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실업계 고교와 전문대학의 연계교육을 위한 운영 체제 및 교육과정 모형 개발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1

Share "실업계 고교와 전문대학의 연계교육을 위한 운영 체제 및 교육과정 모형 개발"

Copied!
271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기본연구 99 - 3

실 업 계 고교와 전 문대 학 의 연 계 교육을

위한 운영 체 제 및 교육과 정 모형 개 발

연구책임자 : 장 명 희

자 : 강 경 종

김 종 우

박 윤 희

한 국직 업 능력 개 발 원

(2)

기본연구 99 - 3

실 업 계 고교와 전 문대 학 의 연 계 교육을

위한 운영 체 제 및 교육과 정 모형 개 발

(3)

최근 급속한 기술 변화와 산업 환경의 변화로 인하여 근로자들은 단순한 기능이나 단편 지식보다는 한 차원 높은 직업기술 능력과 종합적인 문제해 결 능력을 갖추기를 요구받고 있다. 이러한 사회적 추세는 직업교육이 활발 하게 이루어지고 있는 실업계 고등학교와 전문대학의 방향과 내용에서 변화 를 촉구하고 있다. 한편, 교육개혁위원회는 「신교육체제 수립을 위한 방안(Ⅱ)」(1996년 2 월)에서 이러한 동향과 직업교육의 문제점을 반영하여 변화하는 산업현장에 서 필요한 전문 직업인을 양성하고 직업교육에서 계속교육의 기회를 확보하 기 위하여 전문대학 수준의 직업교육을 강조하였다. 이에 따라 실업계 고등 학교와 전문대학 간 교육과정의 상호 연계운영 방안이 제시되었으며, 1996 년 8월에는 교육과정 연계 운영에 필요한 교육법 시행령이 마련되었다. 현재 연계교육을 추진하는 실업계 고등학교와 전문대학은 대체로 실제적 인 연계교육의 목적이 명확하지 않고, 주로 학생확보에 중점을 두고 있으며, 학교 단위의 체계적인 지침없이 연계교육을 위한 교육과정이 운영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상황에서 이 연구는 실업계 고등학교와 전문대학간의 연 계교육에 대해 종합적인 접근을 시도하였다는 점에서 큰 의의를 지니며 매 우 시의 적절하다고 하겠다. 이 연구에서는 우리 나라에서 시범 운영 중인 실업계 고등학교와 전문대 학간의 연계교육 운영 현황과 문제점 그리고 외국의 중등학교와 고등교육 기관간의 연계교육 운영 현황을 분석하였다. 그리고 연계교육에 대한 학교 급별 요구를 파악하여 연계교육의 운영 방향과 운영 체제를 정립하고자 하 였다. 또한 연계교육을 위한 교육과정 개발 모형을 구안하고 이에 따른 운 영 방안을 제시하였다. 따라서 연구의 결과는 시범 운영 학교는 물론 연계교육을 시도하는 일반 학교에서 용이하게 적용할 수 있도록 연계교육 운영체제와 체계적인 연계

(4)

교육과정 개발 모형에 대한 정보를 제공함은 물론, 연계교육의 발전 대책 수립에 적극 활용될 것이라고 기대된다. 끝으로 이 연구를 수행하는 과정에서 큰 도움을 주신 교육부의 산업교육 정책과와 전문대학지원과의 연구협력 담당관, 전문대학과 실업계 고등학교 간 연계교육 추진협의회장을 비롯한 전문대학 관계자 여러분, 실업계 고등 학교 관계자 여러분께 진심으로 감사드린다. 아울러 어려운 여건 속에서도 성실히 연구를 수행한 연구진의 노고를 치하하는 바이다. 1999년 11월

한 국 직 업 능 력 개 발 원

원 장

(5)

【 연 구 요 약 】

1 . 연구의 개요 이 연구는 실업계 고등학교와 전문대학간 연계교육의 운영실태를 분석하 여 체계적인 연계교육 운영체제와 연계 교육과정의 개발 모형을 제시하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우리 나라에서 시범 운영 되고 있는 실업계 고등학교와 전문대학간 연계교육의 운영 현황과 문제점 및 외국의 연계교육 운영 현황을 분석하고, 연계교육에 대한 학교급별 요구 를 조사하여 연계교육의 운영 방향과 운영 체제를 수립하였으며, 연계 교육 과정의 개발 모형과 운영 방안을 제시하였다. 이 연구는 문헌 연구, 면접 조 사 및 설문 조사, 전문가 협의회를 중심으로 이루어졌다. 2 . 연계교육의 운영 현황과 실태 가 . 연계교육 참여 학교 현황 1999학년도 현재 연계교육에 참여하는 학교 수는 교육부의 재정 지원을 받는 전문대학이 40개교, 이 전문대학과 연계되어 있는 실업계 고등학교가 225개교이다. 학교들간에 연계교육이 운영되는 학과는 253개이며, 연계 대상 학과로는 동일 명칭의 학과뿐만 아니라 교육과정의 연계가 가능한 인접학과 까지 그 범위가 확대되었다. 나 . 연계교육의 운영 실태 1 ) 연계교육의 운영 방향 연계교육 추진 학교에서 제시한 연계교육의 목적은 대부분이 정책 추 진 단계에서 제시된 교수・학습 및 교육자원의 효율성 제고, 전문 직업 기술인력의 양성, 고등직업교육의 내실화, 평생직업교육 체제의 구축 등

(6)

이었다. 한편, 실업계 고등학교와 전문대학간 연계 협약 내용은 대체로 구체적이지 못하였으며, 전문대학의 연계 학과 범위는 전체 학과의 35.0% 수준이었다. 2 ) 연계교육 운영 체제 연계교육 운영 체제는 현재 단위 학교를 중심으로 수행 역할에 따라 조 직・운영되고 있으며, 산업체와 연계 대상 학교들은 단순한 협력체제로 설 정되어 있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이러한 운영 체제로 인해 연계교육 운영계 획과 방법 등의 의사결정이 학교급별로 이루어지고 있으며, 산업체의 조직 과 역할도 미미하였다. 3 ) 연계 교육과정 개발 현재 교육과정의 적합성을 검토한 결과 대부분 공통적으로 현재의 전문교 과 내용과 수준이 학교급별에 맞지 않고 어려우며, 많은 내용이 중복되고 있어 연계교육을 위한 체계적인 교육과정이 개발될 필요가 있었다. 적합성 검토 결과에 따라 교육과정의 변화는 대체로 학교급별 교과목 내용의 중복 이나 난이도 분석에 따른 수준 조정이 주를 이루었으며, 학생들의 진로를 반영한 교육과정의 다원화 시도의 필요성을 제기하고 있다. 4 ) 연계 교육과정 운영 대부분의 연계교육 운영 학교들은 별도반 구성을 원칙으로 제시하고 있으 나 실제로 실업계 고등학교에서는 거의 이루어지지 않고 있으며, 일부 전문 대학들은 실업계 고등학교에서 진학한 학생들을 위한 별도반이나 연계 입학 생들만의 소집단 학습팀을 구성・운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계 학교간 시설・설비 및 기자재 공동 활용은 실제적으로 활발하게 이 루어지지 않았으며, 실업계 고등학교와 전문대학간의 인적 자원 교류활동은 주로 전문대학 교수의 특강과 실업계 고등학교 교사와의 공동 교재 개발이 대부분을 차지했다.

(7)

3 . 연계교육의 운영에 대한 학교급별 요구 연계교육 운영에 대한 학교급별 요구 조사 결과는 연계교육 운영 방향, 운영 체제, 교육과정 개발, 교육과정 운영의 4 영역으로 구분하여 실업계 고 등학교와 전문대학의 요구를 제시하였다. 가 . 연계교육 운영 방향 연계교육의 기본적인 목적은 실업계 고등학교와 전문대학 모두 우수한 입 학자원 확보에 두고 있었으며, 실업계 고등학교 교사들은 학생들의 증가하 는 진학 요구 반영에, 전문대학 교수들은 교육과정 연계를 통한 직업교육의 질 제고에 더 큰 비중을 두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나 . 연계교육 운영 체제 실업계 고등학교와 전문대학 모두 연계학교간에 교육과정 개발과 운영에 대한 역할을 분담하고, 산업체와 연계된 운영 체제를 요구하고 있었다. 현재 전문대학의 연계교육 운영 체제는 학사 관련 부서가 연계교육을 총괄하고 업무별 담당 부서가 지원하는 체제로 운영되고 있어 실행 업무의 기능이 세 분화되어 있지 않았다. 한편 실업계 고등학교는 실과부에서 연계교육을 총 괄하면서 교육과정 개발・운영에 대한 전반적인 실무를 수행하는 체제로 학 교 전체의 교육과정 조정 기능이 상대적으로 약한 것으로 나타났다. 다 . 연계 교육과정 개발 연계 교육과정 개발과 관련해서 기존 교육과정의 적합성을 검토한 결과 실업계 고등학교와 전문대학 모두 대체로 현재의 교육과정이 연계교육에 적 합한 것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그러나 연계교육 운영을 위한 교육과정 변화 에 대해 실업계 고등학교는 기존의 교육과정을 그대로 유지하거나 일부 교 육과정을 변경하는 형태를, 50% 이상의 전문대학은 교육과정을 새롭게 개 발하는 형태를 선호하였다.

