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친환경농자재 산업의 실태와 문제점

1. 부산물비료

1.2.4. R&D 현황

R&D 참여하고 있는 부산물비료 생산업체 비율은 부산물비료 종류에 따라 큰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구체적으로 부숙유기질비료를 주력으로 생산 하는 업체 156개 업체 중 R&D에 참여하고 있다고 응답한 비중은 21.2%에 불과한 반면, 유기질비료를 주력으로 생산하는 생산업체들과 미생물비료를 주력으로 생 산하는 업체들의 R&D 참여 비중은 각각 45.5%, 66.7%로 부숙유기질비료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구분 업체 수 업체 비율

부산물비료

유기질비료 5 45.5

부숙유기질비료 33 21.2

미생물비료 2 66.7

<표 3-8> 최근 3년간 R&D 진행 부산물비료 생산업체 현황

단위: 개, %

주: 유기질비료 n=11, 부숙유기질비료 n=156, 미생물비료 n=3.

자료: 부산물비료 생산업체 조사 결과.

미생물비료를 제외한 유기질비료, 부숙유기질비료, 토양개량용 유기농업자재 에 대한 R&D 기간은 약 8∼11개월로 길지 않은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비용은 약 5천∼8천만 원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2019년 부산물비료 생산업체의 평균 매 출액(27억 7천만 원)과 영업이익률(2.5%)을 고려하면, 2019년 평균 영업이익은

제3장 친환경농자재 산업의 실태와 문제점 | 49 약 6천 9백만 원으로 추정된다. 따라서 업계 평균 수준의 업체가 영업이익의 대부 분을 사용하여 5천∼8천만 원 수준의 R&D를 진행하기에는 무리가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이를 통해 R&D는 주로 업계 상위권에 위치한 기업에서 진행하고 있을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미생물비료의 R&D 기간 및 비용은 다른 제품에 비해 큰 평균 24개월, 2억 6천 만 원인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러한 높은 R&D 비용은 미생물비료에 대한 R&D 진행을 저해하는 요인으로 작용할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미생물비료 생산업체의 높은 R&D 비용에 비해 미생물비료 생산업체의 높은 R&D 참여 비율은 미생물비 료 시장 내 경쟁을 위해 R&D가 매우 중요한 요소임을 간접적으로 나타낸다.

<그림 3-9> 부산물비료 생산업체 평균 R&D 기간 및 비용

단위: 개월, 백만 원

주 1) 유기질비료 n=4, 부숙유기질비료 n=33, 미생물비료 n=2.

2) 주력 품목에 관한 R&D만 포함시킴.

자료: 부산물비료 생산업체 조사 결과.

유기질비료 생산업체 중 개발부서 또는 자체 연구소를 보유한 비율은 36.4%이 며, 2명 이상의 R&D 담당 직원을 채용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부숙유기질비 료 생산업체의 경우, 개발부서 또는 연구소 보유 비율이 9.6%로 가장 낮았으며, R&D 담당 직원 수도 66.7%가 2명 이하로 상대적으로 적었다. 미생물비료 생산업

50 |

체는 개발부서나 연구소 보유 비율이 66.7%로 가장 높았으며, 응답한 생산업체는 R&D 직원을 3명 채용하고 있다고 응답하였다.

구분 개발 부서 또는 연구소 보유 비율 R&D 담당 직원 수

1명 2명 3명 4명 이상

유기질비료 36.4 0.0 50.0 25.0 25.0

부숙유기질비료 9.6 26.7 40.0 13.3 20.0

미생물비료 66.7 0.0 0.0 100.0 0.0

<표 3-9> 자체 연구소 또는 개발 부서 보유 및 직원 수

단위: %

주: 유기질비료 개발부서 또는 연구소 보유 비율 n=11, 부숙유기질비료 n=156, 미생물비료 n=3, 유기질비료 R&D 담당 직원 수 n=4, 부숙유기질비료 n=15, 미생물비료 n=2.

R&D 추진 시 가장 큰 어려움은 ‘R&D 자금의 부족’(29.4%)으로 조사되었으며,

‘신규 R&D 기획 역량 부족’(21.6%), ‘고급 연구인력 확보 한계’(17.3%), ‘원천기 술 부족’(13.7%)으로 인해 R&D 추진에 어려움을 겪는다는 비율도 높게 나타났 다. 부산물비료 종류별로 주요 어려움에 대한 큰 차이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미생물비료 생산업체의 경우, R&D 자금 부족과 연구 인력을 확보에 어려움을 겪 는다는 응답 비율이 다른 품목에 비해 높았다.

구분 유기질비료 부숙유기질

비료 미생물비료 전체

기술개발 자금 부족 27.3 29.4 55.6 29.7

신규 R&D 기획 역량 부족 18.2 22.4 0.0 21.8

고급 연구인력 확보 한계 18.2 17.0 44.4 17.5

원천기술 부족 9.1 14.4 0.0 13.8

기술개발 중 애로사항 발생 시 독자적 해결역량 부족 12.1 8.9 0.0 8.9

최신 기술동향 확보 한계 6.1 6.2 0.0 6.1

시험분석·실증 등 대형 장비 구축 한계 6.1 0.6 0.0 1.0

R&D 추진을 위한 연구 공간 부족 3.0 0.6 0.0 0.8

기타 0.0 0.4 0.0 0.4

<표 3-10> R&D 추진 시 어려움

단위: %

주 1) 유기질비료 1순위 n=11, 2순위 n=11, 부숙유기질비료 1순위 n=156, 2순위 n=151, 미생물비료 1순위 n=3, 2순위 n=3.

2) 표의 값은 1순위와 2순위의 가중평균이며, (1순위x2/3 + 2순위x1/3)로 계산함.

자료: 부산물비료 생산업체 조사 결과.

제3장 친환경농자재 산업의 실태와 문제점 | 51

1.3. 부산물비료 판매 및 유통 현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