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실업계 고등학교 측면에서 연계교육의 운영 방향을 살펴보기 위해서 연계 교육 운영 목적, 연계 대상 학교 및 학과 선정 기준, 대상 학교 수, 학생 선 정 기준 등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 표 Ⅲ- 4> 실업계 고등학교 연계교육 운영의 목적

백분율

교육과정 개편을 통한 본교의 경쟁력 강화 91 27.7

우수 신입생 확보 차원 23 7.0

신입생 정원 확보 차원 19 5.8

학생들의 진학에 대한 요구 증가로 인해 131 39.8

전문대학의 적극적인 요구 65 19.8

329 100.0

먼저 실업계 고등학교 연계교육 운영의 목적에 대해 조사한 결과, 학생들 의 진학에 대한 요구 증가로 인해 라고 응답한 교사가 39.8%였으며, 교육과 정 개편을 통한 본교의 경쟁력 강화 라고 27.7%가 응답해서 그 다음을 차지 하고 있었다. 우수 신입생 확보 차원 에서 연계교육을 고려하고 있는 경우

는 7.0%로 나타났으며, 신입생 정원 확보 차원 이라고 응답한 교사들도 5.8%를 차지하고 있었다.

그러나 전문대학의 적극적인 요구 로 연계교육을 실시하고 있다는 학교가 19.8%를 차지하고 있어, 연계교육에 대해 실업계 고등학교의 자발적인 열의 와 관심이 결여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실업계 고등학교에서 현 재 추진되고 있는 연계교육은 연계교육 도입의 필요성이나 목적에 대한 인 식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 표 Ⅲ- 5> 연계교육 대상 학교 및 학과 선정의 기준

백분율

연계교육 활동을 원활히 수행할 수 있는 인접 전문대학 102 31.0

지명도가 높은 인접 전문대학 14 4.3

지명도가 높은 모든 전문대학 2 0.6

연계를 희망하는 모든 전문대학 23 7.0

연계교육에 적합한 교육과정을 가진 인접 전문대학 155 47.1 연계교육에 적합한 교육과정을 가진 모든 전문대학 33 10.0

329 100.0

위의 < 표 Ⅲ- 5> 에 제시된 바와 같이 실업계 고등학교가 연계교육 대상 학교 및 학과를 선정할 때 주로 고려하고 있는 요소들을 살펴보면, 연계 교육에 적합한 교육과정을 가진 인접 전문대학 을 선호하는 응답자가 전 체의 47.1%를 차지하고 있어, 교육과정의 적합성과 근거리 전문대학 두 가지를 모두 고려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계교육 활동을 원활히 수 행하기 위한 인접 전문대학 도 31.0%가 응답한 것으로 나타나 인접 전문 대학과의 연계교육 실시를 우선 고려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 밖의 연계교육 대상 학교 및 학과의 선정 기준을 보면, 지명도가 높은 전 문대학 (4.3%)이나 연계를 희망하는 모든 전문대학 (7.0%)에 대한 응답도 11.3%

를 차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 연계교육을 통해 달성하고자 하는 목적이 학교 마다 매우 다름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차이는 학교의 지역적 환경과 많은 관련

을 갖고 있는데, 우수한 전문대학이 밀집한 수도권의 경우에는 전문대학의 연계 교육 추진 의지보다는 고등학교 차원에서의 추진 의지가 강한 것으로 나타났으 나 수도권을 제외한 경우에는 그 양상이 매우 다양하게 나타나고 있었다.

< 표 Ⅲ- 6> 연계교육 대상 전문대학 선정시 거리 제한의 유무

백분율

두고 있다. 169 51.7

두고 있지 않다. 158 48.3

327 100.0

* mis sin g v alue=2

연계교육 대상 전문대학 선정 시 거리에 제한을 두고 있는가에 대한 질문 은 앞의 < 표 Ⅲ- 5> 에서 살펴본 선정 기준의 하나인데, 이를 좀더 세부적으 로 살펴보기 위해서 제시하였다. 연계교육 대상 전문대학 선정 시에 거리 제한을 두고 있다고 응답한 교사가 169명으로 51.7%를 차지하고 있었으며, 두고 있지 않다고 응답한 교사는 158명으로 48.3%로 차지하고 있어 거리에 제한을 두고자 하는 의견이 약간 강한 것으로 나타났다.

< 표 Ⅲ- 6 - 1> 거리에 제한을 두고 있는 주된 이유

백분율

학생 자원의 활발한 교류 활동을 위해 68 40.2

교원의 활발한 교류 활동을 위해 5 3.0

정보 자원의 활발한 교류를 위해 9 5.3

교육과정 개발 및 운영상의 원활한 의사결정을 위해 47 27.8 인접한 지역 산업체와 공동 교류 활동을 위해 40 23.7

169 100.0

거리에 제한을 두고 있는 주요한 이유는 학생 자원의 활발한 교류 활동 을 위해 라고 응답한 교사가 전체의 40.2%를 차지하고 있었고, 교육과정 개발

및 교육과정 운영상의 원활한 의사결정을 위해 라고 응답한 교사가 27.8%로, 그 다음을 차지하고 있었다. 또한, 인접한 지역 산업체와 공동 교류 활동을 위해 라고 응답한 교사가 23.7%를 차지하고 있어 학생 자원, 교육과정 개발 및 운영, 산학협동 등에 연계교육의 핵심 기능을 부여하고 있는 것으로 나 타났다.