(8)

라 . 연계 교육과정 운영 연계 교육과정을 운영하는 방법으로 실업계 고등학교와 전문대학 모두 별 도반 운영이 필수적임을 제시하였으나 실제로는 크게 고려하지 않고 있어 본래의 목적과는 별개로 운영되고 있었다. 이와 같은 현실적인 문제점은 별도반 운영을 위한 인원의 부적절성, 별도반 교육과정의 개발과 이에 따른 수업 부담, 학교 재정상의 어려움 등이 제기되고 있으므로 연계교육의 목적 을 달성할 수 있는 다양한 운영 방법을 고려해야 한다. 4 . 연계교육의 운영 방향과 운영 체제의 정립 가 . 연계교육의 운영 방향 우리 나라의 실업계 고등학교와 전문대학간 연계교육의 운영 현황과 문제 점, 외국의 연계교육 운영 현황, 연계교육 운영에 대한 학교급별 요구를 기 초로 앞으로 추진해 나갈 연계교육의 운영 방향을 다음의 9가지 측면에서 제시하였다. 첫째, 실업계 고등학교와 전문대학간의 연계교육은 학생들에게 계속교육 의 기회를 보장하고, 학교급간에 교육 과정 연계를 통해 산업사회에서 요구 하는 능력을 갖춘 전문 인력 양성 및 공급에 궁극적인 목적을 두어야 한다. 둘째, 연계교육 운영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단위 학교 중심의 운영 체제와 더불어 산업체와 지역 사회의 협력을 유도할 수 있는 지역사회 내, 연계학교간 체계적인 운영 체제가 조직・운영되어야 한다. 셋째, 실업계 고등학교와 전문대학간 연계교육은 연속적인 교육과정의 구조 화가 핵심이므로 연계교육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고, 학교현장에서 적용 가능 한 연계 교육과정의 개발 모형과 운영 방법이 체계적으로 정립되어야 한다. 넷째, 연계교육의 운영 모형은 수요자인 학생과 산업체의 요구, 전공분야 의 특성을 반영하여 운영 기간과 방법을 다양화해야 한다. 다섯째, 학교급별로 연계 교육과정을 정상적으로 구현할 수 있는 운영 및 지원 방법에 대한 연구가 현장을 중심으로 수행・적용되어야 한다.

(9)

여섯째, 연계교육 운영에 참여하는 교원에게 요구되는 전문성 확보를 위 하여 연계교육 관련 교원 연수 프로그램이 계획・운영되어야 한다. 일곱째, 연계교육의 수요자인 산업체, 학부모, 학생 등을 대상으로 이들이 연계교육에 대한 인식을 높이고, 적극적으로 참여할 수 있는 분위기를 조성 할 수 있도록 홍보 활동을 활발하게 전개한다. 여덟째, 연계교육에 참여하는 학생들이 연계교육을 통해 다양한 진로를 선택할 수 있도록 체계적인 진로 지도를 실시해야 한다. 아홉째, 연계교육을 지속적으로 지원할 수 있도록 행・재정적인 지원 체 제를 확보하고 지원 계획을 구체화한다. 나 . 연계교육의 운영 체제 연계교육 운영 체제는 먼저 지역 단위의 연계교육협의회 를 구성하고, 이 협의회를 통해 연계교육 대상 학교간의 의사 결정을 한다. 연계학교간, 단위 학교별 연계교육 운영 체제는 총괄 부서로 연계교육운영위원회 를 두고, 주 요 기능별 하위 조직으로 교육과정 개발팀・교육과정 운영팀・대외협력팀 등을 구성・운영한다. 4 . 연계 교육과정 개발 모형과 운영 방안 가 . 연계 교육과정 개발 모형 제시된 연계 교육과정 개발 모형은 연계 대상 학교 및 학과 선정부터 수업 전개에 따른 평가에 이르기까지 11단계로 이루어졌다. 그리고 본 연계 교육과 정 개발 모형은 현장 적용 가능성을 검토하였으며, 현재 연계교육을 실시하고 있는 전문대학과 실업계 고등학교를 선정(전문대학 1개교과 실업계 고등학교 4 개교 전공분야 : 정보통신계열)하여 구체적인 실례를 개발・제시하였다. 나 . 연계 교육과정 운영 방안 첫째, 연계 교육과정을 개발하기 위해서는 실업계 고등학교 학생들의 출

(10)

발점 행동을 정확하게 파악하고 산업체에서 기본적으로 요구하고 있는 직업 기초능력을 파악하여 반영하는 것이 전제되어야 한다. 둘째, 연계 교육과정 개발에서는 실업계 고등학교와 전문대학에서 이수할 교과목 중 중복적인 내용에 대해서 상호 합의하여 학교급별로 교과목 내용 을 이관하여 운영하며, 실업계 고등학교에서는 기초교과목에, 전문대학에서 는 응용 및 심화 교과목에 중점을 두도록 한다. 셋째, 정상적인 연계 교육과정의 운영을 위해서는 개발된 교육과정을 정 규 수업시간으로 유인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실업계 고등학교와 전문대 학 모두 별도반 운영에 대한 현실적인 제한점을 극복할 수 있도록 학교 별 교과 선택제 도입, 특별 프로그램의 정규 교육과정으로의 흡수, 연계 교과목 을 정규 교과목화 하는 등의 방안이 구체화되어야 한다. 넷째, 교육부 고시 고등학교 교육과정 편성・운영 방안에 연계 교육과정 운영을 위한 구체적인 지침이 마련되어 학교 현장에 시달되어야 한다. 다섯째, 연계 교육과정의 편성・운영에 대한 지침 마련과 기존 교육과정 의 분석, 직무분석을 통해 연계 교육과정을 개발할 때 교육 내용의 계열성 과 통합성을 고려하여 교과목 수를 줄이도록 한다. 여섯째, 정상적인 연계교육의 운영을 위해서는 정부 차원에서 실업계 고 등학교와 전문대학 모두 재정지원을 하여 운영상 공동의 지원체계가 구축되 도록 한다. 일곱째, 정부 및 시・도 교육청 차원에서는 연계 교육과정의 운영상 발생 할 수 있는 교사 수급 문제, 연계교육 운영 학교에 대한 장학, 별도반 운영 에 따른 내신 성적 산출 문제 등을 해결할 수 있는 행정적 지원 체제가 구 축되어야 한다.

(11)

연 구 요 약

Ⅰ . 서 론

1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2. 연구 내용 및 방법 3

Ⅱ . 실업계 고등학교와 전문대학간 연계교육 운영의

9

현황과 문제점

1. 우리 나라 연계교육의 도입 배경 9 2. 외국의 연계교육 동향 13 3. 연계교육의 운영 현황과 실태 41

Ⅲ . 연계교육 운영에 대한 학교급별 요구

67 1. 실업계 고등학교의 요구 67 2. 전문대학의 요구 95

Ⅳ . 연계교육의 운영 방향과 운영체제의 정립

131 1. 연계교육의 운영 방향 131 2. 연계교육 운영 체제 144

(12)

Ⅴ . 연계교육을 위한 교육과정 개발 모형과 실제

153 1. 연계 교육과정 개발 모형 및 절차 수립 153 2. 연계 교육과정 개발의 실제 162

Ⅵ . 요약 및 제언

203 1. 요 약 203 2. 제 언 211

참고 문헌

217

부 록

229

(13)

표 차 례

< 표 Ⅰ- 1> 설문지의 주요 내용 5 < 표 Ⅱ- 1> 실업계 고등학교 졸업생의 진학・취업률 추이(1980~1998 ) 10 < 표 Ⅱ- 2> 취업자의 학력별 구성비 변화 추이 (1990~1998 ) 11 < 표 Ⅱ- 3> 미국의 고등학교 교육체제 15 < 표 Ⅱ- 4> 기존의 교육과 T ech P r ep의 비교 16 < 표 Ⅱ- 5> T ech P r ep을 통한 대상별 혜택 17 < 표 Ⅱ- 6> 4 +2 T P A D 모형 : 전자/ 컴퓨터 중간 기술자

(E lect r on ic s/ Com put er T ech nician ) 21 < 표 Ⅱ- 7> 교육과정 연계 방식에 대한 조사 22 < 표 Ⅱ- 8> T ech P r ep 프로그램의 발전 과정 23 < 표 Ⅱ- 9> T ech P r ep 프로그램 모형 24 < 표 Ⅱ- 10> 지역협의체에 대한 종류 지원자금 내역 32 < 표 Ⅱ- 11> 1997~1999년 연계교육 참여 학교 현황 42 < 표 Ⅱ- 12> B전문대학의 실업계 고등학교와의 연계교육 추진 전략 43 < 표 Ⅱ- 13> 1999학년도 연계교육 재정지원 전문대학들의 연계교육 목적 44 < 표 Ⅲ- 1> 실업계 고등학교의 연계 실시 학과 현황 67 < 표 Ⅲ- 2> 실업계 고등학교와 연계를 체결한 전문대학 현황 68 < 표 Ⅲ- 3> 실업계 고등학교와 연계를 체결한 전문대학의 학과 현황 68 < 표 Ⅲ- 4> 실업계 고등학교 연계교육 운영의 목적 69 < 표 Ⅲ- 5> 연계교육 대상 학교 및 학과 선정의 기준 70 < 표 Ⅲ- 6> 연계교육 대상 전문대학 선정시 거리 제한의 유무 71 < 표 Ⅲ- 6 - 1> 거리에 제한을 두고 있는 주된 이유 71 < 표 Ⅲ- 6 - 2> 거리에 제한을 두고 있지 않은 주된 이유 72 < 표 Ⅲ- 7> 연계교육 학생 선정의 주된 기준 73 < 표 Ⅲ- 8> 연계교육 운영시 학생 측면에서 발생하고 있는 어려움 74

(14)

