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부산물비료 이용 실태

친환경농자재 산업의 실태와 문제점

1. 부산물비료

1.5. 부산물비료 이용 실태

친환경농업과 관행농업을 함께 영위하는 농가와 관행농가 중 부산물비료를 사 용한다고 응답한 비율은 각각 93.3%, 84.3%로 다수의 농가가 부산물비료를 영농 활동에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분 사용함 사용하지 않음

친환경+관행농가 93.3 6.7

관행농가 84.3 15.7

<표 3-17> 부산물비료 사용 비율

단위: %

주 1) 친환경+관행농가는 친환경농업과 관행농업을 함께 영위하는 농가를 나타냄.

2) n=193(친환경+관행농가), n=185(관행농가) 자료: 농업인 조사 결과.

제3장 친환경농자재 산업의 실태와 문제점 | 57 친환경농업과 관행농업을 함께 영위하는 농가는 주로 ‘토질 개선을 위 해’(37.0%) 부산물비료를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 외에도 ‘화학비료 사 용을 줄이기 위해’(31.7%), ‘양분종합관리를 위해’(21.9%) 부산물비료를 사용한 다고 응답하였다. 관행농가의 경우에도 ‘토질 개선을 위해’(40.2%) 부산물비료를 사용한다는 비율이 가장 높았으며, ‘양분종합관리를 위해’(31.0%), ‘화학비료 사 용을 줄이기 위해’(26.0%)에 대한 응답 비율도 높았다.

구분 1순위 2순위 가중평균

친환경 + 관행농가

토질 개선을 위해 43.5 23.9 37.0

인증 등의 제도에 대응하기 위해 6.2 14.1 8.8

화학비료 사용을 줄이기 위해 32.8 29.4 31.7

양분종합관리를 위해 16.9 31.9 21.9

기타 0.6 0.6 0.6

관행농가

토질 개선을 위해 47.7 25.2 40.2

인증 등의 제도에 대응하기 위해 1.3 5.8 2.8

화학비료 사용을 줄이기 위해 23.2 31.7 26.0

양분종합관리를 위해 27.7 37.4 31.0

기타 0.0 0.0 0.0

<표 3-18> 부산물비료 사용 이유

단위: %

주 1) 친환경+관행농가는 친환경농업과 관행농업을 함께 영위하는 농가를 나타냄.

2) 친환경+관행농가 n=177(1순위), 163(2순위), 관행농가 n=155(1순위), 139(2순위) 3) 가중평균은 (1순위x2/3 + 2순위x1/3)로 계산함.

자료: 농업인 조사 결과.

부산물비료에 대한 비용이 농가의 시비 관련 비용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매우 큰 것으로 조사되었다. 구체적으로 친환경+관행농가의 비료 관련 투입재 비용 중 부산물비료가 80.6%, 화학비료는 19.4%를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부산물비 료 종류별로는 유기질비료(35.9%)와 부숙유기질비료(35.1%)에 대한 지출 비중 이 컸으며, 미생물비료의 지출 비중(9.6%)은 상대적으로 작았다.

관행농가의 경우, 시비 관련 비용 중 부산물비료가 72.5%, 화학비료가 27.5%를 차지하는 것으로 조사되어, 여전히 부산물비료에 대한 지출 비중이 상대적으로 매우 큰 것을 알 수 있다. 부산물비료에서는 부숙유기질비료에 대한 지출 비중이

58 |

34.9%로 가장 컸으며, 유기질비료와 미생물비료의 지출 비중은 각각 30.6%, 7.3%로 나타났다.

<친환경+관행농가> <관행농가>

<그림 3-11> 부산물비료 종류 및 사용 비중(금액 기준)

주 1) 친환경+관행농가는 친환경농업과 관행농업을 함께 영위하는 농가를 나타냄.

2) n=174(친환경+관행농가), n=150(관행농가).

3) 사용 비중은 물량이 아닌 금액을 기준으로 한 것으로 품목별 가격의 영향이 반영된 값임.

자료: 농업인 조사 결과.

농가들은 부산물비료 구입 시 효과(31.3%)를 가장 중요하게 고려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가격(21.0%), 품질의 안정성(19.6%) 등을 고려하는 비율도 높았다.

이에 반해, 주변의 추천이나 브랜드는 거의 고려하지 않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구분 1순위 2순위 가중평균

가격 19.3 24.4 21.0

효과 33.7 26.3 31.3

품질의 안정성 19.9 19.0 19.6

원료의 종류 17.2 13.0 15.8

브랜드 0.9 0.6 0.8

주변 추천 3.4 4.8 3.8

원활한 공급 5.5 11.7 7.6

<표 3-19> 부산물비료 구입 시 고려하는 기준

단위: %

주 1) n=326(1순위), 315(2순위).

2) 가중평균은 (1순위x2/3 + 2순위x1/3)로 계산함.

자료: 농업인 조사 결과.

제3장 친환경농자재 산업의 실태와 문제점 | 59 전반적으로 부산물비료에 대한 만족도는 농가 유형과 무관하게 보통을 의미하 는 3점 수준인 것으로 나타나 만족도는 크지 않은 것을 알 수 있다. 항목별로는 제 품 가격에 대한 만족도가 상대적으로 가장 낮았으며, 품질은 이보다 좀 나은 수준 이었다.

구분 유기질비료 부숙유기질비료 미생물비료

평균 점수 표본 수 평균 점수 표본 수 평균 점수 표본 수

친환경+

관행농가

제품 가격 2.6 160 3.0 156 2.6 116

품질 3.2 161 2.9 161 3.0 119

서비스 2.8 155 2.8 158 2.8 117

종합 2.9 154 2.9 154 2.9 115

관행농가

제품 가격 2.7 126 2.9 128 2.8 94

품질 3.1 127 3.0 133 3.1 94

서비스 3.1 121 3.0 127 3.1 92

종합 3.0 121 3.1 125 3.1 89

<표 3-20> 부산물비료 종류별 만족도

단위: 점, 명

주 1) 친환경+관행농가는 친환경농업과 관행농업을 함께 영위하는 농가를 나타냄.

