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마. 학교에서 직업으로의 전이

<표 Ⅴ-15> 업무에 대한 자격증의 기여도

(단위 : 명, %)

변인 구분

전혀 그렇지

않다

그렇지

않다 보통이다 그렇다 매우

그렇다 무응답 전체

성별 남자

여자

60(16.2) 28(13.5)

78(21.1) 27(13.0)

80(21.6) 56(27.1)

118(31.9) 63(30.4)

33(8.9) 28(13.5)

1(0.3) 5(2.4)

370(64.1) 207(35.9) 전체 88(15.3) 105(18.2) 136(23.6) 181(31.4) 61(10.6) 6(1.0) 577(100.0)

χ²= 7.666

교육 기관

전문대 기능대 무응답

45(14.9) 37(15.1) 6(20.7)

59(19.5) 40(16.3) 6(20.7)

73(24.1) 60(24.5) 3(10.3)

91(30.0) 82(33.5) 8(27.6)

34(11.2) 21(8.6) 6(20.7)

1(0.3) 5(2.0)

-303(52.5) 245(42.5) 29(5.0) 전체 88(15.3) 105(18.2) 136(23.6) 181(31.4) 61(10.6) 6(1.0) 577(100.0)

χ²= 12.349***

전공 학과

인문사회 정보통신 IT외자연계 의약계열 예체능

12(14.3) 18(18.6) 45(15.5) 5(13.5)

8(9.1)

13(15.5) 17(17.5) 55(18.9) 4(10.8) 16(23.5)

20(14.7) 26(26.8) 69(23.7) 5(13.5) 16(23.5)

29(34.5) 31(32.0) 91(31.3) 15(40.5) 15(22.1)

9(10.7) 4(4.1) 29(10.0)

8(21.6) 11(16.2)

1(1.2) 1(1.0) 2(0.7)

-2(2.9)

84(14.6) 97(16.8) 291(50.4)

37(6.4) 68(11.8) 전체 88(15.3) 105(18.2) 136(23.6) 181(31.4) 61(10.6) 6(1.0) 577(100.0)

χ²= 22.485

* P<.05, **P<.01, *** P<.001

서 직장생활을 하는 경우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교육기관에 따른 차이는 χ²= 11.120**로 기능대 졸업생들이 민간기업에 취업한 비중이 더 높은 것 으로 분석되었다. (<표 Ⅴ-16>참조).

<표 Ⅴ-16> 기업 형태별 취업 현황

단위: 명(%)

변인 구분 민간기업 공공부문 계

성별 남자

여자

438(93.6) 233(87.9)

30(6.4) 32(12.1)

468(63.9) 265(36.1) χ²= 7.013**

교육기관

전문대 기능대 무응답

376(89.7) 205(94.0) 59(61.5)

43(10.3) 13(6.0) 37(38.5)

419(57.2) 218(29.7) 96(13.1) χ²= 11.120**

전체 640(87.3) 91(12.7) 733(100.0)

* P<.05, **P<.01, *** P<.001

현 직장을 선택한 이유를 묻는 질문에 성별, 교육기관별, 전공학과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갖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현 직장을 선택한 이 유에 있어서는 본인의 적성 및 흥미가 가장 높은 비율로 42.7%로 나타났으 며, 그 다음으로 급여수준 19.2%, 고용 안정성 14.2%로 나타났다(<표 Ⅴ-17>

참조).