< 표 Ⅲ- 9> 학과별 연계 학생 규모의 적정선 75 < 표 Ⅲ- 10> 연계교육의 확대 여부 75 < 표 Ⅲ- 11> 연계교육에 대한 전문대학의 자세 76 < 표 Ⅲ- 11- 1> 전문대학이 연계교육에 적극적인 이유 77 < 표 Ⅲ- 11- 2> 전문대학이 연계교육에 소극적인 이유 77 < 표 Ⅲ- 12> 연계교육 운영을 위한 전문대학과의 역할 분담 방법 78 < 표 Ⅲ- 13> 연계교육을 총괄하고 있는 부서 79 < 표 Ⅲ- 14> 연계교육 효율화를 위한 재정 확보 방안 80 < 표 Ⅲ- 15> 연계교육 효율화를 위해 요구되는 행정 지원 사항 81 < 표 Ⅲ- 16> 연계교육 추진 과정에서 가장 중요하게 인식하는 과제 83 < 표 Ⅲ- 17> 연계교육에 대한 기존 교육과정의 적합성 여부 84 < 표 Ⅲ- 18> 연계교육 운영을 위한 교육과정 변화 형태 85 < 표 Ⅲ- 19> 연계교육 관련 교재 및 교수・학습 자료 개발 계획 86 < 표 Ⅲ- 20> 현직 교사들의 교재 및 교수・학습 자료 개발 경험 87 < 표 Ⅲ- 21> 연계교육에 활용할 교재 개발을 위한 인적 구성 방법 87 < 표 Ⅲ- 22> 연계 교육과정 개발시 요구되는 각 항목들의 필요성 정도 88 < 표 Ⅲ- 23> 연계 교육과정 운영 방법 90 < 표 Ⅲ- 23 - 1> 별도반을 편성하지 않은 이유 90 < 표 Ⅲ- 24> 연계교육을 운영하기 위해 재정 투자가 필요한 영역 91 < 표 Ⅲ- 25> 시설・설비 및 실험・실습 기자재 공동 활용 방법 92 < 표 Ⅲ- 26> 연계 교육과정 운영을 위한 인적 자원 교류 방법 93 < 표 Ⅲ- 27> 연계 교육과정 운영시 요구되는 각 항목들의 필요성 정도 94 < 표 Ⅲ- 28> 연계교육 운영의 목적 96 < 표 Ⅲ- 29> 연계교육 대상 학교 및 학과 선정의 기준 97 < 표 Ⅲ- 30> 학과별 적정한 연계교육 대상 실업계 고등학교 수 98 < 표 Ⅲ- 31> 연계교육 대상 학교 선정시 거리 제한 유무 98 < 표 Ⅲ- 31- 1> 거리에 제한을 두고 있는 이유 99 < 표 Ⅲ- 31- 2> 거리에 제한을 두지 않는 이유 99

(15)

< 표 Ⅲ- 32> 연계 대상 학생 선발의 기준 100 < 표 Ⅲ- 33> 연계교육 학생 선발의 문제점 101 < 표 Ⅲ- 34> 학과별 연계 학생 선발 규모 102 < 표 Ⅲ- 35> 연계교육의 확대/ 축소 계획 103 < 표 Ⅲ- 36> 연계교육에 대한 실업계 고등학교의 자세 104 < 표 Ⅲ- 36 - 1> 실업계 고등학교가 연계교육에 적극적인 이유 104 < 표 Ⅲ- 36 - 2> 실업계 고등학교가 연계교육에 소극적인 이유 105 < 표 Ⅲ- 37> 연계교육 운영 조직의 형태 107 < 표 Ⅲ- 38> 연계교육 총괄 부서 108 < 표 Ⅲ- 39> 연계교육을 위한 정책 결정 방법 109 < 표 Ⅲ- 40> 실업계 고등학교와의 연계교육 역할 분담 방법 110 < 표 Ⅲ- 41> 산업체와의 연계교육 운영 형태 111 < 표 Ⅲ- 42> 연계교육 운영에 필요한 재정 확보 방법 112 < 표 Ⅲ- 43> 연계교육을 추진하는 과정에서 가장 중요한 과제 113 < 표 Ⅲ- 44> 실업계 고등학교의 기존 교육과정이 연계교육과의 적합성 여부 114 < 표 Ⅲ- 45> 기존 전문대학 교육과정에 적합한 고등학교 계열 115 < 표 Ⅲ- 46> 연계교육 운영을 위한 교육과정 형태 116 < 표 Ⅲ- 47> 연계교육 관련 교재 및 교수・학습 자료 개발 계획 117 < 표 Ⅲ- 48> 교수들의 교재 및 교수・학습 자료 개발 경험의 충분성 118 < 표 Ⅲ- 49> 교재 및 교수・학습 자료 개발을 위한 인적 구성 118 < 표 Ⅲ- 50> 연계 교육과정 개발시 요구되는 각 항목의 필요성 119 < 표 Ⅲ- 51> 연계 교육과정 운영 방법 121 < 표 Ⅲ- 51- 1> 별도반을 편성하여 운영하고 있는 이유 122 < 표 Ⅲ- 51- 2> 별도반을 편성하지 않고 운영하는 이유 123 < 표 Ⅲ- 52> 일반계 출신 학생들에 비해 실업계 출신 학생들에게 발생하는 문제점 124 < 표 Ⅲ- 53> 시설・설비 및 실험・실습 기자재 공동 활용 방법 125

(16)

< 표 Ⅲ- 54> 연계 교육과정 운영을 위한 인적 자원의 교류 방법 126 < 표 Ⅲ- 55> 연계 교육을 운영하기 위해 재정 투자가 필요한 영역 127 < 표 Ⅲ- 56> 연계 교육과정 운영시 요구되는 각 항목의 필요성 129 < 표 Ⅴ- 1> 연계 교육과정 개발 대상 학교 및 학과 선정 163 < 표 Ⅴ- 2> 연계 대상 학과의 취업 가능영역 163 < 표 Ⅴ- 3> 연계 대상 학과 학생들에 대한 인력육성(안) 165 < 표 Ⅴ- 4> 정보통신계열 전기과의 직무모형에 따른 지식, 기능, 도구 도출 171 < 표 Ⅴ- 5> 정보통신계열 통신과의 직무모형에 따른 지식, 기능, 도구 도출 172 < 표 Ⅴ- 6> 정보통신계열 소프트웨어개발과의 직무모형에 따른 지식, 기능, 도구 도출 173 < 표 Ⅴ- 7> 공업고등학교 전기과의 지식, 기능, 도구에 따른 교과목 도출 175 < 표 Ⅴ- 8> 전문대학 전기과의 지식, 기능, 도구에 따른 교과목 도출 176 < 표 Ⅴ- 9> 공업고등학교 통신과의 지식, 기능, 도구에 따른 교과목 도출 177 < 표 Ⅴ- 10> 전문대학 통신과의 지식, 기능, 도구에 따른 교과목 도출 178 < 표 Ⅴ- 11> 공업고등학교 전자계산기과의 지식, 기능, 도구에 따른 교과목 도출 179 < 표 Ⅴ- 12> 전문대학 소프트웨어개발과의 지식, 기능, 도구에 따른 교과목 도출 181 < 표 Ⅴ- 13> 정보통신계열 전기과의 연계 교과목 182 < 표 Ⅴ- 14> 정보통신계열 통신과의 연계 교과목 183 < 표 Ⅴ- 15> 정보통신계열 소프트웨어개발과의 연계 교과목 184 < 표 Ⅴ- 16> 공업계 고등학교 전자이론 교과목 P r ofile 185 < 표 Ⅴ- 17> 공업계 고등학교 전기이론 교과목 P r ofile 186 < 표 Ⅴ- 18> 기초전기전자실습 연계 교과목 P r ofile 187

(17)

< 표 Ⅴ- 19> 공업고등학교의 전기실습과 전문대학의 기초전기실습 연계 교과목 Pr ofile 188 < 표 Ⅴ- 20> 공업고등학교의 전기이론과 전문대학의 회로이론Ⅰ 연계 교과목 Pr ofile 189 < 표 Ⅴ- 21> 공업고등학교의 전기이론과 전문대학의 회로이론Ⅱ 연계 교과목 Pr ofile 190 < 표 Ⅴ- 22> 공업고등학교의 통신이론과 전문대학의 통신공학개론 연계 교과목 Pr ofile 191 < 표 Ⅴ- 23> 공업고등학교의 통신기초실습과 전문대학의 통신기초이론실습 연계 교과목 Pr ofile 192 < 표 Ⅴ- 24> 공업고등학교의 통신전자회로실습과 전문대학의 디지털통신시스템 연계 교과목 Pr ofile 193 < 표 Ⅴ- 25> 공업고등학교의 데이터 통신과 전문대학의 데이터 통신 연계 교과목 Pr ofile 194 < 표 Ⅴ- 26> 공업고등학교의 C 언어와 전문대학의 C 언어 연계 교과목 P r ofile 195 < 표 Ⅴ- 27> 공업고등학교의 비쥬얼 베이직과 전문대학의 비쥬얼 베이직 연계 교과목 P rofile 196

(18)

그림차례

[그림 Ⅱ- 1] T ech P r ep 프로그램의 3단계 능력 수준 19 [그림 Ⅱ- 2] 전자/ 컴퓨터 중간 기술자 기술 프로그램의 교육과정 모형 20 [그림 Ⅱ- 3] T ech P r ep 협의체 28 [그림 Ⅱ- 4] T P A D 협의체 29 [그림 Ⅳ- 1] 연계교육 운영 체제 (안) 148 [그림 Ⅴ- 1] 직업교육과정 개발의 체제적 접근 156 [그림 Ⅴ- 2] 직업교육과정 개발 모형 157 [그림 Ⅴ- 3] 연계 교육과정 개발 모형 159 [그림 Ⅴ- 4] 정보통신계열 전기과의 직무모형 167 [그림 Ⅴ- 5] 정보통신계열 통신과 직무모형 169 [그림 Ⅴ- 6] 정보통신계열 소프트웨어개발과 직무모형 170 [그림 Ⅴ- 7] 연계 교육과정의 편성・ 운영 모형 199

(19)

