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마지막으로 연계 교육과정 운영과 관련하여 연계 교육과정 운영 방법, 연 계 교육을 위한 재정 투자, 시설・설비 및 실험・실습 기자재 활용 방안, 인 적 자원의 교류 방안, 연계 교육과정 운영에서 요구되는 요소 등에 대해 조

사하였다.

< 표 Ⅲ- 23> 연계 교육과정 운영 방법

백분율

별도반을 위한 교육과정을 개발하여 운영 38 12.0

별도반 편성 없이 운영 279 88.0

317 100.0

* mis sin g v alue=12

실업계 고등학교 교사들에게 연계 교육과정 운영 방법으로서 별도반 편성에 대해 조사한 결과 별도반 편성 없이 운영 에 88.0%가 응답했고, 별도반을 위 한 교육과정을 개발하여 운영 하겠다고 응답한 교사들은 12.0%에 불과했다.

< 표 Ⅲ- 23 - 1> 별도반을 편성하지 않은 이유

백분율

협약 인원이 별도반 편성에 부족하기 때문에 52 19.0

별도반 학생들을 위한 교육과정 개발이 현실적으로

어렵기 때문에 133 48.5

별도반 편성시 이원화된 교육과정으로 수업 부담이

크기 때문에 78 28.5

개발된 교육과정에 따른 교재 및 교수・학습 자료

개발이 어렵기 때문에 11 4.0

274 100.0

별도반을 편성하지 않고 운영하겠다는 교사들에 대해 그 이유를 물은 결과, 별도반 학생들을 위한 교육과정 개발이 현실적으로 어렵기 때문에 가 48.5%로 가장 많았으며, 별도반 편성시 이원화된 교육과정으로 수업 부담이 크기 때 문에 가 28.5%로 그 다음을 차지하고 있었다. 또 협약 인원이 별도반 편성

에 부족하기 때문 으로 19.0%의 교사들이 응답을 보이고 있었다.

결국 실업계 고등학교 교사들의 경우, 별도반 학생들을 위한 교육과정 개 발, 이원화된 교육과정에 따른 수업, 교재 및 교수・학습 자료 개발에 대해 많은 부담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부분의 실업계 고등학교 교사 들의 경우, 기존에 수행하고 있는 업무를 그대로 수행하면서 연계교육에 관 련된 다양한 역할들을 수행하고 있기 때문에 연계교육과 관련된 실제적인 활동에 제약을 받는 것으로 풀이된다. 이러한 현실적인 문제점과 더불어 교 육과정 개발과 관련된 활동에서 요구되는 능력들에 대해 자신감이 결여되어 있는 경우도 고려할 필요가 있다.

그리고 실제로 현장에서 연계교육 실무를 담당하고 있는 교사들의 대부분 이 기존의 업무를 면해 주기를 원하고 있었다. 따라서 연계교육 운영에 투 입되는 인력에 대해서는 별도의 조직을 구성하여, 연계교육만을 전담 운영 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들의 교육과정 개발 및 운영 능력 신장을 위 한 연수 프로그램이 동시에 투입되어야 한다는 결론이 되풀이되어 제기될 수밖에 없다.

< 표 Ⅲ- 24> 연계교육을 운영하기 위해 재정 투자가 필요한 영역

백분율

교육과정 개발 127 13.1

교재 및 교수・학습 자료 개발 235 24.2

교원 교류 및 연수 지원 149 15.3

시설 및 기자재 확보 172 17.7

실험・실습 지원 132 13.6

학생 교류 활동비 지원 108 11.1

공동의 행사 지원 23 2.4

연계교육 홍보 26 2.6

972 100.0

연계교육 운영을 위해 우선 재정 투입이 이루어져야 하는 영역들에 대해

조사한 결과, 교재 및 교수・학습 자료 개발 에 대해 24.2%가 응답해 가장 높은 반응을 보였으며, 시설 및 기자재 확보 에 대해 17.7%가 반응해서 그 다음을 차지하고 있었다. 교원 교류 및 연수 지원 에 대해서도 15.3%로 높 게 반응했다. 그 밖에 실험・실습 지원 13.6% , 교육과정 개발 13.1% , 학 생 교류 활동비 11.1% , 연계교육 홍보 2.6% , 공동의 행사 지원 2.4% 등의 순이었다.