<표 Ⅴ-17> 현 직장 선택 이유

단위: 명(%)

변인 구분 급여수준 고용안정성 본인의

적성과 흥미 기타 전체

성별 남자

여자

91(19.4) 42(15.8)

55(11.8) 41(15.5)

193(41.2) 107(40.4)

129(27.6) 75(28.3)

468(63.8) 265(36.2) 전체 133(18.1) 96(13.1) 300(40.9) 204(27.9) 733(100.0)

χ²= 38.576**

교육 기관

전문대 기능대 무응답

74(17.7) 56(19.9) 3(9.1)

61(14.6) 30(10.7) 5(15.2)

187(44.6) 102(36.3) 11(33.3)

97(23.1) 93(33.1) 14(42.2)

419(57.2) 281(38.3) 33(4.5) 전체 133(18.1) 96(13.1) 300(40.9) 204(27.9) 733(100.0)

χ²= 95.348***

전공 학과

인문사회 정보통신 IT외 자연계 의약계열 예체능

15(12.6) 18(13.0) 80(23.3) 10(24.4) 10(10.9)

17(14.3) 23(16.7) 47(13.7) 6(14.6)

3(3.3)

57(47.9) 57(41.3) 124(36.2)

11(26.8) 51(55.4)

30(25.2) 40(29.0) 92(26.8) 14(34.2) 28(30.4)

119(16.2) 138(18.8) 343(46.8) 41(5.6) 92(12.6) 전체 133(18.1) 96(13.1) 300(40.9) 204(27.9) 733(100.0)

χ²= 148.726***

* P<.05, **P<.01, *** P<.001

졸업생의 1주일 평균 근무시간은 46~50시간이 35.3%로 가장 높은 비율을 보였으며, 그 다음으로 45시간 이하가 29.7%였고, 1주일 평균근무시간이 61 시간 이상이라고 응답한 사람도 9.3%로 나타났다. 특히, χ²= 68.306*로 성 별에 따라 1주일 평균근무 시간에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는데, 남자는 1주일 에 52.0시간을 근무하고, 여자는 49.8시간을 근무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기 업형태에 있어서 민간기업의 경우 45시간 이하가 가장 높은 34.9%이었으며, 공공부문에서도 46~50시간이 가장 높은 40.3%로 나타났다. 종업원 규모별로 는 10인 이하의 작은 기업에서 46~50시간 이상 1주일 평균 근무시간 비율이 가장 높으며, 45시간 이하의 경우는 101명 이하인 기업이 가장 높게 나타났 다(<표 Ⅴ-18>참조).

<표 Ⅴ-18> 1주일 평균 근무 시간

단위: 명(%)

인 구분 45시간

미만

45~50 시간

51~60 시간

61시간

이상 무응답

평균 근로시간

(시간)

응답자 수

성 별

남성 여성

68(14.5) 51(19.2)

224(47.9) 134(50.6)

115(24.6) 61(23.0)

52(11.1) 16(6.0)

9(1.9) 3(1.1)

52.0 49.8

468 265 χ²= 68.306*

종 업 원 규 모

10명이하 11~30명 31~100 101명이상

무응답

24(11.0) 32(20.4) 31(16.3) 24(18.2) 8(22.2)

101(46.3) 77(49.0) 98(51.6) 65(49.2) 17(47.2)

64(29.4) 34(21.7) 38(20.0) 31(23.5) 9(25.0)

25(11.5) 12(7.6) 19(10.0)

11(8.3) 1(2.8)

4(1.8) 2(1.3) 4(2.1) 1(0.8) 1(2.8)

52.8 50.0 51.0 50.8 48.7

218 157 190 132 36 χ²= 163.758

기 업 형 태

민간기업 공공부문

108(16.1) 11(17.7)

322(48.0) 36(58.1)

162(24.1) 14(22.6)

67(10.0) 1(1.6)

12(1.8)

-51.5 48.1

671 62

χ²= 63.495

전체 119(16.2) 358(48.8) 176(24.0) 68(9.3) 12(1.6) 51.2 733(100.0)

* P<.05, **P<.01, *** P<.001

<표 Ⅴ-19>는 졸업생이 현 직장에서 근무하는 형태를 살펴본 것으로 상용 근로자가 전체 86.9%로 가장 높은 비율을 보이고 있으며, 임시직의 경우도 8.6% 차지하고 있다. 전공학과에 있어서 IT외 자연계가 상용근로자 비율이 가장 높은 42.6%, 그 다음으로 정보통신 15.1%, 인문사회계열 13.8%로 나타 났으며 의약계열은 4.5%로 가장 낮은 비율을 보였다. 또한 성별에 따라선 남 자는 일용근로자나 계약직 근로자가 없다고 응답한 반면에 여자는 일용직 근로자와 계약직이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표 Ⅴ-19>참조).