Ⅰ . 서 론

1 .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다가오는 21세기는 급속한 과학 기술의 발전으로 산업구조가 변화되고 이 에 따라 새로운 직종이 창출되는가 하면 한편 기존의 직종이 소멸되는 등의 변화를 맞고 있다. 따라서 현대의 직업교육은 산업사회의 변화에 능동적으 로 대처하고, 직무간의 전이가 가능한 직업능력을 갖춘 인력 양성에 초점을 맞추어야 한다. 국가・사회적으로 정규 직업교육 체제 내에서 개인들이 평 생 동안 직업교육을 받을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하고, 직업교육이 평생교육으 로 정착할 수 있는 여건을 만들어 주어야 한다. 또한 과학 기술의 발달로 대부분의 직업인에게 단순한 기능이나 단편 지 식보다는 한 차원 높은 직업기술 능력과 종합적인 문제해결 능력이 요구됨 에 따라 고등학교 단계의 직업교육만으로는 한계를 가진다. 선진국의 경우 대부분의 직업은 적어도 전문대학 이상의 교육훈련 수준을 요구하고 있으 며, 이에 따라 완성 교육적 측면에서 직업교육의 축이 실업계 고등학교에서 전문대학으로 이동하고 있다. 현실적으로도 우리 나라 실업계 고등학교 졸업생의 진로 현황을 살펴보면 최근 수년간 상급학교의 진학률이 증가하고 있으며, 1999년 현재 실업계 고 등학교 졸업생의 35.2%가 고등교육 기관으로 진학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 다. 앞으로 우리 나라의 대학 정원과 고등학교 졸업자 수의 변화, 산업 사회 에서 요구하는 인력의 수준 등을 고려할 때 실업계 고등학교 졸업생의 진학 률은 더욱 증가될 것이다. 따라서 실업계 고등학교에서 이루어지는 직업교 육의 개념과 수준은 재정의 되어야 하며, 학생들이 원하면 언제든지 다양한 수준의 직업교육을 이수할 수 있어야 할 것이다. 도입 의도는 각기 다르지만 이미 선진 각국들은 중등교육기관과 고등교육

(20)

기관간의 연계를 통해 심화된 직업교육 프로그램을 운영해 왔다. 즉 미국의 경우에는 기술준비교육프로그램(T ech Pr ep )을, 그리고 호주에서는 JS ST AF E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는 것이 그 예이며, 프랑스에서는 직업고등학교와 전문대학에 해당하는 ST S나 IUT 의 교육과정 연계 노력이 확대되고 있는 실정이다. 우리 나라의 교육개혁위원회는 「신교육체제 수립을 위한 방안(Ⅱ)」 (1996년 2월)에서 이러한 동향과 직업교육의 문제점을 반영하여 변화하는 산업현장에 필요한 전문 직업인을 양성하고 직업교육에서 계속교육의 기회 를 확보하기 위하여 전문대학 수준의 직업교육을 강조하였다. 이에 따라 실 업계 고등학교와 전문대학 간 교육과정의 상호 연계운영 방안이 제시되었으 며, 1996년 8월에는 교육과정 연계 운영에 필요한 교육법 시행령이 마련되 었다. 이러한 법적 기초 위에 교육부는 1996년부터 연계교육 시범 실업계 고등 학교와 전문대학을 선정하였으며, 1998년까지 자율적으로 참여한 전문대학 을 포함하여 총 28개 전문대학과 82개 실업계 고등학교가 연계협약을 맺고 시범 운영되었다. 1999년도에는 교육부의 전문대학 재정 지원 사업의 하나 로 실업계 고등학교와 전문대학간 연계교육 사업이 추진되었으며, 연계교육 운영 실적과 앞으로의 운영 계획 평가를 통하여 40개 전문대학을 선정하여 지원하고 있다. 실업계 고등학교와 전문대학의 연계교육은 이를 실행하는 고등학교와 전 문대학이 주체가 되고, 교육부・교육훈련기관・산업체 관련 인사 등이 협의 체제를 갖추어 교육과정을 공동 개발하며, 각 학교 단계에서 교육과정을 실 제적으로 운영하는 것이 핵심이다. 그러나 지금까지 시범 운영되어 온 실업 계 고등학교와 전문대학간 연계교육의 운영 실태는 효율적인 운영체제나 지 침이 수립되지 않은 상태에서 대체로 운영의 주도권이 시범 운영 실업계 고 등학교나 전문대학에 치우쳐 있었다. 현재 연계교육을 추진하는 실업계 고 등학교와 전문대학은 대체로 실제적인 연계교육의 목적이 명확하지 않고 주 로 학생확보에 중점을 두고 있으며, 단위 학교의 체계적인 연구 없이 연계

(21)

교육을 위한 교육과정이 계획・운영되고 있는 실정이다. 앞으로도 실업계 고등학교 졸업생들의 전문대학 진학률과 연계교육에 참 여하는 학교 수가 지속적으로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따라서 시범 운영되 었거나 현재 시범 운영중인 실업계 고등학교와 전문대학간 연계교육의 운영 실태를 면밀하게 분석할 필요가 있으며, 이를 근거로 하여 연계교육의 운영 방향이 도출되어야 한다. 아울러 시범운영 학교는 물론 연계교육을 시도하 는 일반 학교들이 용이하게 적용할 수 있는 연계교육 운영체제와 체계적인 연계 교육과정 개발 모형이 수립되고 그에 따른 운영 방안이 제시되어야 한 다. 본 연구에서는 우리 나라에서 시범 운영 중인 실업계 고등학교와 전문대 학간의 연계교육 운영 현황과 문제점 그리고 외국의 중등학교와 고등교육 기관간의 연계교육 운영 현황을 분석하고, 연계교육에 대한 학교급별 요구 를 파악하여 연계교육의 운영 방향과 운영 체제를 정립하고자 한다. 또 연 계교육을 위한 교육과정의 개발 모형을 제시하고, 이에 따른 운영 방안을 모색하는 데 본 연구의 궁극적인 목적이 있다.

2 . 연구 내용 및 방법

가 . 연구의 내용

본 연구의 목적과 관련하여 다루어진 연구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실업계 고등학교와 전문대학간 연계교육 운영의 현황 및 문제점 파 악을 위하여 우리 나라의 연계교육 도입 배경, 외국의 연계교육 운영 동향 및 현재 우리 나라의 연계교육 운영 실태를 분석하였다. 둘째, 실업계 고등학교와 전문대학간 연계교육을 실시하고 있는 학교의 담당 교원을 대상으로 연계교육 운영에 대한 운영 방향, 운영체제, 교육과정 개발 및 운영에 대한 학교급별 요구를 조사하였다.

(22)

셋째, 실업계 고등학교와 전문대학간 연계교육의 운영 실태 및 외국의 연 계교육 운영 체제, 연계교육 운영에 대한 학교급별 요구 조사 결과를 기초 로 연계교육의 운영 방향과 운영 체제(안)를 정립하여 제시하였다. 넷째, 교육과정과 직업 교육과정 개발의 원리, 연계교육의 특성을 반영하 여 연계 교육과정의 개발 모형 및 절차를 수립하고, 이 모형을 적용한 실례 와 연계 교육과정 운영 방안을 도출하여 제시하였다.

나 . 연구 방법

본 연구는 연구 내용에 따른 연구 방법을 적용하였다. 1 ) 문헌 및 자료 분석 우리 나라 연계교육 운영 현황과 실태를 분석하고, 연계교육의 방향, 운영 체제, 교육과정 개발의 시사점을 도출하기 위하여 외국의 연계교육 운영 현 황을 비롯한 국내외 관련 문헌 및 자료를 분석하였다. 우리 나라 연계교육 관련 자료의 분석에서는 실업계 고등학교와 전문대학간 연계교육 운영 현황 과 문제점을 파악하였으며, 연계교육 운영 체제 및 교육과정 개발에 기초가 되는 자료를 분석하였다. 2 ) 면접 조사 문헌 및 자료분석을 통해서 연계교육의 운영 실태와 문제점을 분석한 후 학교현장에서의 실질적인 성과와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면접 조사를 실 시하였다. 면접 조사 대상 학교는 교육부에서 시행한 1999학년도 전문대학 재정지원 사업의 하나인 연계교육 지원 사업에 선정된 40개 대학 중 12개 전문대학을 선정하였다. 면접 조사는 12개 전문대학에 협조 공문을 발송하여 1999년 5월 31일~ 1999년 6월 5일 사이에 전문대학의 연계교육 담당 교수와 연계된 고등학교 의 담당 교사를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면접 조사는 연구진에 의해 작성된

(23)

면담지를 활용하였으며, 면담지의 주요 내용은 연계교육의 운영 방향, 연계 교육 운영 체제, 연계 교육과정 개발, 연계 교육과정 운영 방법 등 크게 4개 의 영역으로 구성하였다. 3 ) 설문 조사 실업계 고등학교와 전문대학간 연계교육의 운영 방향, 운영 체제, 교육과 정 개발, 교육과정 운영 방법 등에 대한 학교급별 요구를 파악하기 위해서 설문조사가 실시되었다. < 표 Ⅰ- 1> 설문지의 주요 내용 영 역 주 요 설 문 내 용 연계교육의 운영 방향 ・연계교육의 주요 목적 ・연계교육 대상 학교 및 학과의 선정 기준 ・연계교육 대상 학생 규모 ・연계교육 대상 학교의 거리 제한 유무 및 이유 ・연계교육 학생 선정 기준 및 관리상의 문제점 ・연계교육의 확대 계획 ・연계교육에 대한 대학의 자세 ・연계교육 추진 과정에서 가장 중요한 과제 연계교육 운영 체제 ・연계학교간의 역할 분담 ・재정 확보 방법 ・요청되는 행정적인 지원 사항 연계교육 교육과정 개발 ・연계 교육과정 개발 유무 ・교재 및 교수・학습 자료 개발 계획/ 교사들의 경험 유무 ・교재개발을 위한 인적 자원의 구성 계획 ・연계 교육과정 개발에 요구되는 요소별 중요성 연계교육 교육과정 운영 ・재정 투자가 필요한 영역 ・연계 교육과정 운영 방법 ・별도반 편성 유무 및 이유 ・시설・설비 및 실험・실습 기자재 공동 활용 방법 ・인적자원의 교류 방법 ・연계 교육과정 운영에서 요구되는 요소 일반 현황 ・ 99년 신입생 확보율/ 직위/ 소속학과/ 소재지/ 학교 설립유형/ 연계교 육 총괄부서/ 연계교육 현황

