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요약 및 시사점

친환경농자재 산업의 실태와 문제점

3. 유기농업자재

3.6. 요약 및 시사점

110 |

구분 비율

가격이 비싸서 38.0

효과가 높지 않아서 27.4

품질이 안정적이지 않아서 12.0

적용 가능한 작물 수가 부족해서 11.1

사용 지침이 명확하지 않아서 7.2

기타 4.3

<표 3-73> 유기농업자재를 사용하지 않는 이유

단위: %

주: n=208.

자료: 농업인 조사 결과.

제3장 친환경농자재 산업의 실태와 문제점 | 111 업체가 중소기업 기피, 열악한 작업환경 등으로 인해 인력 확보에 어려움이 있다 고 응답하였다.

유기농업자재 생산업체는 부산물비료 생산업체에 비해 보다 적극적으로 R&D 에 참여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구체적으로 60%가 넘는 토양개량·작물생 육용 유기농업자재 생산업체와 85%가 넘는 병해충관리용 유기농업자재 생산업 체가 최근 3년간 R&D 사업을 진행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유기농업자재 생산업체의 약 67%가 자체 연구소 혹은 개발부서를 보유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 었다. 이러한 유기농업자재 생산업체의 높은 R&D 투자는 유기농업자재의 제품 자체가 다양하며, 품질 차별화를 통해 충분한 영업이익 증가가 가능하기 때문으 로 생각된다.

유기농업자재의 판매 비중은 토양개량·작물생육용 유기농업자재가 약 35%, 병해충 방지용 유기농업자재가 약 65%를 차지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또한 30%

이상의 업체가 생산하는 유기농업자재가 부산물비료 혹은 유기농업자재로 등록 되어 있으며, 등록된 제품은 해당 업체의 유기농업자재 판매액에 매우 큰 비중을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10% 이상의 업체가 부산물비료 등록 후 매출이 증가하였다고 응답하였다.

유기농업자재 생산업체 운영에서 가장 어려운 점은 판매·유통과 원재료 조달인 것 나타났다. 우선, 유기농업자재 생산업체에서 생산된 유기농업자재의 약 70%

는 시판상이나 직거래를 통해 유통되고 있으며, 정부보조사업을 통한 유통 비중 은 다른 친환경농자재보다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유기농업자재 원재료의 40%는 해외에서 조달되며, 원재료는 인건비와 함께 유기농업자재 생산비에서 가 장 큰 비중을 차지한다. 따라서 비정부보조사업, 특히 시판상을 이용한 유통과정 에 발생하는 높은 유통수수료와 원재료의 가격과 수급의 불안정성은 유기농업자 재 생산업체의 안정적 운영에 큰 악영향을 미칠 것으로 생각된다.

다른 친환경농자재와 마찬가지로 대금결제 간 시차와 낮은 판매 수익 역시 유 기농업자재 생산업체의 애로사항으로 지적되었다. 이에 반해 유기농업자재 허용 물질 혹은 효능효과표시제 등을 포함한 유기농업자재 관련 제도를 가장 어려운 점

112 |

으로 선택한 생산업체 비중은 상대적으로 작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농가조사 결과, 절반 이상의 관행농가 역시 화학투입재 사용을 줄이기 위해 유 기농업자재를 사용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부산물비료나 천연식물보호 제로 등록된 제품에 대한 소비액이 그렇지 않은 제품에 비해 더 큰 것으로 나타났 다. 또한 유기농업자재 구입 농가 중 86%가 등록된 제품을 선호하며, 이는 등록된 제품이 품질이 더 좋을 것 같기 때문이라 응답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농업인들이 유기농업자재의 품질을 구분하는 기준으로 「비료관리법」 혹은 「농약관리법」을 고려하고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농업인들은 유기농업자재 구매 기준으로 효과를 가장 중요시 여기지만, 이에 대한 만족도는 낮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특히 친환경농가들의 만족도는 관행농가보다 더욱 낮았다.

비료등록과 농약등록에 관한 생산업체 조사와 농업인 조사 결과는 유기농업자 재 생산업체와 농업인들 간에 큰 인식의 차이가 있음을 보여준다. 즉, 품질에 대한 농업인의 수요가 비료등록 혹은 농약등록 제품에 대한 선호로 나타나고 있는 것으 로 조사되었다. 하지만 이를 통해 이윤이 증가한 기업의 비중은 10% 정도밖에 되 지 않으며, 기업들 역시 이러한 낮은 이윤창출 가능성으로 인해 품질향상을 위한 노력과 추가적인 비용이 드는 비료등록 혹은 농약등록을 적극적으로 추진하지 않 는 것으로 나타났다.

농업인들은 주로 원활한 공급이 가능한 농협과 시판상을 통해 유기농업자재 구 입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관행농가의 경우, 농협을 통한 유기농업자재 구 입 비중이 친환경농업을 수행하는 농가들에 비해 상대적으로 큰 것으로 나타났으 며, 이는 관행농가들이 친환경농가들에 비해 유기농업자재에 대한 접근성이 떨어 지기 때문으로 판단된다.

농업인들은 유기농업자재에 대한 정보를 주로 지인, 시판상, 지역농협을 통해 얻는다고 응답하였다. 유기농업자재에 대한 정보를 농업기술센터를 통해 얻는 다 고 응답한 농업인들은 11%에 그쳤으며, 제품 표시 정보를 이용하는 비중(6%) 역 시 배우 낮았다. 이는 유기농업자재 표시 기준의 모호함과 연관이 있다. 예를 들어 병해충 방제용 유기농업자재의 경우, 대상 병해충에 대한 정보 없이 대상 작물만

제3장 친환경농자재 산업의 실태와 문제점 | 113 표시되어 있는 제품도 일부 존재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따라서 유기농업자재의 효과적 사용을 위해서는 전문적인 유기농업자재 관련 지식을 갖춘 농업기술센터, 친환경농업연구센터 등의 보다 적극적인 지도사업과 유기농업자재의 효과적 사 용을 위한 표시제 개선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