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션 2: 도시의 경제기반 및 거주성 제고방안
5. 맺음말
경제기반형 도시재생의 특징이자 핵심적인 성공요건 중 하나인 민간부문의 참여는 최 근 들어 더욱 강조되고 있다. 그러나 아직까지 도시재생 과정에서 민간이 어떠한 역할을 하기를 기대하고 있는지, 또 어떠한 역할을 할 수 있으며, 현재 참여여건이 어떠한지에 대해서는 구체적으로 살펴보지 못한 것이 사실이다. 이에, 이 연구에서는 경제기반형 도시 재생의 개념ㆍ특징과 주요 추진전략을 살펴보고 이와 연계하여 전략별로 민간참여가 왜 중요하고 어떠한 방식으로 활성화 할 것인지를 현장을 중심으로 도출해 내고자 노력하였 다.
우선, 경제기반형 도시재생은 기존기능 강화 또는 새로운 기능 도입을 통하여 고용을 창출하여 경제기반을 확립하고 그 파급효과가 도시전체에 미치는 사업을 말한다. 그리고 경제기반형 도시재생이 근린재생형과 구별되는 가장 큰 특징은 공공의 선투자를 통하여 민간투자를 유도하는 데 있다는 점을 다시 한 번 염두에 둘 필요가 있다.
도시재생을 위한 민간참여 활성화를 위한 여건을 조성하기 위해서는 다음의 세 가지 사항을 가장 핵심적으로 고려할 필요가 있다. 첫째, 단순한 개발사업이 아니라, 명확한 앵 커산업이 기획단계 부터 확보되어야 한다. 둘째, 장기적이고 안정적인 투자 상품이 마련되 어야 한다. 셋째, 공공은 관련제도 개선뿐만 아니라 재정지원을 통하여 민간참여를 촉진하 는 마중물 역할을 담당해야 한다.
공공은 다양한 민간주체가 활발히 경제기반형 도시재생에 참여할 수 있도록, 그리고 나아가 경제기반형 도시재생의 핵심적인 추진주체로 민간부문이 성장할 수 있도록 다양 한 지원을 통하여 그 여건을 조성해 주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이를 위하여 첫째, 국공유 지, 도심 내 유휴지 등의 활용, 주택도시기금 활용을 활성화하고, 둘째, 입지규제최소구역 지정 등 제도적 지원을 하여야 한다.
뿐만 아니라, 경제기반형 도시재생이 기존 개발사업과 달리 단기 분양중심이 아닌 장 기적 수익구조 관점에서 지역발전과의 연계 등을 고려한 사업모델의 마련과 함께 개발과 운영, 지역간 연계가 가능한 추진주체를 정립하여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개별 사업구역에 서의 사업추진을 넘어서 지역사회와의 상생 발전 가치를 인식하고 장기적으로 이러한 관 점에서 사업을 기획하고 개발ㆍ관리ㆍ운영할 수 있도록 민간의 사업추진 형태도 전환되 어야 한다.
■ 참고문헌
국토교통부. 2014. 국가도시재생기본방침 수립을 위한 연구 국회예산정책처. 2013. 2014년도 예산안 분야별 분석Ⅰ 국회예산정책처. 2014. 한눈에 보는 대한민국 재정 2014 기획재정부. 2014. 2014년도 대한민국 재정
김경민. 2011. 도시개발, 길을 잃다. 서울 : 시공사 김경환ㆍ서승환, 2013. 도시경제. 홍문사
김재형ㆍ고영선ㆍ박은경ㆍ김학소ㆍ옥동석ㆍ이창운ㆍ하헌구. 2000. 민간투자사업에 대한 재정지 원 기준 및 절차 개선방안. 서울 : 한국개발연구원
김재형ㆍ신성환ㆍ이창용ㆍ이항용ㆍ최석준. 2006. 민간투자사업 성과의 실증분석 및 제도개선방 안 연구. 서울 : 한국개발연구원
김제람. 2012. 창의적 지역재생의 과정 및 방법 : 선진사례 분석을 중심으로, 경성대학교 대학원 도시공학과 석사학위논문
김진범 외. 2009. 도시재생을 위한 커뮤니티 비즈니스 방안 연구. 국토연구원
김태경 외. 2013. 지역경제 활성화의 촉매 국공유지 활용. 경기개발연구원. 이슈&진단 124호 남진ㆍ우명제ㆍCatherine L. Ross. 2010. 도시재생사업을 위한 공공의 사업비용 조달방법 연구.