(24)

설문 조사지는 실업계 고등학교와 전문대학으로 분류하여 작성하였으며, 주요 내용은 < 표 Ⅰ- 1> 과 같이 연계교육의 운영 방향, 운영 체제, 연계 교 육과정 개발, 연계교육과정 운영, 일반 현황과 관련되는 문항으로 구성하였 다. 일반 현황과 관련되는 세부 문항을 제외하고 실업계 고등학교 설문은 총 35개 문항으로, 전문대학 설문은 41개 문항으로 작성되었다. 설문 조사지 는 초안 작성 후 원내 전문가의 검토를 받았고, 조사 대상에서 제외된 실업 계 고등학교와 전문대학 교원 각 10인씩을 대상으로 예비 조사를 실시하였 으며, 그 결과를 반영하여 최종 설문지를 작성하였다. 설문 조사는 1999년 전문대학 연계교육 사업 재정지원 대상인 40개 전문 대학, 이들 전문대학과 연계된 225개 실업계 고등학교를 대상으로 1999년 6 월 8일~1999년 6월 17일 사이에 실시하였다. 설문 조사지는 실업계 고등학 교의 경우 225개교에 각 3부씩 총 675부를 발송하였으며 교감, 교무부장 또 는 연구부장, 담당학과 교사가 응답하도록 의뢰하였다. 전문대학은 40개 대 학의 254개 연계추진 학과를 대상으로 총 294부를 발송하여 전문대학별 연 계교육 총 책임자와 연계교육 추진 학과장에게 응답하도록 하였다. 1999년 6월 17일까지 회수된 설문지는 실업계 고등학교의 경우 총 678부중에 49.0%인 331부가 회수되었으며, 이 중에서 329부가 자료분석에 활용되었다. 전문대학의 경우 총 294부 중 51.4%인 151부가 회수되었고, 자료처리에는 149부가 활용되었다. 수집된 자료는 SP S S/ P C+ W IN 7.5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으 며, 통계 방법은 빈도와 백분율, 평균을 사용하였다. 4 ) 전문가 협의회 전문가 협의회는 우리 나라의 연계교육 운영 실태조사와 학교급별 요구 조사를 기초로 수립된 실업계 고등학교와 전문대학간 연계교육 운영 방향 및 운영체제안(1999년 6월 18일, 1999년 7월 5일) 연계 교육과정 개발 모형 과 개발실례의 적절성 검토(1999년 7월 18일, 1999년 7월 23일)를 위해 각각 2차례씩 개최하였으며 그 결과를 반영하여 수정・보완하였다. 그리고 수립

(25)

된 연계 교육과정 개발 모형에 근거하여 연계 교육과정의 실례를 개발하기 위하여 1회의 워크숍을 개최하였다. 전문가 협의진은 교육부 협력관 2인과 전문대학 교수, 실업계 고등학교 교사, 산업체 인사 등을 포함하여 6~15인 의 범위에서 구성하였다. 연계 교육과정 개발 사례는 1999년 전문대학 연계교육 재정지원 대상 40 개 전문대학 중 가장 많이 운영되고 있는 공업계열을 전공분야로 선정하였 다. 이러한 실례는 공업계열 전공 분야를 운영하고 있는 전문대학 중 지원 을 받아 비교적 체계적인 교육과정 개발 절차와 방법을 적용하고 있는 A 전문대학(공업계 정보통신계열 )을 선정하고, 이 전문대학과 연계된 4개의 실업계 고등학교와 협력하여 개발하였다. 연계 교육과정 개발 모형을 적용 한 사례 개발에는 해당 대학의 교수 3인, 실업계 고등학교 교사 10인, 관련 분야 산업체 인사 2인 등 15인의 현장 전문가와 외부 관련 전문가 6인이 함 께 참여하였다.

(26)

Ⅱ . 실업계 고등학교와 전문대학간

연계교육 운영의 현황과 문제점

1 . 우리 나라 연계교육의 도입 배경

1996년 교육개혁위원회에서 발표한 신교육 체제 구축을 위한 교육개혁 방안 중 실업계 고등학교와 전문대학의 연계교육 도입에 대한 기본적인 배 경은 산업사회와 교육수요자의 요구, 직업교육의 역할 변화 측면에서 살펴 보았다. 21세기를 맞이하면서 기술관련 분야의 직업이 크게 증가하고, 급속도로 성장하는 직업에 있어서는 추가적인 교육훈련이 요구되고 있다. 또 기업과 테크놀러지의 새로운 변화추세로 전문대학 이상의 학력소지자와 자신의 지 식과 기능을 계속 향상시키는 근로자에게 취업의 기회가 제공되고 있다. 전 문대학 이상의 정규교육을 필요로 하는 직업의 경우 고학력의 취업자들은 실직시에도 고등학교 졸업 학력의 실직자에 비해 재취업의 시기가 2배 이상 빠른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이 앞으로 고학력의 숙련 근로자들에 대한 요구는 어느 때 보다 커질 것으로 보이며, 새로운 직업들은 점차 고학력의 근로자들을 필요로 하고 있다. 뿐만 아니라 앞으로는 전통적인 직무의 근로 자들에게도 보다 폭 넓고 깊이 있는 직업능력이 요구(이영현 외, 1999)될 것 으로 보인다. 우리 나라의 경우 1980년대 후반 이후 현재까지 우리 경제의 발전을 주도 해 왔던 제조업의 비중이 점차 줄어드는 대신 서비스산업의 비중이 크게 증 대하여 산업 구조의 재편이 이루어지고 있다. 그리고 21세기에는 정보통신 기술과 생명공학, 신소재 등의 첨단기술을 중심으로 새로운 산업 분야에서 의 고용 창출이 확대될 것으로 전망된다(산업연구원, 1998). 이러한 산업 환 경의 변화는 단순한 기능이나 단편 지식보다는 한 차원 높은 직업기술 능력

(27)

과 종합적인 문제해결 능력을 요구하고 있다. 이와 같은 산업사회의 변화로 인하여 실업계 고등학교와 전문대학의 교 육 방향과 내용은 변화가 필요하게 되었다. 즉 지금까지 직업교육을 주도 했던 실업계 고등학교는 기능인력 양성이 주요한 역할로 규정되어 왔다. 그러나 최근 고등학교에서의 직업교육은 직업인으로서 필요한 폭넓고 기초 적인 지식과 기술, 산업변화에 적응할 수 있는 전이 능력 그리고 일에 대 한 건전한 가치관 형성 등을 강조하는 방향으로 변화하고 있다. <표 Ⅱ- 1> 실업계 고등학교 졸업생의 진학・취업률 추이(1980~1998) (단위 : % ) 구 분 진학 희망률 진 학 률 취 업 률 1980 31.2 11.4 51.1 1985 30.0 13.3 51.8 1990 22.1 8.3 76.6 1995 35.6 19.1 73.3 1998 53.5 35.6 54.2 자료 : 교육부(1999). 교육발전 5개년 계획 시안. 위의 < 표 Ⅱ- 1> 에 제시된 우리 나라 실업계 고등학교 졸업생의 진로 추 이를 살펴보면, 1990년 이후 실업계 고등학교 졸업자들의 취업률이 떨어지 는 반면, 진학 희망률과 실제 진학률은 크게 증가하고 있다. 그리고 실업계 고등학교 학생이 고등교육 기관으로 진학하는 현황은 전문대학으로의 진학 이 주류를 이루고 있으며, 동일계 특별전형 비율이 확대됨에 따라 특별전형 에 의한 진학 비율도 4년제 대학이나 산업대학에 비해 높게 나타났다. < 표 Ⅱ- 2> 에 의하면 우리 나라에서 1990년대 이후 학교 교육을 마치고 신규로 노동시장에 참여하는 취업자 중에 고졸자는 감소하고 있으며, 전문 대학 이상의 학력 소지자는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그리고 경제활동 인구가 학교 교육에서 이수한 전공과 직업의 일치도 역시 매우 낮았다. 전공과 직

(28)

업의 일치도는 실업고 졸업자(49.1% ), 전문대학 졸업자(58.1% ), 4년제 대학 이상 졸업자(68.5% )의 순(통계청, 1998)으로 학교급이 낮을수록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표 Ⅱ- 2> 취업자의 학력별 구성비 변화 추이(1990~1998) (단위 : 명(% )) 구분 일반고 졸업자 실업고 졸업자 전문대 졸업자 일반대 졸업자 대학원 졸업자 합 계 1990 47,792 (11.8) 210,113 (51.9) 47,094 (11.6) 84,658 (20.8) 15,477 (3.8) 405,134 (100.0) 1995 27,892 (6.5) 190,148 (44.1) 88,843 (20.6) 100,085 (23.2) 24,033 (5.6) 431,001 (100.0) 1998 12,807 (3.2) 164,075 (40.2) 114,035 (40.2) 88,573 (21.6) 28,771 (7.0) 408,261 (100.0) 자료 : 교육부(1999). 교육발전 5개년 계획 시안. 현재 실업계 고등학교는 매년 학생 수의 자연 감소와 실업계 고등학교 진 학 기피로 인하여 우수 학생 확보는 물론 학생 정원 유치에도 어려움을 겪 고 있다. IM F 이전에 실업계 고등학교의 취업 희망자는 누구나 직장을 얻 을 수 있었으나, IM F 이후 경기침체로 인해 미취업 학생 수가 증가하게 되 었다. 이러한 사회적 현상은 실업계 고등학교 재학생의 대학진학 희망률을 높이는 요인으로 작용하기도 하였다. 그리고 연계교육 시범운영 실업계 고등학교 보고서 자료(동의공업고등학 교, 1998 ; 전주공업고등학교, 1998 ; 한밭여자상업고등학교, 1998 ; 충북상업 고등학교, 1998 ; 춘천기계공업고등학교, 1998 ; 마산상업고등학교, 1998 ; 울 산생활과학고등학교, 1998)에서 실업계 고등학교 재학생을 대상으로 조사한 내용을 종합해 보면 실업계 고등학교에 진학하게 된 주요 요인은 성적이었 고, 그 다음 요인이 전문대학 진학의 용이성으로 나타났다. 또 재학생 중 60% 이상의 학생들이 현재의 학습능력에 관계없이 전문대학 이상의 고등교 육 기관에 진학하기를 희망하고 있었다. 이는 고등교육에 대한 사회적 선호

