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연계 교육과정 개발과 관련해서는 연계 교육과정 개발 방안, 교재 및 교 수・학습 자료 개발 계획, 연계 교육과정 개발하는 과정에서 요구되는 요소 등에 대해 조사하였다.

< 표 Ⅲ- 17> 연계교육에 대한 기존 교육과정의 적합성 여부

백분율

매우 적합하다. 23 7.0

적합하다. 224 68.3

부적합하다. 69 21.0

매우 부적합하다. 12 3.7

328 100.0

* mis sin g v alue=1

먼저 기존의 실업계 고등학교가 가지고 있는 교육과정이 연계교육에 대해 적합한가를 조사한 결과, 적합하다 라고 응답한 교사들이 68.3% 이 었고, 부적합하다 라고 응답한 교사들이 21.0% 를 차지하고 있었다. 대체 로 실업계 고등학교 교사들의 경우 기존의 교육과정이 연계교육에 적합 한 것으로 인식하고 있었으며, 매우 적합하다 (7.0% )와 매우 부적합하 다 (3.7% )에 대한 극단적인 반응은 전체의 10.7% 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 났다.

< 표 Ⅲ- 18> 연계교육 운영을 위한 교육과정 변화 형태

백분율

기존의 교육과정을 그대로 유지 69 21.0

연계교육에 적합한 새로운 교육과정 개발 75 22.9

본교의 교육과정은 그대로 유지하고 전문대학의 일

부 교육과정 변경 69 21.0

전문대학의 교육과정에 맞추기 위해 본교의 교육과

정 일부 변경 18 5.5

기존의 교육과정은 그대로 유지하되 일부 교과목의

내용 변경 97 29.6

328 100.0

* mis sin g v alue=1

위에서 나타난 결과는 연계교육 운영을 위한 교육과정 개발 형태에 대해 조사한 결과, 다양한 방법으로 시도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기존의 교육과정은 그대로 유지하되 일부 교과목의 내용 변경 이 29.6%로 가장 높 게 반응했으며, 연계교육에 적합한 새로운 교육과정 개발 에 22.9%가 반응 했다. 또 기존의 교육과정을 그대로 유지 하는 것과 본교의 교육과정은 그 대로 유지하고 전문대학의 일부 교육과정 변경 에 대해 각각 21.0%가 반응 했다. 그 밖에 전문대학의 교육과정에 맞추기 위해 본교의 교육과정 일부 변경 에 대해서는 5.5%만이 응답했다.

결과적으로 실업계 고등학교 교사들의 경우, 기존의 교육과정을 그대로 유지한 형태에서 연계교육을 실시할 것을 희망하는 것으로 드러났다. 이러 한 현상은 두 가지 측면에서 그 원인을 찾아 볼 수 있는데, 첫째는 새로운 교육과정 개발에 따른 업무 부담이 원인이고, 두 번째는 직업교육의 전반과 연계교육의 목적에 대한 이해 부족에서 기인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연계 교육은 기본적으로 교육과정상에 역할 분담을 전제로 하고 있으며, 그에 따 라 적절하게 교육 내용 및 수준이 조절되어야 한다. 또한, 실업계 고등학교

교사들은 노동시장의 변화에 따라 직업교육이 기초 수학 능력과 결합되어야 만이 계속 교육 및 완성 교육으로 연결될 수 있다는 필연성을 인식하여 기 존의 실업계 고등학교 교육과정의 변화가 요구되고 있다는 것을 공감하여야 한다.

< 표 Ⅲ- 19> 연계교육 관련 교재 및 교수・학습 자료 개발 계획

백분율

전체적으로 개발할 계획이다. 16 5.0

대체로 재구성할 계획이다. 56 17.3

일부 개발하고, 일부는 재구성할 계획이다. 163 50.5

개발 또는 재구성할 계획이 없다. 88 27.2

323 100.0

* mis sin g v alue=5

연계교육 관련 교재 및 교수・학습 자료 개발 계획에 대해 조사한 결과는 위의 < 표 Ⅲ- 19> 와 같다. 반수 이상의 학교들은 일부 개발하고, 일부는 재 구성할 계획이다 (50.5% )라고 응답했으나 개발 또는 재구성할 계획이 없다 라고 응답한 학교가 27.2%를 차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전체 적으로 개발할 계획을 가지고 있는 학교가 5.0%를 차지하고 있었으며, 대체 로 재구성 계획을 가지고 있는 학교도 17.3%를 차지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교육과정을 개발하고, 그에 필요한 교재 및 교수・학습 자료 를 개발한다고 할 때, 교과서를 생각하는 경우가 있으나 연계교육에 필요한 교재 및 교수・학습 자료는 꼭 개발할 필요가 있는 교재 1~2권과 교수・학 습 활용에 적용할 자료를 만들어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무리한 교재 개발 계획은 기존에 적용되고 있는 교육과정 및 교과서의 장점을 사장시키 는 것으로, 결코 바람직하지 못하다. 그러나 개발 또는 재구성할 계획이 전 혀 없는 경우는 기존의 교육과정을 그대로 유지하려는 의미로 해석될 수 있 을 것으로 보인다.