대한국토ㆍ도시계획학회지 제45권
도시재생사업단. 2009. 도시재생 법제도 및 지원수단 개발, 국토교통부 도시재생사업단. 2012. 새로운 도시재생의 구상. 한울
도시재생사업단. 2013. 도시재생의 실효성 제고 방안. 국토교통부 류태창. 2013. 원도심 상업지역 활성화를 위한 정책 비교 연구
마틴 밀스포. 양도식. 2008. 볼티모어 신드롬, 성공적 도시재생을 위한 공식. 「국토연구」 통권 316호(2008년 2월)
삼성경제연구소. 2004. 도시 발전과 기업의 역할. CEO Information 제456호.
삼성경제연구소. 2012. 부활하는 도시의 비결, 도시재생. SERI 경영노트 제154호
서수정. 2014. 국유지 개발을 위한 제도개선 및 정책방안. Auri Brief. 건축도시공간연구소 심상달ㆍ최지은ㆍ박경애ㆍ정건호. 2006. 민간투자사업 적격성 평가의 위험 반영방안 연구. 서울
: 한국개발연구원.
심상욱. 2004. ‘도심활성화에 있어 비영리부동산개발회사의 역할에 관한 연구’. 한국지역개발학회 지 제16권 제4호
양도식. 2007. 영국 도시재생의 유형별 성공사례 분석. 서울연구원 보고서
유재윤 외, 2013, 경제기반 강화를 위한 도시재생 방안, 국토연구원
유재윤 외. 2012. 도시개발사업 참여주체별 역할 재정립 방향 연구. 국토연구원 유재윤 외. 2010. 도시개발사업의 참여주체별 역할 제시. 국토연구원
이삼수. 2007. 일본 도시재생사업에서 지역의 관리ㆍ운영 체계에 관한 연구. 서울도시연구 제8권 제2호
이삼수ㆍ전재범. 2010. 외국의 중심시가지활성화를 위한 BID에 관한 연구. 한국지역개발학회지 제22권
이영은. 2013. 도시재생정책의 방향 및 과제. 한국도시행정학회 2013년 동계학술세미나 발표집 이홍일 외. 2014. 2014년 건설경기 전망. 한국건설산업연구원
주관수 외. 2007. 한국의 도시재생과 공공의 역할. 주택토지연구원.
한국개발연구원. 2012. 민간투자를 통한 공공임대주택 공급 확대 방안 연구.
한국개발연구원. 2014. 부동산시장 동향분석 2014년 1/4분기 한국빌딩경영협회. 2014. 2014년 1분기 오피스시장 동향보고서 E.S. Savas. 1983. Privatizing the public sector.
M. Carley, M. Chapman, A. Hastings, K. Kirk and R. Young. 2002. Urban Regeneration through Partnership. The Policy Press.
O`Sullivan. 2013. Urban Economics.
Strauss A. and Corbin J. M, 1990. Basis of Qualitative Research, SAGE Publications. INC.
김경민. ‘미국의 전통시장 활성책 오래된 건물 그대로 사용’. 프레시안. 2014년 1월 8일자 기사 김주영. ‘대한민국 100대 상권 어떻게 조사했나’ 매일경제 2014년 6월 16일자 기사
최우영. 美 CSV '교과서' 토니 셰이의 '라스베이거스 프로젝트’. 머니투데이. 2014년 7월 4일자 국토교통통계누리 https://stat.molit.go.kr/portal/main/portalMain.do
도시재생종합정보체계 홈페이지 www.uris.kr/
산업연구원 홈페이지 www.kiet.re.kr. 2013년 지역별 경제동향 모리빌딩홈페이지 http://www.mori.co.jp/company/press/release MINTO 홈페이지 www.minto.or.jp
일본도시재생기구 홈페이지 http://www.ur-net.go.jp/
일본 도시재생본부 워킹그룹. 2002
[ 창조산업ㆍ창조계층 입지특성과
도시경쟁력 ]
김은란 책임연구원
| 차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