(29)

현상에 따른 학생들의 무조건적인 요구를 반영하는 것이며, 실업계 고등학 교 재학생의 대입 준비 경향이 증가함에 따라 직업교육의 목표가 퇴색되고 있음을 함께 시사하고 있다. 이러한 변화에 적극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방 안의 하나로 진학 요구를 수용하면서 직업교육의 목표를 달성할 수 있는 연계교육의 도입이 검토되었다. 한편 전문대학은 실업계 고등학교 학생의 특별전형 비율이 증가함에 따라 입학생의 학력수준이 저하되고 있으며, 짧은 교육연한으로 인하여 전공심화 교육의 수준도 하락하고 있다. 이러한 원인 가운데 하나는 현행 실업계 고 등학교와 전문대학의 교육과정 중 일부 전문교과가 지나치게 어려운 내용으 로 구성되어 있어 학생들의 학습 의욕과 흥미를 저하시키는 데서 찾을 수 있다. 보다 근본적인 원인은 대다수의 실업계 고등학교 학생들이 성적 부진 으로 실업계 고등학교에 진학했으며, 계열에 따라 차이는 있지만 실업계 고 등학교 졸업생 중 대다수가 취업을 희망하고 있으므로 전문대학 진학자의 기초학력은 그 수준이 낮을 수밖에 없다. 이 외에도 전문대학에서는 4년제 대학과 동일한 교재를 사용함으로써 전문대학이 가지고 있는 특성을 반영한 교육과정을 운영하지 못하고 있으며, 산업사회의 인력수요 및 교육 수요자 들의 요구를 적절히 반영하지 못한다는 문제점을 안고 있다. 이에 따라 전문대학은 전공 분야의 수학 능력을 겸비한 입학자원의 확보 방안 마련이 시급한 실정이다. 실제로 전문대학 재학생이나 졸업생을 대상 으로 한 설문조사 결과를 보면, 전문대학 교육의 지향점은 전문성을 갖출 수 있도록 세부 분야에 대한 전문기술교육을 실시해야 한다는 의견이 지배 적이었다. 또 전문대학 재학생들도 차별화・특성화된 전문교육 분야의 교육 을 받아 2년 동안의 단기교육으로 인한 단점을 극복하기를 원하는 것(안성 로 외, 1999)으로 밝혀졌다. 따라서 실업계 고등학교와 전문대학간에 연계교육을 운영할 경우, 고등 학교에서 이루어지는 교육은 기초직업능력의 강화에 중점을 두고, 고등학 교 이후 단계에서는 전문 지식과 기능을 습득할 수 있도록 교육과정이 연 속적으로 재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학교급간에 교육의 효율성을 제고

(30)

하기 위해서는 동일하거나 유사한 내용을 제거하고 고등학교와 고등교육 기관간에 학습내용을 적정하게 배분하여 학생들의 능력에 맞는 학습을 가 능하게 한다는 데에서 연계교육 도입의 배경을 찾을 수 있다. 이러한 실업계 고등학교와 전문대학간 연계교육은 산업체, 실업계 고등학 교, 전문대학에서의 발전적 모색과 함께 제도적 근거를 마련하게 되었다. 실 업계 고등학교 졸업생들에게는 제도적으로 고등 직업교육 기회를 보장해 주 고, 계속교육의 길을 열어주는 관련 법칙 근거는 다음과 같다. 고등교육법 시행령 제40조에는 전문대학과 실업계 고등학교가 교육과정을 연계하여 운영하는 경우에 당해 과정을 이수한 실업계 고등학교를 졸업한 자(졸업예정자 포함)를 특별 선발할 수 있다고 규정하고 있다. 제59조에서는 전문대학의 장은 직업교육을 활성화하기 위하여 필요한 경우에 학칙이 정하 는 바에 따라 실업계 고등학교・대학・산업대학 및 산업체와 상호 연계하여 교육과정을 운영할 수 있다고 제시되어 있다. 한편 직업교육훈련촉진법 제5 조 제3항에는 직업교육훈련기관의 장은 연계 교육과정 이수자를 우선 선발 하여 1999학년도부터 학교장 추천에 의해 무시험 전형으로 전문대학에 입학 할 수 있다고 명시되어 있다. 이와 같이 실업계 고등학교와 전문대학간 연계교육은 고등학교에서 직업 교육을 이수하는 학생들 중에 진학을 희망하는 학생에게 고등교육 기관에 입학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는 연계 통로를 마련해 주었다는데 의의가 있 다. 특히 학생들이 실업계 고등학교와 전문대학의 연계 교육과정을 이수함 으로써 대학 진학 기회 보장과 함께 중견 기술자의 자질을 갖추고 사회에 진출할 수 있어 취업 문제도 해결할 수 있는 하나의 방안이 될 수 있다.

2 . 외국의 연계교육 동향

직업교육훈련의 연계는 동급의 학교 혹은 직업학교, 사설학원, 직업훈련 원 등의 교육훈련기관과 인적, 물적, 정보 자원을 공유하는 수평적 연계와 상・하급의 교육기관이 협약하여 교육과정을 협동적으로 연결하고 이행하

(31)

는 수직적 연계로 나눌 수 있다. 이외에 독일의 이원화 체제(du al sy stem ) 와 같이 학교와 산업체가 긴밀하게 연계하여 교육과정을 운영하는 시스템 도 넓은 범주의 연계교육이라 할 수 있다. 그러나 본 절에서는 학생들의 소질과 적성에 따라 다양한 선택 기회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중등교육과 고등교육 기관의 교육과정을 상호 연 계하여 운영하고 있는 수직적 연계로 제한하였다. 따라서 학교급간 연계교 육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는 대표적인 나라로서 미국과 호주의 동향에 관하여 분석하였다.

가 . 미 국

1 ) 개 요 미국의 연계교육은 우리 나라에서 시행하고 있는 연계교육의 운영 취지와 는 차이가 있다. 그러나, 우리 나라의 연계교육 운영의 발전적 모색을 위해 서는 미국에서 연계교육이 도입 된 원인을 파악하고, 연계교육의 운영에 대 한 내용, 체제 및 방법에 대한 분석이 필요하다. 따라서 미국의 연계교육 운영 동향을 분석하기 위하여 T ech Pr ep을 중심 으로 연계교육이 발생하게 된 배경과 교육과정 측면에서의 연계, 연계교육 운영 체제 및 운영방법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이와 함께 미국에서 연계교육 을 시행하는데 따른 문제점 및 당면 과제에 대하여 살펴보았으며, 끝으로 미국의 연계교육 사례를 통해 얻을 수 있는 시사점을 정리하였다. 2 ) 연계교육의 배경 지난 수년간 미국에서는 많은 교육개혁이 이루어졌다. 이러한 개혁의 공 통점은 학생이 책임감 있는 시민으로서의 자질을 습득하고 지속적인 학습과 취업 준비를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에 목표를 둔다는 점이다. 이전에 이루어 진 교육개혁의 초점은 학문적 문제였을 뿐, 학교 중심의 지식이 학교 밖의 생활과 어떻게 연결되는지에 대한 고민은 담겨 있지 않았다. 이에 비하여

(32)

T ech P r ep은 기존의 학교 체제에서 소외된 학생들을 대상으로 학교 중심의 지식을 일과 연결시키고자 한 제도이다. 미국의 고등학교 교육 체제는 크게 대학준비 과정, 직업교육 과정, 일반교 육 과정으로 나뉜다. 다음의 < 표 Ⅱ- 3> 과 같이 대학준비 과정과 직업교육 과정은 고등학교 이후에 연결되는 과정이 있는데 반하여 일반교육 과정 이 수자들은 고등학교 과정 이후에 지향점 없이 표류하고 있는 현실이다. < 표 Ⅱ- 3> 미국의 고등학교 교육체제 고등학교 고등학교 이후

대학 준비(College Preparatory ) 대학(F our - year Univer sity/ College) 직업 교육(Vocational E ducation ) 취업(Employment )

일반 교육(General E ducation )*

?

자료: F agan , C. & Lumley , D.(1995). Planning for T ech Prep : A Guidebook for School Leader s , Scholastic Inc ., p. 12.

*

이 체제에 속한 학생들은 소외된 다수(the neglected majority )라고 불림.

그러나 대학준비 과정 및 직업 교육과정 이수자들이 직업 시장 (j ob m ar k et )과 작업현장에서 혜택을 받는 것은 아니다 . 왜냐하면 대학준비 교 육을 받은 학생들은 전문 지식 (specific skill kn ow ledg e )이 부족하고, 직 업교육을 받은 학생들은 이론적 기반이 약하기 때문이다. 한편 일반교육 을 받은 학생들은 교육과정 내에서 기능 훈련이나 기술에 관한 이론 교 육을 받지 않으므로 전문 기능・지식뿐만 아니라 해당 분야의 이론적 기 초가 모두 부족하다.

이와 같이 일반교육 과정에 속한 소외된 다수의 학생들을 대상으로 만들 어진 교육 프로그램이 바로 2+2 T ech Pr ep A ssociat e Degr ee (T PA D ) 모형 (Br ag g , D . D ., 1994; Hu ll, D . & P arn ell, D ., 1991)이다. 우리 나라의 연계교 육이 실업계 고등학교에서 직업교육을 받는 학생들을 대상으로 한다면, 미 국의 연계교육 시행 목적은 일반교육을 받는 학생들의 진로 모색이라는 데 에서 우리 나라의 연계교육 운영 취지와 대별된다.

