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연계교육 운영 체제와 관련해서는 연계교육 운영조직, 정책결정 방법, 재 정확보 방안 등에 관해서 조사하였다.

< 표 Ⅲ- 37> 연계교육 운영 조직의 형태

백분율

한 개의 처에서 총괄하고 역할에 따른 하위 조직을

두고 운영 24 16.2

몇 개의 처에서 공동 총괄하고 역할에 따른 하위

조직을 두고 운영 1 .7

한 개의 실에서 총괄하고 역할에 따른 하위 조직을

두고 운영 6 4.1

한 개의 처에서 총괄하고 각 학과 단위별로 역할에

따른 하위 조직을 두고 운영 53 35.8

한 개의 처에서 총괄하고 역할에 따른 하위 조직을 두고 있으며, 다른 처에서는 운영에 필요한 부분을 지원하는 형태로 운영

64 43.2

148 100.0

* mis sin g v alue=1

먼저 연계교육 운영 조직의 형태에 대해 조사한 결과, 한 개의 처에서 총 괄하고 기능과 역할에 따른 하위 조직을 두고 있으며, 다른 처에서 운영에 필요한 부분을 지원하는 형태로 운영 한다고 응답한 경우가 43.2%로 가장 많았으며, 한 개의 처에서 총괄하고 각 학과 단위별로 역할에 따른 하위 조 직을 두고 운영 한다고 응답한 경우가 35.8%로 그 다음을 차지하고 있었다.

또 한 개의 처에서 총괄하고 역할에 따른 하위 조직을 두고 운영 하는 경우 가 16.2%로 나타났다.

결과적으로 연계교육을 운영하기 위한 조직 체계는 주로 세 가지 형태로 운영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첫째는 주관하는 부서를 따로 두고 역할에 따 른 하위 조직을 두어 운영하면서 전문대학이 가지고 있는 고유한 역할을 수 행하는 부서로부터 필요한 협조를 받는 형태이다. 이 형태는 대학 조직이 가지고 있는 고유한 업무 분장을 깨뜨리지 않고 연계교육에 적합한 부서를 책임 부서로 하며, 그 책임 부서의 역할에 따른 하위 부서를 두어 운영됨으 로써 새로운 조직 구성으로 인한 혼란을 방지할 수 있다는 것에 장점을 가

지고 있다. 그러나 다른 부서의 협조를 얻는 것에는 번거로움이 예상되며, 다 른 부서가 비협조적일 때, 정책 집행에 혼란을 초래할 수 있을지도 모른다.

두 번째는 한 개의 부서에서 총괄하고 역할에 따른 하위 조직을 두어 운 영하는 형태로 의사결정과 집행이 매우 신속한 특징을 가지고 있지만 한 조 직 내에서 중복된 기능을 가지고 운영됨으로써 인력 손실이 우려된다. 세 번째 형태의 운영은 실제적으로 학과가 연계교육을 추진한다는 점에서, 한 개의 부서가 연계교육을 총괄하고 학과별로 역할과 기능에 따라 학과별 하 위 조직을 두어 운영한다는 기본 생각은 실제적인 효과를 거둘 수 있을 것 으로 보인다. 그러나 학과 단위별로 의사결정이 이루어지면, 연계교육에 대 한 전체의 의사결정을 이끌어 내기가 어렵고, 한 조직 내에 있지 않기 때문 에 학과별로 이해 관계가 복잡하게 얽히게 될 경우에는 이에 대한 해결 방 안을 찾기가 힘든 경향이 있다. 또 학과 단위별로 조직을 구성하여 운영하 게 되면 학과 교수들이 그 성원이므로 기본 업무 이외의 부가된 업무를 수 행하게 됨으로 인해서 구성원들의 불만 요인이 되기 쉽고, 실제적인 효과를 거두기가 어려운 점이 있다.

< 표 Ⅲ- 38> 연계교육 총괄 부서

총괄 부서 백분율

산학협력처 3 13.6

교 무 처 8 36.4

연계교육운영팀 2 9.1

교무지원팀 1 4.6

학사지원팀 2 9.1

기 획 실 3 13.5

학사운영처 1 4.6

교 학 처 2 9.1

22 100.0

이와 관련해서 각 전문대학에서 연계교육을 총괄하고 있는 부서를 살펴보

면, 교무처가 36.4%로 가장 많았으며, 산학협력처가 13.6%로 그 다음을 차 지하고 있었다. 또 기획실에서 담당하고 있는 경우가 13.6%이었으며, 학사지 원팀에서 맡고 있는 경우도 9.1%이었고, 연계교육운영팀을 별도로 운영하고 있는 전문대학도 있었다. 그러나 동일한 기능을 하고 있는 부서가 그 명칭만 바뀐 경우가 많기 때문에 교무처, 교학처 및 학사운영처 등은 동일한 업무를 수행하고 있다고 보면, 연계교육을 총괄하고 있는 부서는 교무처가 전체의 50.1%에 해당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문대학의 경우 학사와 관련된 업무를 담당하고 있는 부서가 지원을 하 는 형태로 연계교육을 총괄하고 있는 반면, 교육과정 실행 기능과 관련된 업무를 전담할 기능이 세분화되어 있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 전문대학 교무 처의 경우, 교육과정 개발, 승인, 운영에 대한 지원과 조정 기능을 하고 있 는 것에 비해, 실업계 고등학교는 실과에서 연계교육을 총괄하면서 실무적 인 교육과정 개발, 운영에 대한 전반을 수행할 수 있지만 전체 학교의 교육 과정에 관련된 조정 기능이 상대적으로 약한 것이 현실이다. 따라서 실업계 고등학교는 이러한 조정 기능을 할 수 있는 협의 기구를 발족해서 운영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전문대학의 경우 교무처 안에 교육과정과 관련된 직접적 인 업무를 실행할 수 있는 조직을 별도로 구성하는 것이 필요할 것으로 판 단된다.

