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유기농업자재 판매 및 유통경로 1. 판매 현황

친환경농자재 산업의 실태와 문제점

3. 유기농업자재

3.3. 유기농업자재 판매 및 유통경로 1. 판매 현황

제3장 친환경농자재 산업의 실태와 문제점 | 97 가 기술개발 자금과 연구인력 확보에 더 큰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앞서 제시된 바와 같이 병해충관리용 유기농업자재 R&D에 더 많은 비용이 소요되기 때문인 것으로 해석된다.

구분 토양개량·작물생육용 병해충관리용 전체

기술개발 자금 부족 23.1 42.0 29.2

고급 연구인력 확보 한계 25.5 30.9 27.2

신규 R&D 기획 역량 부족 16.0 9.9 14.0

원천기술 부족 13.0 4.9 10.4

기술개발 중 애로사항 발생 시 독자적 해결 역량 부족 12.4 2.5 9.2

최신 기술동향 확보 한계 6.5 6.2 6.4

시험분석·실증 등 대형 장비 구축 한계 3.6 3.7 3.6

<표 3-55> R&D 추진 시 어려움

단위: %

주 1) 토양개량·작물생육용 1순위 n=57, 2순위 n=55, 병해충관리용 1순위 n=27, 2순위 n=27.

2) 표의 값은 1순위와 2순위의 가중평균이며, (1순위x2/3 + 2순위x1/3)로 계산함.

자료: 유기농업자재 생산업체 조사 결과.

3.3. 유기농업자재 판매 및 유통경로

98 |

<그림 3-24> 유기농업자재 품목별 매출액 비중

단위: %

주: 2017년 n=65, 2018년 n=67, 2019년 n=68, 2020년 전망 n=68.

자료: 유기농업자재 생산업체 조사 결과.

생산 중인 유기농업자재 중 부산물비료로 등록한 품목이 있는 생산업체는 35.7%로 조사되었으며, 부산물비료로 등록된 토양개량·작물생육용 유기농업자 재가 전체 유기농업자재 매출액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대부분 40% 이상으로 상당 히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구분 부산물비료 등록한 생산업체 비율

부산물비료 등록 품목의 토양개량·작물생육용 유기농업자재 매출액 비중 40% 이내 40∼60% 60∼100% 100%

비율 35.7 9.9 16.7 6.7 66.7

<표 3-56> 부산물비료로 등록한 유기농업자재 생산업체 비율 및 매출액 비중

단위: %

주: 부산물비료 등록 생산업체 n=84, 매출액 비중 n=30.

자료: 유기농업자재 생산업체 조사 결과.

유기농업자재를 부산물비료로 등록한 이후 매출액이 증가한 생산업체는 약 13.1%로 나타났으며, 나머지 86.9%는 변화가 없다고 응답하였다. 매출액이 증가 하였다고 응답한 생산업체의 경우, 부산물비료 등록 이후 평균 매출액이 매우 큰 폭으로 증가(14.4%)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제3장 친환경농자재 산업의 실태와 문제점 | 99

구분 매출액 증가 생산업체 비율 부산물비료 등록 이후 매출액 증가율 10% 이내 10∼20% 20∼30% 평균

비율 13.1 36.4 27.3 36.4 14.4

<표 3-57> 부산물비료 등록 이후 매출액 증가 생산업체 비율 및 증가율

단위: %

주: 매출액 변화 생산업체 n=84, 매출액 증가율 n=11.

자료: 유기농업자재 생산업체 조사 결과.

생산하는 유기농업자재 중 천연식물보호제로 등록한 품목이 있는 생산업체는 31.0%로 조사되었으며, 이 중 61.5%가 천연식물보호제로 등록된 병해충관리용 유기농업자재가 매출액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100%라고 응답하였다. 매출액 비 중이 40% 이내인 생산업체는 15.4%, 40∼60% 미만은 23.1%로 나타났다.

구분 천연식물보호제 등록한 생산업체 비율

천연식물보호제 등록 품목의 병해충 관리용 유기농업자재 매출액 비중 40% 이내 40∼60% 60∼100% 100%

비율 31.0 15.4 23.1 0.0 61.5

<표 3-58> 천연식물보호제로 등록한 유기농업자재 생산업체 비율 및 매출액 비중

단위: %

주: 천연식물보호제 등록 생산업체 n=84, 매출액 비중 n=26.

자료: 유기농업자재 생산업체 조사 결과.

유기농업자재를 천연식물보호제로 등록한 이후 매출액이 증가한 생산업체는 10.7%로 나타났으며, 나머지 89.3%는 변화가 없다고 답하였다. 매출액이 증가한 생산업체의 평균 매출액 증가율은 11.4%로 나타났다.

