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미분가능성과 연속성

문서에서 Ⅰ 함수의 극한 (페이지 34-38)

조건 Ⅰ의 f(x+y)=f(x)+f(y)+xy가 모든 실수 x, y 에 대하여 성립하므로 양변에 x=0, y=0을 대입하면 ㅇㅇf(0)=f(0)+f(0)+0ㅇㅇ∴ f(0)=0 yy㉠ㅇ 미분계수의 정의에 의하여 f '(0)은

ㅇㅇf '(0)=

= = (∵ ㉠)

주어진 조건 Ⅱ에서 f '(0)=1이므로

ㅇㅇ =1 yy㉡ㅇ

미분계수의 정의에 의하여 f '(k)는 ㅇㅇf '(k)=

=

= [ +k]

=1+k(∵ ㉡)

ㅇㅇ∴;K+!1 0 f '(k)=;K+!1 0 (k+1)= +10

=65

함수 f(x)='x의 그래프에서 x=a¡, x=a™, x=a£인 세 점을 각각 A, B, C라 하면 세 점 A, B, C의 좌표는 ㅇㅇA(a¡, f(a¡)), B(a™, f(a™)), C(a£, f(a£))

이때 x=a‘에서 x=aΔ까지의 평균변화율은 두 점 (a‘, f(a‘)), (aΔ, f(aΔ))를 이은 직선의 기울기와 같으므로 ㅇㅇg(1, 2)=(직선 AB의 기울기)

ㅇㅇg(1, 3)=(직선 AC의 기울기) ㅇㅇg(2, 3)=(직선 BC의 기울기)

따라서 주어진 그래프에 직선 AB, AC, BC를 각각 그 어 보면 다음 그림과 같다.

위의 그래프에서 세 직선 AB, AC, BC의 기울기를 살 펴보면

ㅇㅇ(직선 AB의 기울기)>(직선 AC의 기울기)

>(직선 BC의 기울기) ㅇㅇ∴ g(1, 2)>g(1, 3)>g(2, 3)

O A

B C

y

x a™

직선AB 직선AC 직선BC

f(x)='x

0 1

10¥11 2 f(h)

lim h

h⁄0

f(k)+f(h)+kh-f(k) lim h

h⁄0

f(k+h)-f(k) lim h

h⁄0

f(h) lim h

h⁄0

f(h) lim h

h⁄0

f(0)+f(h)-f(0) lim h

h⁄0

f(0+h)-f(0) lim h

h⁄0

9

정답과해설

034

11 x=0에서 연속이지만 미분가능하지 않다. 12 ㄹ 13 ㄷ

유제 pp. 64~65

f(x)=x+|x|를 xæ0, x<0의 두 구간으로 나누면

ㅇㅇf(x)=[ yy`㉠ㅇ

f(x)가 x=0에서 연속일 조건은

⁄ ㅇㅇ f(x)=f(0)

x=0에서의 우극한을 구하면

⁄ ㅇㅇ f(x)= 2x=0

x=0에서의 좌극한을 구하면

⁄ ㅇㅇ f(x)= 0=0

⁄ ㅇㅇ∴ f(x)= f(x)=0

⁄ ㅇㅇ∴ f(x)=0 yy`㉡ㅇ

f(0)의 값을 구하면ㅇㅇf(0)=0 yy`㉢ㅇ

¤ ㉡, ㉢을 비교하면

⁄ ㅇㅇ f(x)=f(0)

¤ 따라서 함수 f(x)=x+|x|는 x=0에서 연속이다.

¤ f(x)가 x=0에서 미분가능하기 위한 조건은

¤ ㅇㅇ(x=0에서의 평균변화율의 우극한)

=(x=0에서의 평균변화율의 좌극한)

¤ x=0에서의 평균변화율의 우극한을 구하면

¤ ㅇㅇ = (∵ ㉠)

=2 yy`㉣ㅇ

¤ x=0에서의 평균변화율의 좌극한을 구하면

¤ ㅇㅇ = (∵ ㉠)

=0 yy`㉤ㅇ

¤ ㉣, ㉤을 비교하면

¤ ㅇㅇ +

¤ 따라서 f '(0)= 이 존재하지 않

으므로 함수 f(x)=x+|x|는 x=0에서 미분가능하 지 않다.