조사 결과를 분석해 보면 실업계 고등학교 교사들은 연계교육과 관련하여 가장 먼저 선행되어야 하는 교육과정 개발 영역을 다섯 번째로 고려하고 있 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시설 및 기자재 확보나 실험・실습 지원과 같은 하드 웨어(Hardw ar e) 측면이 오히려 강조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교 육과정 개발과 교재 및 교수・학습 자료 개발을 동일하게 바라보지 않고 개 별적인 활동으로 인식하고 있는 경향도 있음을 알 수 있다.

< 표 Ⅲ- 25> 시설・설비 및 실험・실습 기자재 공동 활용 방법

백분율

상호 협약에 의해 필요한 부분을 학기 중에 공동 활용 102 33.8

거리와 이용 시간 제한으로 방학 기간에만 공동 활용 63 20.9 거리와 이용 시간 제한으로 전문대학의 시설 및 기자

재만 이용 46 15.2

공동 활용의 필요성이 없기 때문에 연계교육 프로그

램을 각자 독립적으로 운영 91 30.1

302 100.0

* mis sin g v alue=27

연계 교육과정 운영에 필요한 시설・설비 및 실험・실습 기자재 공동 활 용 방안에 대해 조사한 결과는 위의 < 표 Ⅲ- 25> 와 같다. 상호 협약에 의해 필요한 부분을 학기 중에 공동 활용 하거나 할 계획이라고 응답한 비율이 33.8%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공동 활용의 필요성이 없기 때문에 연계교

육 프로그램을 각자 독립적으로 운영 한다는 응답이 30.1%로 그 다음을 차 지하고 있었다.

그리고 거리와 이용 시간 제한으로 방학 기간에만 공동 활용 한다고 응답 한 학교가 20.9%이었으며, 거리와 이용 시간 제한으로 전문대학의 시설 및 기재만 이용 한다고 응답한 교사들이 15.2%이었다. 따라서 시설・설비 및 실 험・실습 기자재를 공동으로 활용하거나 활용할 계획을 가지고 있는 학교는 54.7%에 불과하고, 나머지 45.3%는 공동 활용 계획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 다. 거리와 시간의 제한으로 방학 기간에만 공동 활용 하는 경우에도 현장 면담 결과, 대부분 전문대학의 시설 및 기자재가 투입되고 있는 실정이었다.

따라서 시설・설비 및 실험・실습 공동 활용 계획을 실제적으로 가지고 있는 경우는 33.8%에 불과한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문제점이 있음에도 불 구하고 현장에서는 다양한 해결 방안이 마련되고 있으며, 그 일환으로 소규 모 공동 실습장 개설, 시설 및 기자재에 대한 상호 중복 투자 배제 등의 협 약을 맺어 추진하고 있는 학교들도 상당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표 Ⅲ- 26> 연계 교육과정 운영을 위한 인적 자원 교류 방법

백분율

연계 대상 학생들을 위한 방학 중 특별 프로그램

운영을 통한 교류 103 37.7

전문대학 교수들이 학기 중에 실업계 고등학교에서 특강 115 42.1

실업계 교사들을 전문대학의 겸임 교수로 활용 12 4.4

연계 교육과정 개발에 따른 새로운 전공 영역에 대한

교원 상호 교류 43 15.8

273 100.0

* mis sin g v alue=56

연계교육 운영을 위해 가장 중요한 요소가 인적 자원의 공동 활용 방안이 다. 인적 자원의 교류에 대해 조사한 결과, 전문대학 교수들이 학기 중에 실업계 고등학교에서 특강 하는 경우가 42.1%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연