구분 매출액 증가 생산업체 비율 부산물비료 등록 이후 매출액 증가율 10% 이내 10∼20% 20∼30% 평균

비율 10.7 33.3 44.4 22.2 11.4

<표 3-59> 천연식물보호제 등록 이후 매출액 증가 생산업체 비율 및 증가율

단위: %

주: 매출액 변화 생산업체 n=84, 매출액 증가율 n=9.

자료: 유기농업자재 생산업체 조사 결과.

100 |

비료 혹은 농약으로 등록하지 않는 주요 이유로 토양개량·작물생육용 유기농업 자재 생산업체는 ‘등록을 해도 매출이 증가할 것 같지 않아서’(76.7%)를 가장 많이 언급하였다. 이에 비해 병해충관리용 유기농업자재 생산업체는 ‘등록 비용이 부담 스러워서’(47.6%)가 가장 많았으며, ‘등록을 해도 매출이 증가할 것 같지 않아서’

라고 응답한 생산업체 비율은 38.1%로 그 뒤를 따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 과는 실제 부산물비료 혹은 천연식물보호제 등록 후 매출액이 증가한 업체가 약 10~13% 수준에 불과한 조사 결과와 일맥상통한다(<표 3-57>, <표 3-59> 참조).

구분 토양개량·작물생육용 병해충관리용

등록을 해도 매출이 증가할 것 같지 않아서 76.7 38.1

등록 비용이 부담스러워서 18.6 47.6

기타 4.7 14.3

<표 3-60> 비료 및 농약으로 등록하지 않은 이유

단위: %

주: 토양개량·작물생육용 n=43, 병해충관리용 n=21.

자료: 유기농업자재 생산업체 조사 결과.

유기농업자재 원재료는 국내에서 52.1%, 해외에서 39.8%가 조달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체생산 비율(8.2%)을 더하면 국내에서 조달되는 비중이 약 60.3%로 집계된다. 한편, 유기농업자재 원재료에 따라 국내에서 100% 또는 해외에서 100% 조달되는 원재료가 상당수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수입 원재료는 주로 원재료 공급업체(72.7%)를 통해 구입하며, 27.3%는 자체 적으로 수입을 하고 있다고 응답하였다. 설문조사에 응답한 생산업체 중 농협을 통한 공동구매를 진행하는 기업은 없었다.

제3장 친환경농자재 산업의 실태와 문제점 | 101

구분 비율

원재료 공급업체 72.7

자체 수입 27.3

농협 공동구매 0.0

<표 3-61> 수입 원재료 구입 경로

단위: %

주: n=44.

자료: 유기농업자재 생산업체 조사 결과.

수입 원재료를 사용하는 이유는 국내에서 생산되지 않기 때문이라는 응답이 50.0%로 가장 많았다. 국내 원재료의 가격(25.0%)이나 품질(13.6%)의 경쟁력이 상대적으로 부족하여 수입을 진행한다는 의견도 적지 않았다.

구분 비율

국내에서 생산되지 않는 품목이기 때문에 50.0

가격이 저렴해서 25.0

가격은 비슷하나 품질이 뛰어나서 13.6

국내산을 안정적으로 조달하기 어려워서 11.4

<표 3-62> 수입 원재료 사용 이유

단위: %

주: n=44.

자료: 유기농업자재 생산업체 조사 결과.

3.3.2. 유통경로

토양개량·작물생육용 유기농업자재 중 약 53%(유기농업자재지원사업: 약 37%, 비보조사업: 약 16%)는 지역농협을 통해 유통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농협을 통 하지 않고 유통되는 토양개량·작물생육용 유기농업자재는 주로 시판상(32.0%)을 통해 유통되고 있으며, 직거래(15.5%)를 통해서도 일부 유통되고 있다. 병해충관 리용 유기농업자재는 2019년 기준 45.7%가 시판상을 통해 유통되는 것으로 조사 되었으며, 지역농협(32.4%), 농업인 직거래(21.9%) 등의 유통 비중도 적기 않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102 |

구분 비율

2017년 2018년 2019년

토양개량·작물생육용 유기농업자재

지역농협(보조사업+비보조사업) 52.7 51.5 52.6

비보조사업-시판상 31.0 32.8 32.0

비보조사업-농업인 직거래 16.2 14.3 15.5

병해충관리용 유기농 업자재

지역농협(보조사업+비보조사업) 34.9 33.1 32.4

비보조사업-시판상 47.7 47.1 45.7

비보조사업-농업인 직거래 17.5 19.8 21.9

<표 3-63> 유기농업자재 유통경로별 판매 비중

단위: %

주 1) 토양개량·작물생육용 n=72, 병해충관리용 n=37.

2) 토양개량·작물생육용 유기농업자재 중 유기질비료지원사업을 통해 유통되는 제품은 제외함. 병해충 관 리용 유기농업자재 중 농약 계통출하를 통해 유통되는 제품은 제외됨.

자료: 유기농업자재 생산업체 조사 결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