, ¤에 의하여 함수 f(x)=x+|x|는 x=0에서 연속 이지만 미분가능하지 않다.

f(0+h)-f(0) lim h

h⁄0

f(0+h)-f(0) lim h

h⁄-0

f(0+h)-f(0) lim h

h⁄+0

0-2¥0 lim h

h⁄-0

f(0+h)-f(0) lim h

h⁄-0

2h-2¥0 lim h

h⁄+0

f(0+h)-f(0) lim h

h⁄+0

lim

x⁄0

limx⁄0

lim

x⁄-0

lim

x⁄+0

lim

x⁄-0

lim

x⁄-0

lim

x⁄+0

lim

x⁄+0

lim

x⁄0

2x (xæ0) 0 (x<0)

1

1

다항함수의미분법

035

ㄱ. x=a에서 함숫값 f(a)가 존재하지 않으므로 함수

f(x)는 x=a에서 불연속이다.

따라서 함수 f(x)는 x=a에서 미분가능하지 않다.

ㄴ. x=a에서 극한값 f(x)가 존재하지 않으므로 함 ㄴ. 수 f(x)는 x=a에서 불연속이다.

따라서 함수 f(x)는 x=a에서 미분가능하지 않다.

ㄷ. x=a에서 연속이지만 뾰족점에서는 미분계수 f '(a) 가 존재하지 않으므로 함수 f(x)는 x=a에서 미분가 능하지 않다.

ㄹ. x=a에서 연속이고, 뾰족하지 않은 부드러운 곡선으 로 연결되어 있으므로 함수 f(x)는 x=a에서 미분가 능하다.

따라서보기에서 x=a에서 미분가능한 것은 ㄹ이다.

ㄱ. f '(4)는 함수 f(x)의 x=4에서의 접선의 기울기를 의 미한다. 따라서 주어진 그래프에서 x=4에서의 접선 의 기울기는 양수이므로

ㅇㅇf '(4)>0 (∴ 거짓)

ㄴ. x=3에서 극한값 f(x)가 존재하지 않으므로 함 ㄴ. 수 f(x)는 x=3에서 불연속이다.

따라서 함수 f(x)는 x=3에서 미분가능하지 않으므 로 f '(3)의 값은 존재하지 않는다. (∴ 거짓)

ㄷ. x=1에서 함수 f(x)는 불연속이지만 ㅇㅇ f(x)= f(x)

ㄷ. 이므로 x=1에서 극한값 f(x)가 존재한다. (∴ 참) ㄹ. ⁄ 함수 y=f(x) (0<x<5)의 그래프에서 불연속인

점은 x=1, x=3 (∵ ㄴ, ㄷ)일 때의 2개이다.

ㄹ. ¤ x=2에서 연속이지만 뾰족점에서는 미분계수 f '(2)가 존재하지 않으므로 함수 f(x)는 x=2에 서 미분가능하지 않다.

따라서 불연속인 점과 뾰족점에서는 미분가능하지 않으므로 함수 y=f(x) (0<x<5)의 그래프에서 미분가능하지 않은 점은 x=1, x=2, x=3일 때의 3개이다. (∴ 거짓)

따라서보기에서 옳은 것은 ㄷ이다.

limx⁄1 xlim⁄1-0 xlim⁄1+0

limx⁄3

3 1

limx⁄a

2 1

1 2 2 ⑤ 3 4 ③ 5 ①

6 5 7 50 8 2b f '(a) 9 ㄴ, ㄷ 1

2

pp. 66~67

연습 문제

함수 f(x)=x|x|의 그래프 위의 점 (1, 1)에서의 접선 의 기울기는 x=1에서의 미분계수 f '(1)과 같으므로 ㅇㅇf '(1)=

=

= (∵ 1+Dx>0)

= = (Dx+2)=2

따라서 점 (1, 1)에서의 접선의 기울기는 2이다.

