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림 16] 일본의 정주촉진단지 이미지
자료: 総務省. 2014. 「過疎地域における集落の現状と総務省の取組」
(4) ICT 및 택배시스템을 활용한 오지마을 생활지원
거점마을 이주를 희망하지 않는 오지마을 주민들을 위하여 ICT를 활용한 원격의료 및 원격교육 체제를 정비하는 한편, 쇼핑이 곤란한 농촌지역 고령자들을 위한 택배서비스 공 급체제를 검토할 필요가 있다.
출산 ㆍ고령화가 초래할 위기상황에 대비하고 저성장을 극복할 수 있는 동력을 창출하여야 한다. 아직까지는 일본 및 구미선진국 보다 낮은 수준에 있지만, 우리나라의 고령화속도는 매우 급속하여 2050년이 되면 거의 일본 수준의 초고령국가가 될 전망이다. 재정여건의 악 화가 예견되는 가운데 한정된 재원으로 최대의 효과를 올리기 위해서는 국토이용의 선택과 집중이 절실하게 요구된다. 저출산 ㆍ고령화라는 시대적 여건변화 속에서 우리국토를 어떻 게 가져가야 되는지 비전과 목표를 설정하고 국민적 합의 도출이 시급한 실정이다.
[그림 17] 세계 주요 국가별 고령화율 변화전망(2010~2050)
자료: 国土交通省. 2014. 「国土のグランドデザイン参考資料」
이를 위하여 모든 부처와 지자체, 각종 단체 등이 참여하는 장기 국토계획 수립을 제안 한다. “미래를 완전히 예측하고 컨트롤 하는 것은 불가능 하다. 그러나 의지의 힘으로 어 느 정도 미래에 영향을 미치는 것은 가능하다. 이를 위해서는 비전을 설정하고 국민들이 공유하여야 한다. ‘미래를 예측하는 최선의 방법은 미래를 발명하는 것이다’(The best way to predict the future is to invent it). 보다 많은 사람들의 의지가 모이면 모일수록 미래에 대한 영향력은 커질 수 있다.” (국토교통성. 2014. 국토그랜드디자인 2050 서문).
현재도 국토기본법에 의한 「제4차 국토종합계획 수정계획」(2011~2020)이 수립되어 있으나, 목표연도가 2020년으로서 단기계획에 가깝다. 고령화ㆍ저성장을 극복하기 위해 서는 장기적 관점에서 사회ㆍ경제적 변화를 조망하고 분명한 방향성 하에서 점진적으로 대응해 나가는 전략적 접근이 요구된다. 따라서 길게는 2050년, 짧게는 2030년을 목표연 도로 하는 새로운 형식의 국토계획 수립을 준비하여야 할 때다.
■ 참고문헌
국토교통부. 2014. 국가 도시재생 기본방침 수립을 위한 연구
국토교통부. 2014. 도시재생을 위한 사회적 경제조직 육성 마스터플랜 수립 연구 국토교통부. 2013. 제2차 장기주택종합계획 수립 연구. 국토연구원
국토연구원. 2014. 미래 국토발전 장기전망과 실천전략연구(Ⅲ) 국회예산정책처. 2012.6. 2012~2060년 장기 재정전망 및 분석
김경록. 2012. 주택연금(역모기지)도입의 효과 분석: 노인소득보장 효과를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김근용 외. 2009. 수요 지향적 주택공급 프로그램에 관한 연구. 국토연구원 농림축산식품부. 2013. 2013~2017 농업ㆍ농촌 및 식품산업 발전계획 미래창조과학부. 2014. 미래성장동력 세부계획
미래창조과학부. 2014. 사물인터넷 기본계획
박세훈 외. 2012. 인구구조 변화에 따른 국토도시공간의 재편과 정책과제. 국토연구원 배순석 외. 2006. 주택 재고관리 정책의 평가와 개선방안 연구. 국토연구원
배순석‧김근용‧전성제. 2007. 주택수급 여건 변화에 대응한 주택공급체계 개편 방안. 국토연구원 보건복지부, 2006, 고령친화 모델지역 기본구상(안)
보건복지부, 2012.10, 선제적 고령사회 대응을 위한 새로마지 플랜 고령사회 보완계획 보건복지부. 2012. 제2차 저출산ㆍ고령사회 기본계획(새로마지플랜2015) 보완계획 서울특별시. 2013. 서울시 주민참여형 재생사업
손경환 외. 2008. 부동산시장의 선진화를 위한 정책방안 연구. 국토연구원 신성웅 외. 2010. 훤히 보이는 공간정보기술. 전자신문사
이동우. 2013.8. “외국의 대도시권 정책 동향과 시사점”. 도시문제. Vol.537. 행정공제회.