< 표 Ⅲ- 39> 연계교육을 위한 정책 결정 방법

백분율

전문대학과 실업계 고등학교간의 연계운영위원회를 통해 16 72.7 전문대학 담당자와 고등학교 담당자들과 의견 조율을 통해 2 9.1 연계학과 실무자 의사결정 후 학교급별 총괄 부서에서 결정 3 13.6 전문대학, 실업계 고등학교, 산업체간의 협의체를 통해 1 4.6

22 100.0

연계교육을 위한 정책 결정 방법에 대해, 대부분의 전문대학이 전문대학

과 실업계 고등학교간의 연계운영위원회를 통해 정책 의사결정을 한다고 응답한 경우가 전체의 72.7%를 차지하고 있었으며, 연계운영위원회를 두지 않고 연계 대상 학과 실무자들간의 의사결정 후에 학교급별 총괄 부서에서 결정 한다고 응답한 경우가 13.6%이었다.

이러한 두 가지 형태의 의사결정 과정은 각기 장단점을 가지고 있기 때문 에 연계 협약을 체결한 학교들의 특성에 맞게 적절하게 구성하는 것이 바람 직하다. 그러나 실제로 문제가 되고 있는 경우는 전문대학의 한 개 학교가 여러 실업계 고등학교와 연계교육을 실행하고 있는 경우의 연계 협의체의 의사결정 구조를 어떻게 가져갈 것인지에 대해 좀더 고민할 필요가 있다.

연계교육 협의체 구성 형태는 의사결정 과정뿐만 아니라 연계교육의 목적, 연계 교육과정, 연계 교육과정 운영 방법 등을 함께 고려하는 것이 바람직 하다. 연계교육의 목적과 운영 방법에 적합하지 않은 협의체는 연계교육 활 성화의 제약 조건이 될 수도 있기 때문에 신중을 기할 필요가 있다.

< 표 Ⅲ- 40> 실업계 고등학교와의 연계교육 역할 분담 방법

백분율

교육과정상의 중복된 교육 내용을 제거한 형태로 역

할 분담 25 16.8

협의에 의해 선수 이수 과목을 선정하여 운영 28 18.8 협의에 의해 필요한 교육 영역을 도출하여 특별 프

로그램 형태로 운영 66 44.3

연계에 적합한 학교 및 학과를 선정하고, 기존의 교

육과정을 그대로 유지하는 형태로 운영 30 20.1

149 100.0

실업계 고등학교와의 연계교육 역할 분담에 대해 조사한 결과는 위의 <

표 Ⅲ- 40> 와 같은데, 협의에 의해 필요한 교육 영역을 도출하여 특별 프로 그램 형태로 운영 한다고 응답한 교수가 전체의 44.3%로 가장 많았고, 연계

에 적합한 학과를 선정하여 기존의 교육과정을 그대로 유지하는 형태로 운 영 한다고 응답한 경우가 20.1% , 협의에 의해 선수 이수 과목을 선정하여 운영 한다고 응답한 경우가 18.8% , 마지막으로 교육과정상의 중복된 교육내 용을 제거한 형태로 역할 분담 한다고 응답한 경우가 16.8%로 나타났다.

전문대학의 경우, 협의에 의해 교육내용을 도출하여 방학이나 방과후에 특별 프로그램 형태로 운영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실업계 고등학교의 경우는 기존의 교육과정을 그대로 유지하는 형태로 운영하고 있다는 의견이 지배적인 것으로 나타나 연계교육 운영의 역할 분담이 명확하게 확정되지 않은 상태로 운영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활동에 대한 인식의 차이도 큰 것으로 보인다. 특히, 연계교육과 관련한 활동이 전문대학 중심으로 이루 어지고 있으며, 교육과정 상에 연계교육을 정규 교육과정의 일부로서 적용 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므로, 실업계 고등학교 교사들의 특별 프로그램에 대한 참여를 유도하는 방안을 강구해야 할 것이다.

< 표 Ⅲ- 41> 산업체와의 연계교육 운영 형태

백분율

산업체를 참여시키지 않고 운영 21 14.3

필요한 영역에 대한 산업체 인사 활용 61 41.5

필요한 영역에 대한 시설・설비를 활용 7 4.8

취업률 제고를 위해 교육과정 개발 및 운영 전반에 활용 58 39.5

147 100.0

* mis sin g v alue=2

연계교육을 운영하는 과정에 산업체와 연계하고 있는지에 대해 조사한 결 과, 필요한 영역에 대한 산업체 인사를 활용하고 있다 고 반응한 경우가 41.5%로 가장 많았으며, 취업률 제고를 위해 교육과정 개발 및 운영 전반에 활용하고 있다 고 응답한 경우도 39.5%를 차지하고 있었다. 그 밖에 산업체 와 연계하는 방법에 있어서 시설・설비를 활용한다고 응답한 경우가 4.8%

를 차지하고 있었으나 산업체를 참여시키지 않고 연계교육을 실시하고 있는 경우도 14.3%를 차지하고 있었다. 따라서 연계교육을 운영하는 과정에서 대 부분의 응답자들이 산업체와 연계된 형태로 운영하고 있다는 반응을 보이고

를 차지하고 있었으나 산업체를 참여시키지 않고 연계교육을 실시하고 있는 경우도 14.3%를 차지하고 있었다. 따라서 연계교육을 운영하는 과정에서 대 부분의 응답자들이 산업체와 연계된 형태로 운영하고 있다는 반응을 보이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