4a-3)=(-2a+4)(x-a) ㅇㅇy=(-2a+4)x+2a¤ -4a-a¤ +4a-3 ㅇㅇ∴ y=(-2a+4)x+a¤ -3

이 직선이 점 (t, 0)을 지나므로 ㅇㅇ(-2a+4)t+a¤ -3=0 ㅇㅇa¤ -2ta+4t-3=0

이때 점 (t, 0)에서 그을 수 있는 접선이 오직 하나이므로 위의 이차방정식 a¤ -2ta+4t-3=0의 판별식 D는 ㅇㅇ =t¤ -4t+3=0

ㅇㅇ(t-1)(t-3)=0 ㅇㅇ∴ t=1 또는 t=3

점 (2, a)의 직선 y=x에 대한 대칭점은 ㅇㅇ(a, 2)

점 (a, 2)는 곡선 f(x)=x‹ -3x 위의 점이므로 ㅇㅇa‹ -3a=2

ㅇㅇa‹ -3a-2=0 ㅇㅇ(a+1)(a¤ -a-2)=0 ㅇㅇ(a+1)¤ (a-2)=0 ㅇㅇ∴ a=-1 또는 a=2 ㅇㅇ∴ (2, 2) (∵ x>1)

`f '(x)=3x¤ -3이므로 x=2에서의 접선의 기울기를 구 하면

ㅇㅇf '(2)=9

따라서 기울기가 9이고 점 (2, 2)를 지나는 접선의 방정 식은

ㅇㅇy-2=9(x-2) ㅇㅇ∴ y=9x-16

이때 곡선 y=f —⁄ (x) 위의 점 (2, a)에서의 접선은 곡선 y=f(x) 위의 접선 y=9x-16과 직선 y=x에 대하여 대칭이므로

ㅇㅇx=9y-16 ㅇㅇ∴ y= x+16

9 1 9

8

D 4

7

`f(x)=x¤ -2x-3에서

ㅇㅇf '(x)=2x-2

이때 접점의 x좌표를 a라 하면 접점의 좌표는 ㅇㅇ(a, a¤ -2a-3)

또한 x=a에서의 접선의 기울기는 ㅇㅇf '(a)=2a-2

따라서 기울기가 2a-2이고 점 (a, a¤ -2a-3)을 지나 는 접선의 방정식은

ㅇㅇy-(a¤ -2a-3)=(2a-2)(x-a) ㅇㅇ∴ y=(2a-2)x-a¤ -3 이 직선이 점 (t, 0)을 지나므로

ㅇㅇ(2a-2)t-a¤ -3=0, a¤ -2ta+2t+3=0 이때 점 (t, 0)에서 그을 수 있는 접선이 없으므로 위의 이차방정식 a¤ -2ta+2t+3=0의 판별식 D는 ㅇㅇ =t¤ -2t-3<0ㅇㅇ∴ -1<t<3

따라서 -1<t<3을 만족하는 정수 t는 0, 1, 2로 모두 3개이다.

`f(x)=x¤ +a로 놓으면ㅇㅇf '(x)=2x 점 P의 x좌표를 t라 하면ㅇㅇP(t, t¤ +a) x=t에서의 접선의 기울기는ㅇㅇf '(t)=2t

따라서 기울기가 2t이고 점 P(t, t¤ +a)를 지나는 접선 의 방정식은

ㅇㅇy-(t¤ +a)=2t(x-t)

ㅇㅇ∴ y=2tx-t¤ +a yy`㉠ㅇ 이 접선과 곡선 y=x¤ 의 교점 Q, R의 x좌표를 각각 a, b(a>b)라 하면 두 점 Q, R의 좌표는

ㅇㅇQ(a, a¤ ), R(b, b¤ )