이동우. 2012. “일본의 국제전략총합특구 제도: 대도시 국제경쟁력 제고에 대한 시사점”. 국토정 책브리프 404호. 국토연구원
이수욱 외. 2011. 사회.경제구조 전환기의 주택정책 패러다임 정립방안 연구. 국토연구원 이영주ㆍ임은선. 2013. 고령자 맞춤형 복지정책 지원을 위한 복지공간 진단방안 연구. 국토연구
원
이인호ㆍ신관호. 2012.5. “고령화의 진전과 금융산업의 구조적 변화 : 주요국의 대응사례와 시사 점”. 금융연구 Working Paper 12-06. 금융연구원
이현석. 2014. “부동산 간접투자 활성화 방안”. 주택금융선진화를 위한 제도개선 방안 세미나.
2014.10.01. 주택산업연구원
정태명. 2013. “창조경제 시대의 신 노인복지 패러다임, 디지털 에이징”. 디지털 에이징 심포지움.
2013.10.29
조만 외. 2012. 인구사회구조 변화에 대비한 중장기 주택정책 검토. KDI 한국주택금융공사. 2012. 주택연금 중장기 발전방안 연구
황재훈. 2011. “고령화사회 진입에 따른 주택연금 활성화 방안”. 주택금융월보 9월호. 한국주택금 융공사
岡本久. 2011.3. “高齡社会における交通のあり方に関する一考察”. 東京交通短期大學 硏究紀 要 第16号
高齢者にやさしい自動車開発推進知事連合会. 2011. 高齢者にやさしい自動車開発委員會報告 書
国立国会図書館. 2006.5. “バリアフリ—からユニバ—サルデザインへ”. 調査と情報 第526号 国土交通省. 2014. 国土のグランドデザイン 2050
国土交通省. 2014.8. 健康ㆍ醫療ㆍ福祉のまちづくりの推進ガイドライン(技術的助言) 山岸弘幸 外. 2010. 高齢者ドライバを遠隔地から見守るシステムの検討
神崎 洋. 2013. 超高齢者社会における安心ㆍ安全な移動の実現にむけて
林直樹ㆍ斎藤晋. 2013. “農村社会の衰退と撤退の農村計画”. 季刊 政策経営研究. vol.4 総務省. 2014. 過疎地域における集落の現状と総務省の取組
総務省. 2013. ICT超高齡社會 構想 報告書-「スマ—トプラチナ社会」の実現
Bettencourt, L.M.A., Lobo, J., Strumsky, D. and GB West. 2010. Urban Scaling and Its Deviations: Revealing the Structure of Wealth, Innovation and Crime across Cities.
PLoS ONE 5(11)
Florida, R. 2008. Who’s Your City?. New York: Basic Books OECD. 2006. Competitive Cities in the Global Economy
Scott, A.J. and M. Storper. 2003. REGIONS, GLOBALIZATION, VELOPMENT. Regional Studies, vol. 37: 6&7, pp 579-593
Spinney , J.E.L., Scott, D.M., Newbold, K.B. 2009. Transport Mobility Benefits and Quality Life: A Time-Use Perspective of Elderly Canadians. Transport Policy, 16, 1-11 Sun City Texa, 2013, Get Ready for Great Chapter of Your Life Texas
World Health Organization. 2007. Global Age-friendly Cities: A Guide
[ 지속가능한 도시정책 방향 기후변화에 대응한 ]
왕광익 연구위원
| 차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