주어진 식의 분자에 f(1)을 빼고 더하면

=

= [ - ]

= [ - ]

= [(x+1)_ -(x+1)f(1)]

= (x+1)¥ - (x+1)f(1)

=2 f '(1)-2f(1)

=2¥3-2¥2=2 (∵ f '(1)=3, f(1)=2)

임의의 실수 a에 대하여 f(1+a)-f(1)='ƒa+1-1이 성립하므로 미분계수의 정의에 의하여 f'(1)을 구하면 ㅇㅇf '(1)= =

= { _ }

= { _ }

=1¥ =1¥ =

닫힌 구간 [-1, 2]에서의 함수 g(x)의 평균변화율은

= =

이때 g(x)=( f Á f)(x)=f( f(x))이고, 주어진 그래프에서 f(-1)=0, f(0)=1, f(2)=-1이므로

ㅇㅇg(2)=f( f(2))=f(-1)=0 ㅇㅇg(-1)=f( f(-1))=f(0)=1

ㅇㅇ∴ = = =-1

3 0-1

3 g(2)-g(-1)

3 Dy

Dx

g(2)-g(-1) 3 g(2)-g(-1)

2-(-1) Dy

Dx

4

1 2 1 '1+1 1

'ƒa+1+1 lima⁄0

1 'ƒa+1+1 a+1-1

lim a

a⁄0

'ƒa+1+1 'ƒa+1+1 'ƒa+1-1

lim a

a⁄0

'ƒa+1-1 lim a

a⁄0

f(1+a)-f(1) lim a

a⁄0

3

limx⁄1

f(x¤ )-f(1) x¤ -1 limx⁄1

limx⁄1

f(x¤ )-f(1) x¤ -1 lim

x⁄1

(x-1)(x+1)f(1) x-1 (x+1){ f(x¤ )-f(1)}

(x+1)(x-1) limx⁄1

(x¤ -1)f(1) x-1 f(x¤ )-f(1)

lim x-1

x⁄1

f(x¤ )-f(1)+f(1)-x¤ f(1) lim x-1

x⁄1

f(x¤ )-x¤ f(1) lim x-1

x⁄1

2

Dxlim⁄0

(Dx)¤ +2Dx lim Dx

Dx⁄0

(1+Dx)¤ -1 lim Dx

Dx⁄0

(1+Dx)|1+Dx|-1 lim Dx

Dx⁄0

f(1+Dx)-f(1) lim Dx

Dx⁄0

1

정답과해설

036

연속성과 미분가능성을 조사할 때, 함수 f(x)가 x=0에서

⁄ 연속일 조건ㅇㅇ f(x)=f(0)

¤ 미분가능하기 위한 조건

ㅇㅇ(x=0에서의 평균변화율의 우극한)

=(x=0에서의 평균변화율의 좌극한) 을 만족하는지를 확인한다.

ㄱ. f(x)=|x|를 xæ0, x<0의 두 구간으로 나누면

ㅇㅇf(x)=[ yy`㉠ㅇ

⁄ x=0에서의 우극한과 좌극한을 구하면

¤ ㅇㅇ f(x)= x=0

¤ ㅇㅇ f(x)= (-x)=0

¤ ㅇㅇ∴ f(x)= f(x)=0

¤ ㅇㅇ∴ f(x)=0 yy`㉡ㅇ

¤ f(0)의 값을 구하면ㅇㅇf(0)=0 yy`㉢ㅇ

¤ ㉡, ㉢을 비교하면ㅇㅇ f(x)=f(0)

¤ 따라서 함수 f(x)=|x|는 x=0에서 연속이다.

¤ x=0에서의 평균변화율의 우극한을 구하면

¤ ㅇㅇ = (∵ ㉠)

=1 yy`㉣ㅇ

¤ x=0에서의 평균변화율의 좌극한을 구하면

¤ ㅇㅇ = (∵ ㉠)

=-1 yy`㉤ㅇ

¤ ㉣, ㉤을 비교하면

¤ ㅇㅇ +

¤ 따라서 f '(0)이 존재하지 않으므로 함수 f(x)=|x|는 x=0에서 미분가능하지 않다.

⁄, ¤에 의하여 함수 f(x)=|x|는 x=0에서 연속 이지만 미분가능하지 않다.