2) 만족도는 1점부터 5점까지 5점 척도를 기준으로 조사하였으며, 점수가 높을수록 만족도가 높음을 의미함.

자료: 농업인 조사 결과.

부산물비료를 사용하지 않는 이유는 주로 비싼 가격(31.2%), 불안정한 품질 (30.4%), 낮은 효과(21.2%), 악취 등 민원(17.3%)인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는 앞 서 제시한 가격에 대한 만족도가 다른 항목에 비해 높지 않은 것과 일치하는 결과 이다.

구분 1순위 2순위 가중평균

가격이 비싸서 35.0 23.5 31.2

효과가 높지 않아서 20.0 23.5 21.2

품질이 안정적이지 않아서 25.0 41.2 30.4

악취 등 민원 때문에 20.0 11.8 17.3

<표 3-21> 부산물비료를 사용하지 않는 이유

단위: %

주 1) n=20(1순위), 17(2순위).

2) 가중평균은 (1순위x2/3 + 2순위x1/3)로 계산함.

자료: 농업인 조사 결과.

60 |

친환경+관행농가는 부산물비료 시비량을 주로 제품에 표시된 정보(26.8%), 과 거 경험(19.3%), 시비처방서(18.4%)를 참고하여 결정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 에 반해 인터넷, 잡지, 신문, 정보지 등의 매체를 통해 시비량을 결정하는 비율은 1.5%로 매우 낮았다. 관행농가의 시비 결정 방법은 친환경+관행농가와 유사한 것 으로 나타났으며, 시비량을 주로 제품에 표시된 정보(26.4%), 과거 경험(22.6%), 시비처방서(20.0%)를 참고하여 결정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구분 1순위 2순위 가중평균

친환경+

관행농가

시비처방서 21.3 12.6 18.4

과거 경험 18.5 20.7 19.3

농업기술센터 11.8 12.1 11.9

작목반장 등 주변 지인 12.4 14.4 13.0

제품에 표시된 정보 28.7 23.0 26.8

비료 구입처의 시비 관련 컨설팅 6.7 13.8 9.1

인터넷, 잡지, 신문, 정보지 등 0.6 3.4 1.5

관행농가

시비처방서 23.4 13.2 20.0

과거 경험 22.1 23.6 22.6

농업기술센터 14.3 10.4 13.0

작목반장 등 주변 지인 5.2 15.3 8.6

제품에 표시된 정보 29.9 19.4 26.4

비료 구입처의 시비 관련 컨설팅 4.5 14.6 7.9

인터넷, 잡지, 신문, 정보지 등 0.6 3.5 1.6

<표 3-22> 부산물비료 시비량 결정 방법

단위: %

주 1) 친환경+관행농가 n=178(1순위), 174(2순위), 관행농가 n=154(1순위), 144(2순위).

2) 가중평균은 (1순위x2/3 + 2순위x1/3)로 계산함.

자료: 농업인 조사 결과.

농가 유형에 관계없이 부산물비료 사용으로 인해 화학비료 사용량이 상당 수준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친환경+관행농가의 48.0%가 화학비료 사용량이 10∼

30% 감소하였다고 응답하였으며, 41.1%는 30% 이상 감소하였다고 응답하였으 며, 관행농가에서도 44.4%가 10∼30% 감소, 33.3%가 30% 이상 감소하였다고 응 답하였다. 화학비료 사용량이 반대로 증가하였다는 농가 비율은 친환경+관행농 가, 관행농가 각각 6.8%, 10.4%로 나타났다.

제3장 친환경농자재 산업의 실태와 문제점 | 61

구분 30% 이상 감소

10∼30%

감소

10% 감소∼

10% 증가

10∼30%

증가

30% 이상 증가

친환경+관행농가 41.1 48.0 4.0 1.7 5.1

관행농가 33.3 44.4 11.8 3.9 6.5

<표 3-23> 부산물비료 사용에 따른 화학비료 사용량 변화

단위: %

주 1) 친환경+관행농가는 친환경농업과 관행농업을 함께 영위하는 농가를 나타냄.

2) n=175(친환경+관행농가), n=153(관행농가) 자료: 농업인 조사 결과.

유기질비료와 부숙유기질비료는 주로 농협(각각 56.6%, 54.7%)에서 구매하는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이외 시판상(각각 14.8%, 13.9%), 행정기관(각각 14.1%, 14.6%)이 주 구입처로 나타났다. 미생물비료는 행정기관을 통해 구입하는 비율이 37.9%로 가장 높았으며, 26.0%는 농협, 21.9%는 시판상을 통해 구입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모든 부산물비료 종류에서 이장/작목반장, 제조회사 등을 통해 구매 하는 비율은 상대적으로 낮았다.

구분 비율

유기질비료

행정기관 14.1

농협 56.6

시판상 14.8

이장/작목반장 8.8

제조회사 5.7

부숙유기질비료

행정기관 14.6

농협 54.7

시판상 13.9

이장/작목반장 8.4

제조회사 8.4

미생물비료

행정기관 37.9

농협 26.0

시판상 21.9

이장/작목반장 5.9

제조회사 8.2

<표 3-24> 부산물비료 종류별 구입 경로

단위: %

주 1) n=288.

2) 행정 기관은 농업기술센터나 기초지자체 등을 의미함.

자료: 농업인 조사 결과.

6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