<표 Ⅴ-19> 직장에서 근무 형태

단위: 명(%)

변인 구분 상용종사자 임시근로자 일용근로자 계약직 기타 전체

성별 남자

여자

408(87.2) 229(86.4)

34(7.3) 29(10.9)

-3(1.1)

-1(0.4)

26(5.5) 3(1.6)

468(63.8) 265(36.2) 전체 637(86.9) 63(8.6) 3(0.4) 1(0.1) 29(0.6) 733(100.0)

χ²= 19.226**

교육 기관

전문대 기능대 무응답

359(85.7) 249(88.6) 29(87.6)

43(10.3) 16(5.7) 4(12.1)

2(0.5) 1(0.4)

-1(0.2)

-14(3.3) 15(5.3) 29(3.9)

419(57.2) 281(38.3) 33(4.5) 전체 637(86.9) 63(8.6) 3(0.4) 1(0.1) 29(0.6) 733(100.0)

χ²= 18.508

전공 학과

인문사회 정보통신 IT외자연계 의약계열 예체능

101(84.9) 111(80.4) 312(91.0) 33(5.2) 80(87.0)

12(10.1) 19(13.8) 18(5.2) 6(14.6) 8(8.7)

-2(1.4)

-1(2.4)

-1(0.8)

-5(4.1) 6(1.8) 13(3.8)

1(2.4) 4(4.3)

119(16.2) 138(18.8) 343(46.8) 41(5.6) 92(12.6) 전체 637(86.9) 63(8.6) 3(0.4) 1(0.1) 29(0.6) 733(100.0)

χ²= 36.632*

* P<.05, **P<.01, *** P<.001

조사응답자들 가운데 취업자들의 직위를 조사한 결과, 사원이 58.9%로 가 장 많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그 다음으로 주임 3.4%, 대리 3.3%이며 기타의 직위를 가진 응답자들도 28.9%가 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표 Ⅴ-20>참조).

<표 Ⅴ-20> 취업자의 직위

단위: 명(%)

성별 교육기관

남자 여자 전문대 기능대 무응답 전체

사원 269(57.5) 163(61.5) 252(60.1) 164(58.4) 16(48.5) 432(58.9) 주임 19(4.1) 6(2.3) 13(3.1) 11(3.9) 1(3.0) 25(3.4) 대리 24(5.1) - 9(2.1) 12(4.3) 3(9.1) 24(3.3) 대표이사 11(2.4) 2(0.8) 9(2.1) 4(1.4) - 13(1.8) 과장 7(1.5) 1(0.4) 4(1.0) 3(1.1) 1(3.0) 8(1.1) 실장 3(0.6) 1(0.4) 2(0.5) 2(0.7) - 4(0.5)

차장 3(0.6) - 3(0.7) - - 3(0.4)

팀장 3(0.6) - 3(0.7) - - 3(0.4)

부장 2(0.4) - 1(0.2) - 1(3.0) 2(0.3)

계장 2(0.4) - 2(0.5) - - 2(0.3)

기타 125(41.0) 92(35.1) 123(28.2) 85(30.5) 11(33.3) 217(28.9) 전체 468(63.8) 265(36.1) 419(57.2) 218(38.1) 156 733(100.0)

전문대학・기능대학 졸업생 가운데 취업자들의 현 직장 근속년수를 조사 한 결과, 13개월 이상이라고 응답(44.3%)한 사람이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 으며, 2개월 이하라고 응답한 사람은 7.4%에 불과하였다. 그러나 3개월 이상 12개월 이하의 근속기간이 전체의 48.2%를 차지함으로써 전문대학 및 기능 대학 졸업생의 잦은 이직현상을 볼 수 있다(<표 Ⅴ-21>참조).

