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가. 인적자원개발의 의의

문서에서 인적자원개발 정책 (페이지 152-156)

인적자원개발정책 평가라는 개념은 개별적인 의미를 가진 여러 하위개념 들의 조합으로 구성된 복합명사이다. 최소단위라 할 수 있는 것은 인적자원 으로 이는 인력 및 노동력과 유사한 개념이다.

먼저 인력의 개념을 학자별로 살펴보면 먼저 토마스는 인력은 노동력과 유사한 개념이지만 그보다는 범위가 넒은 개념으로써 한 사회가 보유하고 있는 질적・양적인 인간자원(people resources)의 개념이라 할 수 있는 바 그 사회의 인구의 규모는 인력량(quantity)을, 교육의 정도는 인력의 질(qualtiy) 을 결정한다고 말하고 있다(Thomas H. Patten Jr, 1979). 캔들러와 플리노 (Chan dler & Plano)는 인력의 정의를 한 사회가 보유하고 있는 인적재산의 총체인 인적자원과 유사한 개념으로 그것은 생산과정에 투여되는 생산요소 의 하나인 자본을 형성하고, 국가가 보유하고 있는 제반자원을 이용하여 정 치, 경제, 사회조직을 형성하는 사회・경제적(socio-economic)자원이다 (Ralph C. Chan dler & Jack C. Plano, 1982)라고 하였다. 프레드릭(Frederick, 1973) 은 인력을 인적자원과 동일시하면서 노동력과 대비하여 노동력이 생산에 투 여되는 인간의 에너지와 기술을 의미하는 반면 인력은 노동력이 포함하는 내용 이외에 인간의 사상, 동기, 신념, 감정, 역할, 문화 등을 포용하는 것이 라고 설명하고 있다. 김신복(1983)은 인력을 인적자원과 노동력 등 두 개념과 비교・설명하면서 인적자원이 생산인구전체를 포용하는 광의의 개념인데 비 하여 인력은 인간능력을 이용한 질적 측면과 노동력이라는 물적 측면을 공 유하는 능력 있는 인간의 존재라고 정의하고 있다. 거너와 빌레트(Gainer &

Villet, 1990)는 인적자원은 기본적으로 인간을 물질적인 자원과 같이 경제적 가치가 있는 대상으로 본다는 전제가 그 바탕에 있다라고 보고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인적자원은 경제적 가치를 생산하는 생산요소인 지식과 소양의 축적이라고 볼 수 있다. 생산요소인 지식・소양의 축적으로서 인적자 원은 다른 축적 변인들과 마찬가지로 감가상각이 될 수 있다. 그러나 인적자 원은 다른 축적 변인들과 달리 내용(지식・소양)을 투자하더라도 본래의 축 적체(인적자원)내의 내용이 그만큼 감소되지 않으며, 오히려 내용간의 시너지 에 의한 체증효과가 가능하다(김태기 외, 2000: 74). 게다가 과거의 인적자원 에 대한 논의에서는 개인이 맡고 있는 일의 생산성을 높이는데 초점을 맞추 었지만, 지식기반사회에서는 미래에 새로운 일을 수행할 수 있는 역량에 더 주안점을 두기 때문에 인적자원의 개발에 있어서 인간의 잠재력을 극대화시 킨다는 점에서 보다 중점을 둔다. 또한, 에드워드와 네일(Edward & Neil)은 생산에 작용하는 요소를 인적자원과 비인적자원으로 분류하고 인적자원을 형성하는 내부요소로 노동력과 관리기술(mamagerial skill)을 제시하면서, 인 력이란 가용할 수 있는 인적자원(human capitial)으로써 기능에 따라서 유휴 지본(idel capital), 개발자원(improving capital) 및 유동자원(miving capital) 으로 구분될 수 있다고 언급하고 있다(Edward B. Jakubaukas & Neil A . Palomba).

인적자원과 인력, 그리고 노동력의 특징을 구별하면 아래의 표와 같다.

