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종사자 현황

친환경농자재 산업의 실태와 문제점

3. 유기농업자재

3.2.3. 종사자 현황

유기농업자재 생산업체에는 평균 33.7명의 근로자가 종사하고 있다. 남성 종사 자의 비율이 76.6%로 상대적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외국인의 비중은 크지 않았다. 또한 대부분의 종사자가 정규직으로 구성된 것으로 조사되었다.

94 | 구분

내국인 외국인

합계

정규직 비정규직 정규직 비정규직

남성 여성 남성 여성 남성 여성 남성 여성

종사자 수 25.3 6.3 1.1 0.5 0.5 0.0 0.0 0.0 33.7

<표 3-50> 유기농업자재 생산업체 종사자 현황

단위: 명

주: n=84.

자료: 유기농업자재 생산업체 조사 결과.

유기농업자재 생산업체의 36.9%가 인력 확보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으로 조 사되었다. 유기농업자재 생산업체가 인력 확보에 어려움을 겪는 가장 큰 원인은 중소기업 기피 현상(46.4%), 열악한 작업 환경(27.4%) 등으로 이는 개별 생산업 체가 해결하기 어려운 요인들임을 알 수 있다.

구분 전혀 어려움이 없다

어려움이 없는

편이다 그저 그렇다 어려움이 있는

편이다 매우 어렵다 척도 평균

비율 1.2 7.1 54.8 34.5 2.4 3.30

<표 3-51> 인력 확보의 어려움

단위: %, 점

주: n=84.

자료: 유기농업자재 생산업체 조사 결과.

구분 비율

중소기업 기피 현상 46.4

열악한 작업 환경 27.4

근무지가 도심지로부터 멀어서 9.5

전문/숙련인력이 잘 없음 8.3

낮은 급여 조건 7.1

경영의 불안정성으로 인해 정규직 고용 어려움 1.2

합계 100.0

<표 3-52> 인력 확보가 어려운 이유

단위: %

주: n=84.

자료: 유기농업자재 생산업체 조사 결과.

제3장 친환경농자재 산업의 실태와 문제점 | 95

3.2.4. R&D 현황

다수의 유기농업자재 생산업체가 최근 3년 내 R&D에 참여하였거나 참여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구체적으로 토양개량·작물생육용 유기농업자재(병해충 관리용 유기농업자재) 생산을 주력으로 하는 생산업체의 66.7%(85.2%)가 R&D 에 참여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구분 업체 수 업체 비율

유기농업자재 토양개량·작물생육용 38 66.7

병해충관리용 23 85.2

<표 3-53> 최근 3년간 R&D 진행 유기농업자재 생산업체 현황

단위: 개, %

주: 토양개량·작물생육용 n=57, 병해충관리용 n=27.

자료: 유기농업자재 생산업체 조사 결과.

유기농업자재에 대한 R&D 기간은 평균 18∼20개월 소요되는 것으로 나타났 으며, 토양개량·작물생육용과 병해충관리용 유기농업자재 간 큰 차이는 없는 것 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토양개량용 유기농업자재 R&D에는 평균 1억 4,130만 원, 병해충 관리용 유기농업자재 R&D에는 평균 3억 8,450만 원이 소요되는 것으로 나타나, 소요 기간과 달리 병해충관리용 유기농업자재에 상당한 수준의 비용이 추가적으로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96 |

<그림 3-23> 유기농업자재 생산업체 평균 R&D 기간 및 비용

단위: 월, 백만 원

주: 토양개량·작물생육용 유기농업자재 n=38, 병해충관리용 유기농업자재 n=23.

자료: 유기농업자재 생산업체 조사 결과.

토양개량·작물생육용 유기농업자재 생산업체는 59.4%가 R&D를 위한 자체 연 구소 또는 부서를 보유한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병해충관리용 유기농업자재 생산 업체는 이보다 많은 약 81.5%가 개발 부서 또는 연구소를 보유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R&D 담당 직원 수는 유기농업자재 종류별로 큰 차이는 없었으며, 약 68~70% 정도의 생산업체가 3명 이상의 R&D 담당 직원을 채용하고 있었다.

구분 개발 부서 또는 연구소 보유 비율 R&D 담당 직원 수

1명 2명 3명 4명 이상

토양개량·작물생육용 59.4 0.0 29.4 32.4 38.2

병해충관리용 81.5 13.6 18.2 27.3 40.9

<표 3-54> 자체 연구소 또는 개발 부서 보유 및 직원 수

단위: %

주: 개발 부서 또는 연구소 보유 토양개량·작물생육용 n=57, 병해충관리용 n=27, R&D 담당 직원 수 토양개 량·작물생육용 n=34, 병해충관리용 n=22.

자료: 유기농업자재 생산업체 조사 결과.

R&D 추진 시 가장 큰 어려움은 R&D 자금의 부족(29.2%)과 고급 연구인력 확 보 한계(27.2%)인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병해충관리용 유기농업자재 생산업체

제3장 친환경농자재 산업의 실태와 문제점 | 97 가 기술개발 자금과 연구인력 확보에 더 큰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앞서 제시된 바와 같이 병해충관리용 유기농업자재 R&D에 더 많은 비용이 소요되기 때문인 것으로 해석된다.

구분 토양개량·작물생육용 병해충관리용 전체

기술개발 자금 부족 23.1 42.0 29.2

고급 연구인력 확보 한계 25.5 30.9 27.2

신규 R&D 기획 역량 부족 16.0 9.9 14.0

원천기술 부족 13.0 4.9 10.4

기술개발 중 애로사항 발생 시 독자적 해결 역량 부족 12.4 2.5 9.2

최신 기술동향 확보 한계 6.5 6.2 6.4

시험분석·실증 등 대형 장비 구축 한계 3.6 3.7 3.6

<표 3-55> R&D 추진 시 어려움

단위: %

주 1) 토양개량·작물생육용 1순위 n=57, 2순위 n=55, 병해충관리용 1순위 n=27, 2순위 n=27.

2) 표의 값은 1순위와 2순위의 가중평균이며, (1순위x2/3 + 2순위x1/3)로 계산함.

자료: 유기농업자재 생산업체 조사 결과.

3.3. 유기농업자재 판매 및 유통경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