〈표 Ⅴ-21〉현 직장에서의 근속 년수

단위: 명(%)

성별 교육기관

전체

남자 여자 전문대 기능대 무응답

2개월 이하 39(8.3) 15(5.7) 34(8.1) 19(6.8) 1(3.0) 54(7.4)

3~6개월 100(21.4) 90(34.0) 130(31.0) 48(17.1) 12(36.4) 190(25.9) 7~12개월 109(23.3) 55(20.8) 101(24.1) 55(19.6) 8(24.2) 164(22.3) 13개월 이상 220(47.0) 105(39.5) 154(36.8) 159(56.5) 12(36.4) 325(44.3) 계 468(63.8) 265(36.2) 419(57.2) 281(29.7) 33(21.3) 733(100.0)

<표 Ⅴ-22>에서 볼 수 있듯이 전직 경험에 있어서 2번의 경우가 가장 많은 77.6%로 나타났으며, 그 다음으로는 3번 16.0%로 나타났다. 특이한 현상으로 는 5번 이상 전직한 비율(4.2%)이 4번 전직한 비율(2.3%)보다 높게 나타났다.

또한 성별에 있어서 2번 전직의 경우 여성(87.5%)이 남성(72.8%)보다 높은 비율을 보인 반면 3번의 경우는 남성(20.4%)이 여성(6.9%)보다 훨씬 높은 비 율로 나타났다.

<표 Ⅴ-22> 직장 전직 경험

단위: 명(%)

2번 3번 4번 5번 이상 계

남자 107(72.8) 30(20.4) 2(1.4) 8(5.4) 147(67.1) 여자 63(87.5) 5(6.9) 3(4.2) 1(1.4) 72(32.9) 전체 170(77.6) 35(16.0) 5(2.3) 9(4.2) 219(100.0)

〈표 Ⅴ-23〉현 직장을 구하는데 소요된 시간

단위: 명(%)

변인 구분 1개월 미만 1~3개월미만 3~5개월미만 5개월 이상 계

성별 남자

여자

19(4.1) 61(13.0) 22(4.7) 368(78.3) 470(58.8) 16(6.0) 40(15.1) 15(5.7) 192(73.3) 263(33.2) 전체 35(4.8) 101(13.7) 37(5.0) 560(76.5) 733(100)

현 직장을 구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에 있어서는 5개월 이상이 가장 높은 비율인 76.5%이며, 그 다음으로 1~3개월 미만 13.7%, 3~5개월 미만 5.0%, 1 개월 미만 4.8% 순으로 나타났다. 졸업생이 직장을 구하는 데에는 많은 시간 이 소요됨을 알 수 있다(<표 Ⅴ-23>참조).

학교 재학시 전공과 업무와의 관련성을 묻는 질문으로써 긍정적으로 응답 (매우 그렇다와 그렇다)한 경우가 72.3%로 나타났다. 전공학과에 있어서 자 신의전공과 업무와의 관련성 정도가 유의미한 차이를 갖는 것으로 분석되었 는데, IT외 자연계열이 가장 높은 32.7%로 나타났으며 반면에 의약계열이 가장 낮은 5.1%를 보였다. 종업원 규모에서는 10명 이하가 21.0%, 교육기관 별로는 전문대학이 41.8%, 졸업 년도에 있어서는 2001년이 34.5%, 기업형태 에 있어서는 민간기업이 66.3%로 비교 집단에 비하여 가장 높게 나타났다.

전공과 관련해서, 학교에서 배운 전공이 현재 근무하는 회사의 직무에 도 움이 되느냐는 질문에는 매우 그렇다와 그렇다고 응답한 사람(66.0%)이 그렇 지 않다 와 전혀 그렇지 않다라고 응답한(2.4%) 사람보다 훨씬 높은 비율을 보였다. 이는 전문대학과 기능대학에서 배운 교육과정 및 전공분야가 산업현 장과 밀접한 연관성을 가지고 있다는 점을 보여주는 것이다. 특히, 전공학과 별로는 의약계열 졸업생들의 전공과 직무와의 연관성이 가장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표 Ⅴ-24>참조).