< 표 Ⅲ- 20> 현직 교사들의 교재 및 교수・학습 자료 개발 경험

백분율

매우 충분하다. 6 1.8

충분하다. 111 33.7

부족하다. 196 59.6

매우 부족하다. 16 4.9

329 100.0

교재 및 교수・학습 자료 개발과 관련된 두 번째 질문은 교사들의 개발 경험에 관련된 것인데, 교재 및 교수・학습 자료 개발 경험이 부족하다 라 고 응답한 교사가 59.6%인 것에 비해 충분하다 라고 응답한 교사는 33.6%

에 불과했다. 따라서 전체적으로 교사들의 교재 및 교수・학습 자료 개발에 대한 경험이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 표 Ⅲ- 21> 연계교육에 활용할 교재 개발을 위한 인적 구성 방법

백분율

연계 전문대학 교수로만 구성 13 2.9

본교 교사로만 구성 9 2.1

본교 교사와 전문대학의 담당 교수로 구성 209 48.2

교사, 연계 전문대학 담당 교수 및 교재 관련 산업체 인사 114 26.3

본교의 교사와 관련 산업체 인사로 구성 9 2.1

전문대학 교수와 관련 산업체 인사로 구성 2 0.5

전문대학과 연계된 실업계 고등학교 교사들로 구성 78 17.9

434 100.0

세 번째는 교재 개발진의 구성 방법에 대해서 복수로 응답하라는 질문을 한 결과, 본교 교사와 전문대학의 담당 교수로 구성 할 계획이라고 응답한 교사가 48.2%로 가장 많았으며, 그 다음이 교사, 연계 전문대학 담당 교수

및 교재 관련 산업체 인사 로 구성한다고 응답한 교사가 26.3%이었다. 그러 나 전문대학과 연계된 실업계 고등학교 교사들로 구성 한다고 응답한 교사 도 17.9%를 차지하고 있어, 교재 개발의 목적과 방법에 대한 연계 학교간 합의가 먼저 도출될 필요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 밖에 연계 전문대학 교수로만 구성 (2.9%), 본교 교사로만 구성 (2.1% ), 본교의 교사와 관련 산업체 인사 (2.1% ), 전문대학 교수와 관련 산업체 인 사로 구성 (0.5% ) 등에 대한 응답도 있었다. 일반적으로 실업계 고등학교 교 사들은 교재 및 교수・학습 자료 개발에 대해 자신이 직접 참여하거나 참여 를 원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자신이 독자적으로 교재 및 교수・학습 자료를 개발하거나 전문대학과 연계된 여러 실업계 고등학교 교사가 연합하 여 독자적으로 개발하고자 하는 경향이 강하게 나타났다.

그리고 직업교육 측면에서 항상 강조되고 있는 산업체 인사의 활용에 대 해서는 크게 인식하고 있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경향은 잘못하면 교재 개발이 산업체와 괴리된 강단 중심으로 빠질 위험도 있으므로 집필 의 뢰뿐만 아니라 개발된 교재 및 교수・학습 자료에 대한 타당성 검토 등 다 양하게 활용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 표 Ⅲ- 22> 연계 교육과정 개발시 요구되는 각 항목들의 필요성 정도

표준편차

전공영역에 따른 산업사회의 변화된 지식・기능 325 4.30 0.71 노동시장에서 요구되는 인력 유형 및 수요 325 3.89 0.87

교육과정 개발 전략 및 방법 325 3.91 0.71

교재개발 능력 325 3.86 0.76

실업계 고등학교 교육과정의 탄력적 변화 325 4.10 0.78

* mis sin g v alue=4

위의 < 표 Ⅲ- 22> 에서는 연계 교육과정 개발 과정에서 교사들에게 요구 되는 각 항목들에 대한 필요성 정도를 물어 보았다. 그 결과 대부분의 교

사들이 제시된 각 항목들에 매우 높은 필요성을 느끼고 있었는데, 특히 전공 영역에 대한 산업사회의 변화된 지식 및 기능 에 대해 4.30으로 가 장 높게 반응했으며, 실업계 고등학교 교육과정의 탄력적 변화 에 대한 필요성도 4.10으로 그 다음을 차지하고 있었다. 그 밖에 교육과정 개발 전략 및 방법 에 대해 3.91, 노동시장에서 요구되는 인력 유형 및 수요 에 대해 3.89, 교재 개발 능력 에 대해 3.86 등의 순으로 필요성을 느끼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실업계 고등학교 교사들은 교육과정을 개발할 때, 산업체에서 요구하고 있는 지식 및 기능과 노동시장에서 요구하고 있는 인력 유형에 대한 정보의 부재를 가장 어렵고 심각하게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위해서 는 전문교과 교사뿐만 아니라 학생들의 진로지도를 위해서도 산업 현장 및 노동시장에 대한 다양한 정보를 수집, 분석, 제공해 주는 네트- 웤(N etw ork ) 구성이 시급하며, 전문교과 교사들이 산업체와 노동시장에 대해 쉽게 접근 할 수 있는 다양한 채널(Channel) 마련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그리고 현재 실업계 고등학교에서 적용되고 있는 교육과정 편성・운영 지침의 비탄력성에 대해 많은 교사들이 불만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현재 제 6 차 교육과정도 학교 현장에서 탄력적으로 운영할 수 있게 개방해 놓은 상태이다.

결과적으로 그것을 활용할 수 있는 능력의 부재가 문제점으로 보이므로 교육과정 편성・운영과 관련된 다양한 연수 프로그램을 마련하여 실제적인 성과를 거둘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제는 과거의 교육과정 개정에 따른 교육과정 편 성・운영 지침을 전달하는 형식의 교사 연수에서 벗어나 활동 중심의 교육과정 편 성・운영 연수가 마련될 필요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