(33)

< 표 Ⅱ- 4> 기존의 교육과 T ech P r ep의 비교 기존의 교육 T ec h P rep 교육과정은 임의적으로 선택됨 교사는 교단에서 박식한 사람 임 교육과정은 독립적으로 제시됨 현장 기능(w orkplace skills )을 가 르치지 못함 학생들은 장래의 직업 목표를 갖 고 있지 않음 교사는 독립적으로 일함 교육과정은 교육과정의 연속을 고려하여 선 택됨 교사는 학생들을 고무하는 촉진자(facilitator ) 역할을 담당함 교육과정에서는 여러 과목이 통합됨 교육과정 내에 현장 기능이 포함됨 학생들은 추구하고자 하는 직업군을 선택 교사들은 팀으로 일함

자료: F agan , C. & Lumley , D.(1995). Planning for T ech Prep : A Guidebook for School Leader s , Scholastic Inc ., p. 14.

T ech P rep 프로그램은 기존의 일반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대안을 제공하 고 청소년들에게 급속히 변화해 가는 경제 사회에서 경쟁하는데 요구되는 기술과 이론을 제공하고 있다. 이러한 T ech Pr ep은 1980년대 후반에 미국 전역에 걸쳐 발전하기 시작하여 1990년에는 Carl. D . P erkin s 직업교육법 (V ocation al an d A pplied T echn olog y E du cat ion A ct )이 제정됨에 따라 재정 적 지원을 받게 되었다. 이 법은 중등교육과 고등교육의 연계, 중핵중심의 통합교육과정 운영, 학교와 직업세계의 연계(school- t o- w ork ) 등 T ech Pr ep 의 중심 요소에 해당하는 교육 프로그램에 대하여 재정적 지원을 하도록 규 정하고 있다. 기존의 교육과 T ech P r ep 프로그램을 비교하면 앞의 < 표 Ⅱ - 4> 에 제 시된 바와 같다. 이에 따르면 T ech P r ep 프로그램을 통하여 학생들은 도 전적인 교육과정을 이수할 수 있고, 교사들은 응용적이고 통합된 교수 전 략을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학생들은 고등교육 프로그램으로 원만히 이동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모든 학생들이 이러한 변화를 통해 이익을 얻을 수 있게 되었다.

(34)

< 표 Ⅱ- 5> T ech P rep을 통한 대상별 혜택 학 생 최상의 기술 교육을 받으면서 견고한 기초 기능과 지식을 쌓을 수 있음 빠르게 변화하는 현대 생활에 대처하는 능력을 개발할 수 있음 향상된 기능과 능력으로 일의 현장에 들어갈 준비를 할 수 있음 고용주 더 나은 교육과 훈련을 받은 근로자를 채용할 수 있음 미국 전역의 고등학교와 대학으로 T ech Prep 프로그램이 확산됨에 따라 숙련 근로자 부족이 경감될 것임 고등학교 더 많은 학생들이 고등학교 교육을 마치기 위해 학교에 머물 것임 중도 탈락자 수가 줄어들고, 더 많은 학생들이 학습 과정에서 만족 을 찾게 됨 학생들이 실질적인 교육 프로그램에 참여하게 됨에 따라 고등학교 의 사기가 증진될 것임 대 학 대학에 입학한 학생들은 대학 교육을 받을 준비가 잘 되어 있음 보충 교육 프로그램이나 개발 교육 프로그램을 필요로 하는 학생 들의 수가 줄어들 것임 주 및 지역사회 협력을 통해 여러 교육 수준에서 교육과정의 중복을 피할 수 있음 더 큰 효율성 제공 각 지역의 인적 자원을 충분히 개발 미 국 세계 일류의 인력을 보유할 수 있게 됨

자료: Hull, D. & P arnell, D.(1991). T ech Pr ep Associate Degree: A Win/ Win Experience. Cent er for Occupation al Res ear ch and Dev elopm ent , pp. 28- 29. 한편 Hull과 P arnell (1991)은 T ech Pr ep을 통하여 학생 뿐 아니라 학교, 고용주, 지역사회 및 주, 그리고 미국 전체가 혜택을 받을 수 있다고 언급하 였다. 다시 말하면 T ech Pr ep 프로그램을 통하여 위의 < 표 Ⅱ- 5> 에 나타난 바와 같이 학생들은 향상된 기능과 능력을 소지하고 일의 현장에 들어갈 준 비를 할 수 있는 기회를 가지게 되고, 고용주는 더 나은 교육과 훈련을 받 은 근로자를 채용할 수 있으며, 고등학교에서는 중도탈락자가 줄어들게 될 뿐 아니라 더 많은 학생들이 학습 과정에서 만족을 찾게 된다. 또 대학에서 는 보충 교육 프로그램(r em edial education pr ogram s )이나 개발 교육 프로 그램을 필요로 하는 학생 수가 줄어들게 되며, 지역사회 및 주에서는 여러 교육 수준에서의 협력을 통해 교육과정의 중복을 피할 수 있게 되고, 더 나

(35)

아가 미국 전역에서는 세계 일류의 인력을 보유할 수 있게 된다는 것이다.

3 ) 교육과정

T ech P r ep의 특징 (D . S t ern et al., 1995 )은 교육과정의 연계 (curricu lu m art icu lat ion )라고 볼 수 있다. T ech P r ep은 중등교육과 고등교육을 공식적으 로 연계함으로써 학생들은 수준 높은 기능을 습득할 수 있으며, 학점 손실 과 교육과정의 지체나 중복 없이 한 단계에서 그 다음 단계로 원활하게 넘 어갈 수 있도록 교육체제를 연결하였다. 이와 같이 중등교육과 고등교육의 공식적 연계를 통하여 중도탈락자, 학생의 실패, 비용의 저효율성 등을 줄일 수 있으며, 고등학교 학력 수준을 넘어 그 이 상으로 학생들이 상향 이동할 수 있게 되었다. 또한 중등교육, 2년제 고등교육, 그리고 4년제 고등교육간의 공식적 연계는 직업교육에 대한 종국적 이미지의 불명예를 없앨 수 있는 방안(Bragg, D. D., 1994)이기도 하다. 아울러 T ech Pr ep 프로그램은 체계적인 현장 경험과 수학, 과학, 의사소 통, 기술에서 중핵 과정(cor e cour ses )을 포함하고 있다. 또한 T ech Pr ep 프 로그램은 두 교육기관들이 갖고 있는 교육과정을 단순히 하나로 연결한 것 이 아니라, 일반교육 과정과 직업교육 과정을 하나로 묶어 서로 연속성을 유지하면서 두 교육기관에서 가급적 중복되지 않게 과목들을 배울 수 있도 록 구성한 프로그램이라고 할 수 있다. 즉, 고등학교와 대학이 이론에 바탕 을 둔 실기를 습득할 수 있도록 고등학교와 대학과정에 서로 중복되지 않으 면서도 연속성을 유지할 수 있도록 일반교육 과목과 직업교육 과목을 협력 하여 개설하고 있다. T ech P r ep 교육과정, 특히 중등교육 과정과 고등교육 과정의 연계를 통한 2+2 T P A D 프로그램의 효과(D . S t ern et al, 1995 )를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2년제 준학사 학위(associate degree) 또는 자격(certificate)을 부여받는다. ・기술, 응용과학, 기계, 산업 또는 실용예술, 무역, 농업, 보건 또는 비즈

니스 등 적어도 한 분야에서 기술 준비를 할 수 있다.

(36)

을 배양한다. ・취업이 용이하다. 이와 같이 학생들에게 높은 수준의 학문적・기술적 기능을 제공하도록 마 련된 T ech Pr ep 프로그램은 학생들이 교육을 계속할 수 있도록 고무하며, 고등학교에서는 중간 탈락자의 수를 감소시킬 수 있다. T ech Pr ep 교육과정 의 목적은 학생이 선택한 분야에서의 진로 성장과 직무 수행 능력을 길러 주기 위한 것이므로 교육과정은 광범위한 기초 학습에서 출발하여 특정 분 야의 전문교육으로 향하도록 구성된다. 이를 도식화하여 제시하면 다음의 [그림 Ⅱ- 1]과 같다.

즉, T ech P rep은 3단계의 능력 수준(three lev els of pr oficien cies )으로 구 성되어 있어, 첫 단계에서는 수학, 인문과학, 사회과학 등을 필수로 하는 기 본 공통과목(basic cor e curriculum )을 배운다. 이어서 두 번째 단계에서는 직업군(occupational clu ster : 제조직업군, 보건직업군 등)에 따른 기술 공통 과목(technical cor e curriculum )을 배우게 되며, 세 번째 단계에서는 한가지 직업에 관한 전문교육(specialty curriculum )을 이수하도록 구성된다.

수준 3 전문 능력 (s pec ialty profic ienc ie s ) 고등교육 기관

수준 2 기술 능력 (t ec hnic al profic ienc i e s ) 고등학교 / 기술학교

수준 1 중핵 능력 (c ore profic ienc i e s )고등학교

[그림 Ⅱ- 1] T ech P r ep 프로그램의 3단계 능력 수준

자료: F agan , C. & Lumley , D.(1995). Planning for T ech Prep : A Guidebook for School Leader s , Scholastic Inc ., p. 17.

(37)

요구되는 수학, 과학, 의사소통 및 기술적 능력을 말한다. T ech Pr ep 교육과 정 개발 담당자는 T ech Pr ep 프로그램에서의 중핵 능력을 우선적으로 찾아 내야 한다. 중등교육 기관 협의체 구성원들이 중등교육 과정을 변화시킨다 고 가정할 때, 그러한 교육과정의 변화는 중핵 능력에 기반 해야 한다.

수준 2는 기술 능력(technical pr oficien cies )인데, 기술 능력이란 해당 직업 군내에서 요구되는 능력이다. 이러한 능력은 고등교육 직업과정으로 들어가 는데 필요한 기술적 능력이기도 하다.