ㄴ. f(x)= 를 x>0, x<0의 두 구간으로 나누면

ㅇㅇf(x)=

[

x=0에서의 우극한과 좌극한을 구하면 ㅇㅇ f(x)=1, f(x)=-1

ㅇㅇ∴ f(x)+ f(x)

따라서 f(x)가 존재하지 않으므로 함수 f(x)=|x|는 x=0에서 불연속이다.

x limx⁄0

xlim⁄-0 xlim⁄+0

xlim⁄-0 xlim⁄+0

-1 (x>0) -0 (x=0) -1 (x<0)

|x|

x

f(0+h)-f(0) lim h

h⁄-0

f(0+h)-f(0) lim h

h⁄+0

-h lim h

h⁄-0

f(0+h)-f(0) lim h

h⁄-0

h lim h

h⁄+0

f(0+h)-f(0) lim h

h⁄+0

lim

x⁄0

limx⁄0

xlim⁄-0 xlim⁄+0

xlim⁄-0 xlim⁄-0

xlim⁄+0 xlim⁄+0

-x (xæ0) -x (x<0)

lim

x⁄0

5

ㄷ. f(x)=x|x|를 xæ0, x<0의 두 구간으로 나누면

ㅇㅇf(x)=[ yy`㉠ㅇ

⁄ x=0에서의 우극한과 좌극한을 구하면

¤ ㅇㅇ f(x)= x¤ =0

¤ ㅇㅇ f(x)= (-x¤ )=0

¤ ㅇㅇ∴ f(x)= f(x)=0

¤ ㅇㅇ∴ f(x)=0 yy`㉡ㅇ

¤ f(0)의 값을 구하면ㅇㅇf(0)=0 yy`㉢ㅇ

¤ ㉡, ㉢을 비교하면

¤ ㅇㅇ f(x)=f(0)

¤ 따라서 함수 f(x)=x|x|는 x=0에서 연속이다.

¤ x=0에서의 평균변화율의 우극한을 구하면

¤ ㅇㅇ

= (∵ ㉠)

= h=0 yy`㉣ㅇ

¤ x=0에서의 평균변화율의 좌극한을 구하면

¤ ㅇㅇ

= (∵ ㉠)

= (-h)=0 yy`㉤ㅇ

¤ ㉣, ㉤을 비교하면

¤ ㅇㅇ =

¤ 따라서 f '(0)이 존재하므로 함수 f(x)=x|x|는 x=0에서 미분가능하다.

, ¤에 의하여 함수 f(x)=x|x|는 x=0에서 연 속이고 미분가능하다.

따라서보기에서 x=0에서 연속이지만 미분가능하지 않 은 것은 ㄱ이다.

주어진 함수 y=f(x)의 그래프에서

⁄ 불연속인 점

x=1에서 함숫값 f(1)이 존재하지 않고, x=2에서 극한값 f(x)가 존재하지 않는다.

¤ 따라서 함수 y=f(x) (-2<x<3)의 그래프에서 불 연속인 점은 x=1, x=2일 때의 2개이다.

ㅇㅇ∴ m=2 limx⁄2

6

f(0+h)-f(0) lim h

h⁄-0

f(0+h)-f(0) lim h

h⁄+0

lim

h⁄-0

-h¤

lim h

h⁄-0

f(0+h)-f(0) lim h

h⁄-0 hlim⁄+0

lim h

h⁄+0

f(0+h)-f(0) lim h

h⁄+0

limx⁄0

limx⁄0

xlim⁄-0 xlim⁄+0

xlim⁄-0 xlim⁄-0

xlim⁄+0 xlim⁄+0

-x¤ (xæ0) -x¤ (x<0)

다항함수의미분법

037

¤ 미분가능하지 않은 점

x=0에서 연속이지만 뾰족점에서는 미분계수 f'(0) 이 존재하지 않으므로 함수 f(x)는 x=0에서 미분가 능하지 않다.