이때 a, b는 접선 ㉠과 곡선 y=x¤ 을 연립한 방정식 ㅇㅇ2tx-t¤ +a=x¤

ㅇㅇx¤ -2tx+t¤ -a=0 의 두 근이므로

ㅇㅇx=t—"√t¤ -(t¤ -a)=t—'a ㅇㅇ∴ a=t+'a, b=t-'a (∵ a>b) 따라서 두 점 Q, R의 좌표는

ㅇㅇQ(t+'a, (t+'a)¤ ), R(t-'a, (t-'a)¤ ) 이때 PQ”, PR”의 길이를 구하면

ㅇㅇPQ”="√{t-(t+'a)}¤ +{t¤ +√a-(t+'a)¤ }¤

="√a+4at¤

ㅇㅇPR”="√{t-(t-'a)}¤ +{t¤ +√a-(t-'a)¤ }¤

="√a+4at¤

ㅇㅇ∴ PQ”:PR”="√a+4at¤ :"√a+4at¤ =1::1

0 1

D 4

9

정답과해설

048

`f(x)=x› 으로 놓으면ㅇㅇf '(x)=4x‹

x=1에서의 접선의 기울기는ㅇㅇf '(1)=4

기울기가 4이고 점 (1, 1)을 지나는 접선의 방정식은 ㅇㅇy-1=4(x-1)ㅇㅇ∴ y=4x-3

이 접선과 x축과의 교점의 좌표는 ㅇㅇ{ , 0}ㅇㅇ∴ a¡=

또 접점 (a«, a«› )에서의 접선의 기울기가 f '(a«)=4a«‹

이므로 접선의 방정식은

ㅇㅇy-a«› =4a«‹ (x-a«)ㅇㅇ∴ y=4 a«‹ x-3a«›

이 접선과 x축과의 교점의 좌표는 ㅇㅇ{ a«, 0}ㅇㅇ∴ a«≠¡=

따라서 수열 {a«}은 첫째항이 , 공비가 인 등비수 열이므로 일반항 a«은

ㅇㅇa«= ¥{ }

n-1

={ }

n

ㅇㅇ∴ a¡º={ } 3 10

4 3

4 3

4 3 4

3 4 3

4 3 4 3

4

3 4 3

4

1

1

ㅇㅇf '(x)=6x¤ -30x+36

=6(x¤ -5x+6)

=6(x-2)(x-3)

ㅇㅇ∴ f '(k)=6(k-2)(k-3)<0 (∵ ㉠) ㅇㅇ∴ 2<k<3

⑴ f(x)=x‹ -3x+1로 놓으면

ㅇㅇf '(x)=3x¤ -3=3(x+1)(x-1) f '(x)=0인 x의 값은ㅇㅇx=-1 또는 x=1 x<-1, -1<x<1, x>1로 x의 구간을 나누어 f '(x)의 값의 부호의 변화와 함수 f(x)의 증가, 감소 를 표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따라서 함수 f(x)는 x<-1 또는 x>1에서 증가하 고, -1<x<1에서 감소한다.

⑵ f(x)=x‹ -6x¤ +12x-1로 놓으면 ㅇㅇf '(x)=3x¤ -12x+12

=3(x¤ -4x+4)=3(x-2)¤

f '(x)=0인 x의 값은ㅇㅇx=2

x<2, x>2로 x의 구간을 나누어 f '(x)의 값의 부호 의 변화와 함수 f(x)의 증가, 감소를 표로 나타내면 다 음과 같다.

따라서 함수 f(x)는 모든 실수에서 증가한다.

f(x)=x‹ -6x¤ +ax+7에서 ㅇㅇf '(x)=3x¤ -12x+a

이때 함수 f(x)가 감소하는 x의 값의 범위가 1…x…b이 므로 x=1, x=b는 이차방정식

ㅇㅇ3x¤ -12x+a=0 의 두 근이다.

따라서 근과 계수의 관계에 의하여 ㅇㅇ1+b= ㅇㅇ∴ b=3

ㅇㅇ1¥b= ㅇㅇ∴ a=9 ㅇㅇ∴ a+b=9+3=12

a 3

12 3

4 3

⑴ f(x)=3x¤ -2x-5에서ㅇㅇf '(x)=6x-2 x=-1에서의 미분계수를 구하면 ㅇㅇf '(-1)=-6-2=-8

f '(-1)<0이므로 함수 f(x)는 x=-1에서 감소상 태에 있다.

⑵ f(x)=-x‹ -2x¤ +6에서ㅇㅇf '(x)=-3x¤ -4x x=-1에서의 미분계수를 구하면

ㅇㅇf '(-1)=-3+4=1

f '(-1)>0이므로 함수 f(x)는 x=-1에서 증가상 태에 있다.

함수 f(x)가 x=k에서 감소상태에 있으므로

ㅇㅇf '(k)<0 yy`㉠ㅇ

f(x)=2x‹ -15x¤ +36x-9에서

2 1

1 ⑴ 감소상태 ⑵ 증가상태 2 2<k<3 3 ⑴ x<-1 또는 x>1에서 증가, -1<x<1에서 감소

⑵ 모든 실수에서 증가

4 12 5 ⑴ 0…a… 9 ⑵ aæ3 4

유제 pp. 87~88

문서에서 Ⅰ 함수의 극한 (페이지 42-4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