수준 3은 전문 능력(specialty pr oficien cies )으로서 특정 직업에서 요구되 는 능력이다. 이 능력은 고등교육 기관에서 교육되며, 학생들이 필요한 능 력을 소지하고 고등교육 학위 프로그램에 들어간 후에 더욱 향상되어질 수 있다. 이를 통하여 학생들은 상위 수준의 능력을 습득할 뿐만 아니라 학위 프로그램도 마칠 수 있다. 전문 능력 디지털 기초 및 회로 디지털 장치 및 기법 아날로그 장치 및 시스템 마이크로프로세서 컴퓨터 언어 및 프로그래밍 디지털 컴퓨터/ 인터페이스 기술 능력 전기/ 전자 회로 분석 장치 및 회로 산업 전기 파워 및 장비 그래픽 기계 장치 및 시스템 산업 공정 재료 특성 컴퓨터 응용 도구 및 통제 fluid pow er 중핵 능력 응용 수학 및 과학 의사소통 사회경제 대수학 삼각법 기하학 물리학 기술 의사소통컴퓨터 베이직 기술에서의 경제학산업 관계

[그림 Ⅱ- 2] 전자/ 컴퓨터 중간 기술자 (Electr onics/ Com put er T ech nician ) 기술 프로그램의 교육과정 모형

자료: Hull, D. & P arnell, D.(1991). T ech Pr ep Associate Degree: A Win/ Win Experience. Cent er for Occupation al Res ear ch and Dev elopm ent , p. 346.

(38)

실례로서 T ech Pr ep 프로그램의 3단계 능력 수준을 반영한 전자/ 컴퓨터 중간 기술자(Electr onics/ Com puter T echnician ) 기술 프로그램의 교육과정 모형과 이에 따른 고등학교와 전문대학의 교육과정 편성을 제시하면 앞의 [그림 Ⅱ- 2], 다음의 < 표 Ⅱ- 6> 과 같다.

<표 Ⅱ- 6> 4+2 T PAD 모형 : 전자/ 컴퓨터 중간 기술자(Electronics/ Computer T echnician )

구분 고등학교 전문대학 과목 1학년 2학년 3학년 4학년 1학년1학기 1학년2학기 2학년1학기 2학년2학기 수학 수학 Ⅰ응용 수학 Ⅱ응용 기하학 또는 선택과 목* 대수학 Ⅱ 삼각법 통계학 영어 영어 Ⅰ, Ⅱ, Ⅲ / 응용 의사소통 의사소통기술 과학 생물학/응용 화학 기술 원리 Ⅰ 원리 Ⅱ기술 기술공을 위한 물리학 인류학 지리학, 역사, 정치 대인/산업관계 기타 건강/체육 활용능력컴퓨터 선택 과목* 경제학기술 기타 기술교육 과목선택* 기술 능력 그래픽기술 산업공정(제작) 산업 전기 파워 및 장비 도구 및 통제 기술 능력 전자 제작 및 검사 재료 특성 기계 및 fluid devices 선택 과목* * 전문 능력 DC/ AC회로 장치 Ⅰ 컴퓨터 언어 및 프로그래밍 ICs 및 아날로그 회로 컴퓨터 응용 디지털 장치 및 기법 전문 능력 회로분석 디지털전자 아날로그 장치 및 시스템 디지털 기초 및 회로 마이크로 프로세서 디지털 컴퓨터/인 터페이스 * 예술 및 외국어 등 ** 레이저 입문 등

자료: Hull, D. & P arnell, D.(1991). T ech Pr ep Associate Degree: A Win/ Win Experience. Cent er for Occupational Res earch and Dev elopm ent , p. 347.

(39)

기술공통과목, 기술전문과목으로 구성되어 있다. 공통과목은 고등학교와 전 문대학 모두 연계를 가지고 편성되어 있으며, 전문대학에서의 공통과목은 고등학교에 비해 보다 전문적인 성격을 띤 과목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전문대학은 고등학교에 비해 전문기술 능력 습득에 초점을 두고 기술공통과 목, 기술전문과목을 집중적으로 편성하고 있다. 1994년 미국의 교육부 자료에 의하면 고등학교와 대학 사이의 교육과정 연계방식 가운데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것은 고등학교 학생이 재학 중에 대학에서 직업교육 과목을 수강하고 학점을 취득하는 방식으로 나타났다. 다음의 < 표 Ⅱ- 7> 에 제시된 바와 같이 지역협의체를 대상으로 한 자료에서 는 조사 대상자 중 81.0%가, 그리고 대학을 대상으로 한 자료에서는 53.0% 고등학생이 대학에서 직업교육 과목을 수강하고 학점 취득을 인정받도록 고 등학교와 대학 사이에 협약을 맺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그 밖의 교육과정 연계 방식으로는 고등학교와 대학의 교육과정을 함께 조정하는 방식, 고등학교 교육과정만을 개편하는 방식 등의 순으로 고등학 교와 대학의 교육과정을 서로 연계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표 Ⅱ- 7> 교육과정 연계 방식에 대한 조사 (단위 : % ) 지역협의체 대학 고등학교 재학생의 대학 학점 취득 허용 81.0 53.0 대학 교육과정 개편 44.0 48.0 고등학교 교육과정 개편 55.0 51.0 고등학교, 대학교 교육과정 공동 조정 59.0 51.0 공동 강의 19.0 40.0 자료: 이상일(1998), 미국 직업교육훈련제도의 새로운 변화, 한국노동연구원, p. 70. 한편 Dorn sife (1992)는 T ech Pr ep 교육과정 구성 요소와 교육과정 개발 단계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이러한 단계의 개요는 다음의 < 표 Ⅱ- 8> 에 제 시되어 있으며, 이 표는 전형적인 T ech P rep 프로그램의 발전 과정을 논리 적으로 과정을 보여주고 있다. 이 교육과정의 각 요소 즉, 정보와 마케팅,

(40)

교육과정 개발, 진로지도(car eer guidance) 및 프로그램 평가는 T ech P rep 프로그램 개발 단계별로 차이를 보인다. < 표 Ⅱ- 8> T ech P rep 프로그램의 발전 과정 요소 단계 프로그램 구성 요소 프로그램 개발단계 정보/ 마케팅 캠페인 교육과정 연계 및 교육과정 개발 진로지도 프로그램 향상 초기 운영 (약 1- 2년) 세상에 알리 기 캠페인을 소규모로 시작 현재의 직업기술 프로그램 개별 과정들의 연계 진로지도 센터 설립 성과수)와 과정 지표(교지표(등록자 육과정에 대한 학 생 만족도) 파악 기준선 설정 비공식적 정보수집 중기 운영 (약 2- 3년) 공식적/ 서면 마케팅 계획 수립 홍보 대상자 파악 구체적인 마케 팅 활동의 개 발 및 시행 수정된 교육과정 의 연계 직업교육 프로그 램에서 교육과정 의 연속화 중등교육 수준(7- 12 학년)에서 진로개발 프로그램 의 확대 자료 수집을 위한 체제 구성 지표 검토 및 확장 발전기 운영 (약 3- 4년 이상) 주요 마케팅 캠페인에 참여 프로그램 설명 서 배포 및 성 과에 대한 홍 보 지속적인 프로 그램 활동의 확장 새로운 교육과정 의 연계 교육과정의 연속 화 직업기술 및 인 문 중핵 교육과 정의 개발 경력 단계에 따 라 훈련을 제공 할 수 있는 프로 그램의 개발 진로개발 프로그램 을 모든 학교 수준 (K - 14학 년)으로 통합 프로그램 향상 자 료의 일상적 분석 필요한 때에 요소 를 수정 결과 발표

자료 : D. Stern et al(1995), School to W ork : Research on Pr ograms in the United St at es , T he F alm er Pr es s , p. 114. 프로그램 개발의 초기 단계에서 주요 목표는 교육과정의 중복을 피하고 중등학교 학생들이 고등교육 프로그램을 이수하는 시간을 줄이는 형태로 연 계하는 것이다. 그리고 교육과정 연계를 위한 두 번째 단계에서는 현재 교 육과정의 내용을 수정하고 한 개 또는 그 이상의 중등과정 직업기술 프로그 램 영역과 연계한다. 마지막 세 번째 단계는 현재의 교육과정 연계뿐 아니 라 새로운 과정을 연계하고 경력에 따라 훈련을 제공할 수 있도록 일반교육

참조

관련 문서

학습경험의 평가.. 직업 교육과정 개발 모형.. 대안적 교육과정 개발 모형과 젃차. Walker의 실제적

특히 교육과정 개발의 출발점이 교육과정 개발을 위한 교육자의 신 념체계나 집단 구성원들의 신념・태도・아이디어・이상・희망 등으로 교육과정 계획에 있어 서 획득해야

ü 융합인재교육 교육과정 재구성 T/F 팀 조직 ü STEAM 관련 교과목 20%이내 교육과정 재구성 ü 융합인재 교육관련 창의 체험 프로그램 선정. ü

탄력적 교육과정 속 교과 융합 프로그램 개발 STEAM 교육을 위한 MAKER SPACE 활용.. 프로젝트 공동연구(전문적학습공동체) 활성화

융합인재-맞춤형 교육과정 재구조화를 통한 최적(最適) 융합형 수업모델 개발 및

STEAM 학습능력 연구 STEAM 교육과정 편성 운영 STEAM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 STEAM 교육을

국가직무능력표준에 기초한 교육훈련과정 개발 절차 모형을 비교 및 분석 한 결과를 바탕으로 국가직무능력표준(KSS)에 따른 교육훈련과정 개발 모형 을 제시하면

학습에 대한 흥미 자신감, 지적 만족감, 성취감 등을 느껴 학습에 대한 느끼고 성공의 경험을 동기유발, 욕구, 열정, 몰입의 의지가 생기고 개인적 의미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