계 대상 학생들을 위한 방학중 특별 프로그램 운영을 통한 교사간의 교류 가 37.7%로 그 다음을 차지하고 있었다. 이러한 실제적인 교육과정 운영상 의 교류 활동은 연계 교육과정 개발에 따른 새로운 전공 영역에 대한 교원 상호 교류 (15.8% )와 실업계 교사들을 전문대학의 겸임 교수로 활용 (4.4% ) 하는 전문대학도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현재로서는 학교급별 인적 자원을 다양한 형태로 교류하고 있으나 학교가 소유하고 있는 인적 자원을 교원에 한정시키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 따라 서 각급 학교가 보유하고 있는 지역사회 인사, 산업체 인사, 직업훈련 전문 가 등에 대한 인적 자원에 대한 정보 교환 및 활용도 여기에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현재는 전문대학 교수 중심으로 교류 활동이 이루어지고 있는 경향이 있으나 상호 교류할 수 있는 다양한 방법을 강구하는 것이 바 람직할 것으로 보인다.

< 표 Ⅲ- 27> 연계 교육과정 운영시 요구되는 각 항목들의 필요성 정도

빈 도 표준편차

전문대학 및 실업계 고교 교원들의 적극적인 참여 321 4.17 0.72 실업계 고교 교원의 인사이동과 무관하게 정책유지 321 3.88 0.79 교육과정 변화에 따른 관련 전공 교사 충원 321 3.76 0.81

조직간 명확한 역할 분담과 이행 321 3.91 0.73

실업계 고교 학생들의 기초 수학 능력 증진 321 4.19 0.76 실업계 고교의 연계 대상 학생들을 위한 별도반 운영 321 3.36 0.96 실업계 고교 별도반 편성으로 인한 수업부담 경감 321 3.72 0.99 전문대학과 실업계 고교의 교원간의 원활한 교류 321 3.93 0.76 연계 대상 학생들을 위한 대학의 별도반 편성 321 3.51 0.98 실업계 고교 교원의 연계교육에 대한 충분한 이해 321 4.03 0.72

연계교육을 위한 행・재정적인 지원 321 4.50 0.76

요구되는 시설 및 기자재 확보 321 4.32 0.81

* mis sin g v alue=8

마지막으로 연계 교육과정 운영에서 요구되는 각 항목들의 필요성 정 도를 조사한 결과, 실업계 고등학교 교사들의 경우, 연계교육을 위한 행・재정적인 지원 에 대해 가장 높은 4.50의 반응을 보였고, 실업계 고 등학교의 연계 대상 학생들을 위한 별도반 구성 에 대해서는 가장 낮은 3 .36의 반응을 보였다.

전반적으로 제시된 각 항목들에 대해 매우 높은 필요성 정도를 느끼고 있 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시설 및 기자재 확보와 같은 하드웨어 중심의 지원 에 높은 반응을 보였다. 높은 반응을 보이고 있는 항목들 중에서 전문대학 및 실업계 교원의 적극적인 참여 , 실업계 고등학교 교원의 연계교육에 대 한 충분한 이해 , 대학과 실업계 고등학교 교원간의 원활한 교류 등과 같은 상호 이해에 대한 요구가 높게 나타났다.

아울러 실업계 고등학교 학생들의 기초 수학 능력 증진 , 교육과정 변화 에 따른 관련 전공 교사 충원 , 실업계 고등학교 교원의 인사 이동과 무관 하게 정책 유지 등에 대한 현실적인 문제점도 제시하고 있다. 그러나 연계

아울러 실업계 고등학교 학생들의 기초 수학 능력 증진 , 교육과정 변화 에 따른 관련 전공 교사 충원 , 실업계 고등학교 교원의 인사 이동과 무관 하게 정책 유지 등에 대한 현실적인 문제점도 제시하고 있다. 그러나 연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