< 표 Ⅲ- 6 - 2> 거리에 제한을 두고 있지 않은 주된 이유

백분율

연계 학과의 특성상 거리에 제한이 필요 없음 116 75.8

거리 문제를 해결할 기술적 장치를 구비 2 1.3

학교급별 역할 분담이 명확하기 때문 7 4.6

정기적인 특별 프로그램을 마련했기 때문 13 8.5

연계 가능한 인접한 학교가 없기 때문 15 9.8

153 100.0

* mis sin g v alue=5

한편, 거리에 제한을 두고 있지 않은 이유에 대해서는 < 표 Ⅲ- 6- 2> 에 나 타난 것처럼 연계된 학과의 특성상 거리에 제한이 필요 없음 에 응답한 교 사가 전체의 75.8%를 차지하고 있어, 학과의 특성에 따라 거리에 제한을 둘 필요가 없다고 인식하고 있는 교사들이 많은 것으로 나타나 연계교육에 대 한 개념적 이해가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오히려 많은 반응을 보일 것이 라고 예상한 거리 문제를 해결할 기술적 장치 구비 (1.3% ), 학교급별 역할 분담이 명확하기 때문 (4.6% ) 및 정기적인 특별 프로그램을 마련했기 때 문 (8.5% )에 대해서는 낮은 응답률을 보이고 있었으며, 연계 가능한 인접한 학교가 없기 때문 이라고 현실적인 이유를 제시한 교사도 9.8%에 불과 했다.

결과적으로 연계교육의 운영 목적이나 방향이 학교 현장에서는 잘못 이해 되어 적용되고 있으며, 수동적인 자세로 연계교육에 임하고 있는 것으로 나 타났다. 이러한 현상은 연계교육이 실제적으로 교육과정을 운영하는 현장 교사들 중심으로 운영된다기보다는 행정 단위에서 연계교육이 추진되어 왔

던 현실적인 한계점에서 기인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연계교육이 실제적으로 운영되기 위해서는 각 전공 과목을 담당하고 있는 교사들의 이 해와 열의를 이끌어 낼 수 있는 다양한 방안이 마련될 필요가 있다.

< 표 Ⅲ- 7> 연계교육 학생 선정의 주된 기준

백분율

자체 설정한 정원의 일정 비율 13 11.9

희망하는 학생들 중 성적순 39 35.4

희망하는 모든 학생 33 30.0

전문대학이 제시하는 선발 기준 25 22.7

110 100.0

다음으로 연계교육 학생 선정의 기준에 대해 살펴보았는데, 대부분의 학 교들이 희망하는 학생들 중 성적순 과 희망하는 모든 학생 에 대해 각각 35.4%와 30.0%가 응답하고 있어 연계교육 선발 기준은 단순한 것으로 나타 났으며, 전문대학이 제시하는 선발 기준 에 대해 22.7%가 응답하여 그 다음 을 차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이 선발 기준이 단순화되는 현 상은 연계교육에 지원하는 학생들의 수가 점점 줄어들고 있다는 것과 맥을 같이 하는 것으로 보인다. 이는 대부분의 실업계 고등학교 학생들의 경우, 어느 정도의 성적을 유지하고 있으면 자신이 원하는 대학에 들어갈 수 있는 여건이 갖추어져 있기 때문에 과거와 같이 연계교육에 대해 선호하지 않는 것으로 분석된다. 특히 연계교육을 실시하고 있는 지방의 학교들은 이러한 현상이 더욱 두드러진 것으로 면접 조사에서 나타났다.

그러나 수도권의 일부 대학은 그 사정이 지방의 학교와는 달라서 지명도 가 높은 전문대학의 경우, 우수한 학생들을 선발하거나 수준이 떨어지는 학 생들의 입학을 막기 위해서 연계교육을 실시하고 있는 학교도 있다. 그리고 이를 위해 전문대학이 원하는 자격 기준을 제시하여 연계교육 대상 학생을 선발하는 학교도 있는 것으로 나타나 상호 호혜적인 목적과 교육과정 연계

라는 기본 취지에서 벗어나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이는 연계교육에 있어서 전문대학의 입장만을 강조한 것으로 인식될 수 있으며, 실업계 고등학교가 적극적으로 연계교육에 참여하려는 의지를 반감시키는 원인이 될 수도 있다.

< 표 Ⅲ- 8> 연계교육 운영시 학생 측면에서 발생하고 있는 어려움

백분율

연계 대상 학생들의 중도 탈락 44 13.8

연계교육에 대한 학생들의 낮은 지원률 73 23.0

연계교육을 위한 특별 활동 참여율 저조 15 4.7

학생들의 연계교육에 대한 이해 부족 102 32.1

연계교육 학생들에게 전문대학이 제공하는 이익의 부족 84 26.4

318 100.0

* mis sin g v alue=11

이와 관련해서 위의 < 표 Ⅲ- 8> 에서 보는 바와 같이 실업계 고등학교에서 연계교육을 추진하면서 발생하고 있는 어려움을 살펴보면, 먼저 학생들의 연계교육에 대한 이해 부족 에 대해 32.1%가 응답해서 가장 높은 반응을 보 였는데, 이 경우 연계 대상 학생으로 선정되면 대학에 대한 선택권이 박탈 당한다는 우려에서 연계 지원자가 줄어들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 로 연계교육 학생들에게 전문대학이 제공하는 이익이 부족 하기 때문이라고 응답한 교사들이 26.4%를 차지하고 있었다.

지금까지 살펴본 두 가지 측면이 연계교육 운영에서 발생하고 있는 어려 움이라면, 연계교육에 대한 학생들의 낮은 지원률 (23.0), 연계 대상 학생들 의 중도 탈락 (13.8% ), 그리고 연계교육을 위한 특별 활동 참여율 저

지금까지 살펴본 두 가지 측면이 연계교육 운영에서 발생하고 있는 어려 움이라면, 연계교육에 대한 학생들의 낮은 지원률 (23.0), 연계 대상 학생들 의 중도 탈락 (13.8% ), 그리고 연계교육을 위한 특별 활동 참여율 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