따라서 불연속인 점과 뾰족점에서는 미분가능하지 않 으므로 함수 y=f(x) (-2<x<3)의 그래프에서 미 분가능하지 않은 점은 x=0, x=1, x=2일 때의 3 개이다.ㅇㅇ∴ n=3

⁄, ¤에 의하여ㅇㅇm+n=2+3=5

조건 Ⅱ의 f(x+y)=f(x)+f(y)+xy(x+y)가 임의의 실수 x, y에 대하여 성립하므로 양변에 x=0, y=0을 대입하면

ㅇㅇf(0)=f(0)+f(0)+0ㅇㅇ∴ f(0)=0 yy`㉠ㅇ 미분계수의 정의에 의하여 f '(0)은

ㅇㅇf '(0)=

= =

주어진 조건 Ⅰ에서 f '(0)=1이므로

ㅇㅇ =1 yy`㉡ㅇ

미분계수의 정의에 의하여 f '(7)은 ㅇㅇf '(7)=

=

=

= [ +7(7+h)]

= + (49+7h)

=1+49 (∵ ㉡)=50

n[f{a+ }-f {a- }]에서

=h로 치환하면 n= 이고, n ⁄ ¶일 때 h ⁄ 0이므로

ㅇㅇ n[ f{a+ }-f {a- }]

ㅇㅇ= { f(a+h)-f(a-h)}

ㅇㅇ= b { f(a+h)-f(a)+f(a)-f(a-h)}

lim h

h⁄0

b lim h

h⁄0

b n b

lim n

nڦ

b h b

n

b n b

lim n

nڦ

8

lim

h⁄0

f(h) lim h

h⁄0

f(h) lim h

h⁄0

f(h)+7h(7+h) lim h

h⁄0

f(7)+f(h)+7h(7+h)-f(7) lim h

h⁄0

f(7+h)-f(7) lim h

h⁄0

f(h) lim h

h⁄0

f(h) lim h

h⁄0

f(0)+f(h)-f(0) lim h

h⁄0

f(0+h)-f(0) lim h

h⁄0

7

ㅇㅇ= b[ + ]

ㅇㅇ=b[ + ]

ㅇㅇ=b { f '(a)+f '(a)}

ㅇㅇ=2bf '(a)

g(a, b)= 는 닫힌 구간 [a, b]에서 함수 f(x)의 평균변화율이다.

이때 평균변화율은 두 점을 이은 직선의 기울기를 의미하 므로

ㄱ. g(1, 5) Δ 두 점 (1, f(1)), (5, f(5))를 이은 직선 의 기울기

ㄱ. g(2, 5) Δ 두 점 (2, f(2)), (5, f(5))를 이은 직선 의 기울기

ㄱ.오른쪽 그림에서 직선

①의 기울기 g(2, 5) 가 직선 ②의 기울기 g(1, 5)보다 크므로 ㄱ. ㅇㅇg(1, 5)<g(2, 5)

(∴ 거짓)

ㄴ. g(a, b)= 은 두 점 (a, f(a)), (b, f(b))를 이은

직선의 기울기가 임을 의미하므로 다음 그림과 같 이 함수 y=f(x)의 그래프 위의 두 점을 이어 직선 y= x+3에 평행

한 직선을 무수히 많 이 그을 수 있다.

즉 순서쌍 (a, b)를 무수히 많이 정할 수 있다. (∴ 참)

ㄷ. g(3, b)는 두 점 (3, f(3))과 (b, f(b))를 이은 직선 의 기울기를 의미한다.

따라서 오른쪽 그림 과 같이 b=9일 때, 즉 두 점 (3, f(3)), (9, f(9))를 이은 직 선의 기울기가 최소 이므로 g(3, b)는 b=9일 때, 최솟값을 갖는다. (∴ 참)

따라서보기에서 옳은 것은 ㄴ, ㄷ이다.

O 3 6

6 3

9 y

x y=f(x)

O 3 6

6 3

9 y

2 y=-x+31

x y=f(x) 1

2

1 2 1 2

O 1 23 4 56 6

3

9 y

y=f(x)

x

f(b)-f(a)

9

b-a

f(a-h)-f(a) lim -h

h⁄0

f(a+h)-f(a) lim h

h⁄0

f(a-h)-f(a) -h f(a+h)-f(a)

lim h

h⁄0

정답과해설

038

⑴ 도함수의 정의에 의하여 ㅇㅇf '(x)=

ㅇㅇf '(x)=

ㅇㅇf '(x)=

=

= (h+2x+1) ㅇㅇf '(x)=2x+1

⑵ 미분법의 공식에 의하여 ㅇㅇf '(x)=(x¤ )'+(x)'