<표 Ⅴ-1> 인적자원/ 인력/ 노동력 특징비교

개념

비교기준 인적자원 인력 노동력

범위

기대차원 국가적 사회・경제적 경제적

개발대상 전체인구 가용인구 노동인구

개발요소 능력・지식・기술・태

도・동기・감정 등 능력・지식・기술 에너지・기술 주요기능 총체적 기능 주로 질적, 전략적

기능 양적 기능

개발목표 자원의 내재가치 자원의 노동적・기능적 가치

자원의 생산요소적 가치 출처: 한국의 인적자원체계와 과정에 관한 연구 (박기영 1990, 석사학위논문)

최근에 교육부(2000.5)에서는 인적자원(Human Resource)은 기업체의 노 동력 수급, 학력, 특정한 기능의 보유 등 단기적・경제적 관점이 아니라 국 가・사회발전과 국민의 삶의 질이라는 차원에서 폭넓게 접근하여야 한다. 따 라서 인적자원은 국가와 사회의 발전 및 개인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하여 개 인이 갖추어야 할 지식과 기술, 정보능력 그리고 도덕적 성숙 등 가치 있는 인간의 모든 능력과 품성을 지칭한다 라고 정의하였다. 이 개념과 표< Ⅴ -1>의 비교에 의하면 인적자원을 단지 물질적 수단으로서의 인적자본(human capital)이 아니라 사회적 관계와 정신적 규범의 형성까지도 자본의 범주에 포함시키는 사회자본(social capital)으로 본다는 점에서 개념의 확장이 두드 러진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인적자원은 교육받은 결과로서 형성된 인간의 능 력과 품성이 경제적 가치창조라는 지식기반사회의 유용한 수단적 자본재 역 할에 국한된다는 점에서 교육의 본래 이상으로서 전인적 교육관과 교육적 인간학에서의 인간관과 배치될 소지가 있다.

한편 인적자원개발은 일반적으로 인적자원의 자원가치를 제고시키고 인간 으로 하여금 인간답고 풍요로운 삶을 향유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힘 (energy)과 기술(skill)과 지식(knowledge)을 제공・부양시키고 또 능력 (cap acity)을 제고시키는 과정으로써 인력수요를 충족시키기 위한 소요인력공 급의 필수적 단계라고 정의되고 있다. 그리고 이는 인력정책과정에서 그것이 갖는 본질적인 목표와 기능 이외에도 사회발전의 정도를 측정하는 지표의 하나로도 인식되고 있다(Frederick H . Harbison & Charles A. Myers. 1964).

개인적 측면에서의 인력자원개발목표는 인간이 인간다운 삶을 유지할 수 있도록 기술과 지식과 능력을 개발시켜서 생산능력과 노동의 질을 높여 주 고 그렇게 함으로써 성장과 발전 및 참여의 기회를 갖도록 하는 것이라고 말해지고 있으며, 국가사회적 측면에서의 인력개발목표는 한 사회가 보유하 고 있는 인적자원의 자원가치를 높여줌으로써 생산성과 효과성을 제고시키 고 또 필요한 시기와 장소에 적정인력을 공급, 활용토록 하는 것이라고 설명 되고 있다(이종성, 1984).

이러한 인력개발논리는 다음의 표 및 그림과 같다.

인력개발 - 목표 - 수단 - 방법 - 내용

인간 태도 및

능력변화

(투입) (전환과정 ) (산출)

개발능력

・기술

・지식

・능력

개발체제 및 과정 (목표・수단 방법・내용 등) 미개발인력

(잠재능력)

환경

〔그림 Ⅴ-1〕체계모형에 의한 인력개발논리

인적자원개발(HRD)은 민간부문(일반기업체 등)의 인적자원개발로 그 범위 가 좁아질 수 있으므로 국가 차원의 인적자원개발을 강조하는 의미에서 국 가인적자원개발(NHRD)라는 개념을 사용한다.(교육인적자원위원회 홈페이지) 국가인적자원개발 (National Human Resource Development)은 국가적 관점 에서 인적자원의 효율적 개발과 활용을 위한 교육・훈련 기타 문화적 활동 과 제도 개선을 포함한 국가・ 사회적 제반 노력을 의미한다.

국가차원의 인적자원개발은 도덕성, 인성, 공동체의식, 사회적 유대감 등 의 사회적 자본과 지식기반사회에서 요구되는 핵심적 능력개발 등을 통해 전 국민의 개인적 성장과 총체적 역량개발을 도모하며, 관리・지원체제의 효

율적 활용을 통해 개발된 인적자원의 사회적 효용성과 공익성을 극대화하려 는 국가적 노력을 총칭 한 것이다(한국교육개발원, 2000. 9:8).

문서에서 인적자원개발 정책 (페이지 152-15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