<표 Ⅴ-24> 전공이 직무에 미치는 효과

단위: 명(%)

변인 구분 매우그렇

다 그렇다 보통이다 그렇지않다 전혀그렇지않다

성별 남자

여자

179(38.2) 104(39.2)

126(26.9) 75(28.3)

151(32.4) 80(30.2)

10(2.1) 5(1.9)

2(0.4) 1(0.4)

468(63.8) 265(36.1) χ²= 1.063

전공 학과

인문사회 정보통신 IT외 자연계

의약계열 예체능

40(33.6) 41(29.7) 128(37.3) 33(80.5) 41(44.6)

35(29.4) 41(29.7) 95(27.7) 5(12.2) 25(27.2)

40(33.6) 51(37.0) 113(32.9)

-24(26.0)

4(3.4) 5(3.6) 5(1.5) -1(1.1)

-2(0.6)

-1(1.1)

119(16.2) 138(18.8) 343(46.8) 41(5.6) 92(12.6) χ²= 47.573***

교육 기관

전문대 기능대 기타

151(36.0) 119(54.6) 32(34.0)

128(30.5) 66(30.3) 25(26.4)

127(30.3) 29(13.3) 12(36.4)

12(2.9) 2(0.9) 19(19.8)

1(0.2) 2(0.9)

-419(57.2) 218(38.1) 96(4.7) χ²= 9.474

전체 283(38.6) 201(27.4) 168(22.9) 15(2.0) 3(0.4) 733(100.0)

* P<.05, **P<.01, *** P<.001

현재의 업무와 전공과의 밀접성 정도를 알아본 결과, 전체 72.3%의 졸업생 이 현재의 업무와 전공이 밀접한 관계를 가지고 있다고 응답하였으며, 특히, 전공학과별로 분석하였을 때, χ²= 47.573***로 타 전공 졸업생들에 비하여, 의약계열의 졸업생들이 전공과 업무와의 밀접성이 가장 높은 것으로 분석되 었다(<표 Ⅴ-25>참조).

<표 Ⅴ-25> 현 업무와 전공과의 밀접성 정도

(단위 : 명, %)

변인 구분 매우

그렇다 그렇다 보통이다 그렇지

않다

전혀 그렇지

않다

전체

성별 남자

여자

210(44.9) 119(44.9)

126(26.9) 75(28.3)

20(4.3) 14(5.3)

76(16.2) 37(14.0)

36(7.7) 20(7.5)

468(63.8) 265(36.2) 전체 329(44.9) 201(27.4) 34(4.6) 113(15.4) 56(7.6) 733(100.0)

χ²= 1.063

교육 기관

전문대 기능대 무응답

183(43.7) 128(45.6) 18(54.5)

123(29.4) 74(26.3)

4(12.1)

16(3.8) 17(6.0) 1(3.0)

69(16.5) 37(13.2) 7(21.2)

28(6.7) 25(8.9) 3(9.1)

419(57.2) 281(38.3) 33(4.5) 전체 329(44.9) 201(27.4) 34(4.6) 113(15.4) 56(7.6) 733(100.0)

χ²= 9.474

전공 학과

인문사회 정보통신 IT외자연계 의약계열 예체능

44(37.0) 53(38.4) 146(42.6)

37(90.2) 49(53.3)

41(34.5) 40(29.0) 94(27.4) 1(2.4) 25(27.2)

7(5.9) 9(6.5) 17(5.0)

-1(1.1)

18(15.1) 24(15.9) 58(16.9) 2(4.9) 11(12.0)

9(7.6) 12(8.7) 28(8.2) 1(2.4) 6(6.5)

119(16.2) 138(18.8) 343(46.8) 41(5.6) 92(12.6) χ²= 47.573***

전체 329(44.9) 201(27.4) 34(4.6) 113(15.4) 56(7.6) 733(100.0)

* P<.05, **P<.01, *** P<.001

전공과 관련이 없는 경우 현 직장이 전공과 관련이 없음에도 불구하고 근 무하는 이유를 묻는 질문에 기타가 57.4%로 가장 높은 응답을 하였으며, 그 다음으로 전공에 맞는 일을 구할 수 없어서가 21.9%이다(<표 Ⅴ-26> 참조).