=2x+1 limh⁄0

h(h+2x+1) lim h

h⁄0

h¤ +2xh+h lim h

h⁄0

{(x+h)¤ +(x+h)}-(x¤ +x) lim h

h⁄0

f(x+h)-f(x) lim h

h⁄0

1

개념check | 1 해설 참조

⑴ y '=4{(3x¤ )'-(4x)'+(2)'}

=4(3¥2x-4¥1+0)

=24x-16

⑵ y '=(-4x‹ )'+(2x¤ )'-(1)'

=-4¥3x¤ +2¥2x-0

=-12x¤ +4x

⑶ y '=(-7xfi )'-(2x‹ )'+(5)'

=-7¥5x› -2¥3x¤ +0

=-35x› -6x¤

⑷ y '={ xfl }'-{ x› }'+{ x¤ }'+(1)'

= ¥6xfi - ¥4x‹ + ¥2x+0

=2xfi -3x‹ +x 1 2 3

4 1

3

1 2 3

4 1

3

1

1 ⑴ y '=24x-16 ⑵ y '=-12x¤ +4x

⑶ y '=-35x› -6x¤ ⑷ y '=2xfi -3x‹ +x 2 - 3 -21

4 ⑴ y '=9x¤ -8x+4 ⑵ y '=18x¤ +26x

⑶ y '=10(3x+1)(3x¤ +2x+1)›

⑷ y '=(7x-3)(x-1)(x+1)›

5 -20 L/초 1 4

유제 pp. 70~71

f(x)=ax¤ +bx+c에서 f(1)=0이므로

ㅇㅇf(1)=a+b+c=0 yy`㉠ㅇ 함수 f(x)를 미분하면

ㅇㅇf '(x)=2ax+b f '(-1)=1, f '(1)=0이므로

ㅇㅇf '(-1)=-2a+b=1 yy`㉡ㅇ ㅇㅇf '(1)=2a+b=0 yy`㉢ㅇ

㉡, ㉢을 연립하여 풀면ㅇㅇa=- , b=

a, b의 값을 ㉠에 대입하면

ㅇㅇc=-ㅇㅇ∴ f(x)=- x¤ +

x-ㅇㅇ∴ f(2)=- ¥4+

¥2-

=-곡선 f(x)=x‹ -ax¤ -bx+2가 점 (1, -1)을 지나므로 ㅇㅇf(1)=-1

ㅇㅇ∴ f(1)=1-a-b+2=-1

ㅇㅇ∴ a+b=4 yy㉠ㅇ

또 점 (1, -1)에서의 접선의 기울기가 2이므로 ㅇㅇf '(1)=2 yy㉡ㅇ 함수 f(x)를 미분하면

ㅇㅇf '(x)=3x¤ -2ax-b

ㅇㅇ∴ f '(1)=3-2a-b=2 (∵ ㉡)

ㅇㅇ∴ 2a+b=1 yy㉢ㅇ

㉠, ㉢을 연립하여 풀면ㅇㅇa=-3, b=7 ㅇㅇ∴ ab=-3_7=-21

⑴ y '=(3x-1)'(x¤ -x+1)+(3x-1)(x¤ -x+1)'

=3(x¤ -x+1)+(3x-1)(2x-1)

=3x¤ -3x+3+6x¤ -5x+1

=9x¤ -8x+4

⑵ y '=(x+2)'(2x-1)(3x+2)

+(x+2)(2x-1)'(3x+2) +(x+2)(2x-1)(3x+2)'

⑵ y '=(2x-1)(3x+2)+2(x+2)(3x+2)

+3(x+2)(2x-1)

⑵ y '=6x¤ +x-2+6x¤ +16x+8+6x¤ +9x-6

⑵ y '=18x¤ +26x

⑶ y '=5(3x¤ +2x+1)› (3x¤ +2x+1)'

=5(3x¤ +2x+1)› (6x+2)

=10(3x+1)(3x¤ +2x+1)›

4 3

1 4

1 4 1 2 1 4

1 4 1 2 1 4

1 4

1 2 1 4

문서에서 Ⅰ 함수의 극한 (페이지 34-3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