<표 Ⅴ-26> 전공과 관련이 없음에도 근무한 이유

단위: 명(%)

변인 구분

전공에맞 는일을구 할수없어

급여조건이 만족스러워

근무조건

이 좋아서 기타 무응답 전체

성별 남자

여자

23(20.5) 14(24.6)

17(15.2) 7(12.3)

2(1.8) 2(3.5)

64(57.1) 33(57.9)

6(5.4) 1(1.8)

112(66.3) 57(33.7) χ²= 47.573***

교육 기관

전문대 기능대 기타

21(21.6) 14(22.6) 2(25.0)

19(19.6) 3(4.8) 2(25.0)

3(3.1) 1(1.6)

-51(52.6) 40(64.5) 6(75.0)

3(3.1) 4(6.5)

-97(57.4) 62(36.7) 10(23.9) χ²= 9.474

전체 37(21.9) 24(14.2) 4(2.4) 97(57.4) 7(4.1) 169(100.0)

* P<.05, **P<.01, *** P<.001

향후 1년 이내에 현 직장(일)을 그만두고 다른 직장을 찾을 계획을 묻는 질문에 없다가 75.0%, 있다가 24.3%로 각각 나타났다(<표 Ⅴ-27> 참조). 종업 원 규모별로는 10명 이하의 사업장에 근무하는 응답자의 6.5%가 향후 1년 이내에 이직할 의향이 있다고 응답하였으며, 종업원 규모가 적은 곳일수록 이직률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기업 형태에 있어서는 민간기업(22.9%)이 공공기업(1.4%) 보다 매우 높게 나타났다.

<표 Ⅴ-27> 향후 1년 이내 이직 계획 여부

단위: 명(%)

변인 구분 있다 없다 무응답 전체

성별 남자

여자

110(23.5) 68(25.7)

353(75.4) 197(74.3)

5(1.1)

-468(63.8) 265(36.2) 전체 178(24.3) 550(75.0) 5(0.7) 733(100.0)

χ²= 3.182

교육 기관

전문대 기능대 무응답

97(23.2) 72(25.6) 9(27.3)

318(75.9) 208(74.0) 24(72.7)

4(1.0) 1(0.4)

-419(57.2) 281(38.3) 33(4.5) 전체 178(24.3) 550(75.0) 5(0.7) 733(100.0)

χ²= 1.774

전공 학과

인문사회 정보통신 IT외자연계 의약계열 예체능

33(27.7) 33(23.9) 83(24.2) 8(19.5) 21(22.8)

85(71.4) 104(75.4) 258(75.2) 33(80.5) 70(76.1)

1(0.8) 1().7) 2(0.6)

-1(1.1)

119(16.2) 138(18.8) 343(46.8) 41(5.6) 92(12.6) 전체 178(24.3) 550(75.0) 5(0.7) 733(100.0)

χ²= 2.039

* P<.05, **P<.01, *** P<.001

향후 1년 내에 전직할 의사가 있느냐는 질문에 178명(24.3%)의 응답자가 그렇다 라고 응답하였다. 현 직장을 그만두고자 하는 이유로는 급여(봉급, 연 봉)가 낮아서가 가장 높은 32.6%, 그 다음으로는 근무조건이 좋지 않아서 19.7%, 적성 및 전공과 맞지 않아서 19.1%, 비전이 없어서 1.1% 순으로 나타 났다. 종업원규모에서는 10인 이하의 사업장 규모 종사자의 경우 적성과 전 공이 맞지 않아서가 다른 비교 척도보다 가장 높은 비율을 나타낸 반면, 11~30인 규모의 사업장 종사자의 경우는 근무조건이 좋지 않아서가 가장 높 게 나타났다(<표 Ⅴ-28>참조).

<표 Ⅴ-28> 현 직장을 그만두고자 하는 이유

단위: 명(%)

변인 구분 급여가

낮아서

근무조건이 좋지않아서

적성과 전공에 맞지않아서

비젼이

없어서 기타 전체

성별 남자

여자

40(36.4) 18(26.5)

21(19.1) 14(20.6)

15(13.4) 19(31.3)

1(0.9) 1(1.5)

33(30.0) 16(23.5)

110(61.8) 68(38.2) χ²= 19.657

종업원 규모

10명이하 11~30명 31~100명 101명이상

무응답

14(29.2) 11(23.1) 16(34.1) 10(38.4) 7(63.6)

6(12.5) 18(39.7) 8(17.0) 3(11.5)

-15(31.3) 6(13.1) 6(12.8) 6(23.1) 1(9.1)

-1(2.1) 1(3.9)

-13(27.0) 11(23.1) 16(34.0) 6(23.1) 3(27.3)

48(27.0) 46(25.8) 47(26.4) 26(14.6) 11(6.2) χ²= 71.439

교육 기관

전문대 기능대 무응답

27(27.8) 27(37.5) 4(44.4)

16(16.5) 18(25.0) 1(11.1)

22(22.7) 11(15.3) 1(11.1)

2(2.1)

-30(30.9) 16(22.2) 3(33.4)

97(54.5) 72(40.4) 9(5.1) χ²= 38.177

기업 형태

민간기업 공공부문

53(31.5) 5(50.0)

34(20.2) 1(10.0)

32(19.0) 2(20.0)

2(1.2)

-47(20.1) 2(10.0)

168(94.4) 10(5.6) χ²= 6.129

전체 57(32.6) 35(19.7) 34(19.1) 2(1.1) 50(27.5) 178(100.0)

* P<.05, **P<.01, *** P<.001

<표 Ⅴ-29>는 전직을 위해 어떤 활동을 하고 있는가에 대한 질문에 별다 른 활동을 하고 있지 않음이 44.4%로 가장 높은 응답 비율을 차지하였고, 반 면 적극적으로 구직활동을 하고 있다고 19.1%가 응답하였다. 또한 자격증 취 득을 준비하고 있다고 응답한 사람도 전체 18.5%나 차지하고 있다.

<표 Ⅴ-29> 전직을 위한 활동 형태

단위: 명(%)

남자 여자 전체

별 다른 활동을 하고 있지 않음 적극적으로 구직활동하고 있음

직업훈련교육 병행하고 있음 자격증 취득을 준비 진학 및 편입학 준비중

인터넷 정보수집 외국어 준비 다른 회사 일을 보조 주변 사람들을 통해 알아 봄

무응답

46(58.2) 22(64.7) 4(66.7) 26(78.8) 3(33.3) 2(33.3) 3(60.0) 1(100.0) 1(100.0) 2(50.0)

33(41.8) 12(65.3) 2(33.3) 7(21.2) 6(66.7) 4(66.7) 2(40.0)

-2(50.0)

79(44.4) 34(19.1) 6(3.4) 33(18.5)

9(5.1) 6(3.4) 5(2.8) 1(0.6) 1(0.6) 4(2.2) 전체 110(61.8) 68(38.2) 178(100.0)

전문대학・기능대학의 졸업생 가운데 미취업자들을 대상으로 지난 1주일 간 구직활동을 한 경험이 있는가에 대한 질문에 전체 미취업자 64명중 24명 (37.5%)만이 구직 활동을 한 경험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표 Ⅴ-30>참조).

<표 Ⅴ-30> 지난 1주간 구직활동 여부

단위: 명(%)

예 아니오 전체

남자 14(35.0) 26(65.0) 40(62.5) 여자 10(41.7) 14(58.3) 24(37.5) 전체 24(37.5) 40(62.5) 64(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