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유기농업자재 생산업체 운영의 어려움

친환경농자재 산업의 실태와 문제점

3. 유기농업자재

3.4. 유기농업자재 생산업체 운영의 어려움

102 |

구분 비율

2017년 2018년 2019년

토양개량·작물생육용 유기농업자재

지역농협(보조사업+비보조사업) 52.7 51.5 52.6

비보조사업-시판상 31.0 32.8 32.0

비보조사업-농업인 직거래 16.2 14.3 15.5

병해충관리용 유기농 업자재

지역농협(보조사업+비보조사업) 34.9 33.1 32.4

비보조사업-시판상 47.7 47.1 45.7

비보조사업-농업인 직거래 17.5 19.8 21.9

<표 3-63> 유기농업자재 유통경로별 판매 비중

단위: %

주 1) 토양개량·작물생육용 n=72, 병해충관리용 n=37.

2) 토양개량·작물생육용 유기농업자재 중 유기질비료지원사업을 통해 유통되는 제품은 제외함. 병해충 관 리용 유기농업자재 중 농약 계통출하를 통해 유통되는 제품은 제외됨.

자료: 유기농업자재 생산업체 조사 결과.

제3장 친환경농자재 산업의 실태와 문제점 | 103

<표 3-64>의 영역별 어려움을 구체적으로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원 재료 조달의 경우, 다른 친환경농자재와 마찬가지로 ‘높은 원재료 가격 변동성’

(41.7%)이 가장 많은 어려움을 겪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원재료 수급’(24.6%),

‘품질 안정성’(10.7%)이 그 뒤를 따르는 것으로 나타났다.

운영자금 및 투자 부족 영역에서는 다수의 업체가 ‘판매와 대금 결제 간 시 차’(33.3%)로 인한 어려움이 가장 크다고 응답하였다. 또한 ‘낮은 판매 수 익’(32.9%)으로 인한 어려움도 크게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판매 및 유통 영역의 경우 ‘높은 유통 수수료’(35.4%)에 따른 어려움이 가장 크 다고 응답하였으며, ‘판매되는 제품의 사후관리 어려움’(20.7%)도 큰 것으로 나타 났다. 인터뷰 조사 결과 이러한 사후관리의 어려움으로 인해 생산업체들이 직거래 보다는 유통업체를 통해 유통하길 선호한다는 의견이 있었으며, 이러한 기업들의 선호가 결과적으로 높은 유통 수수료의 원인으로 작용한 것으로 유추할 수 있다.

제도 및 민원에서는 여러 세부 항목에 대해 응답률이 비슷하게 나타났다. 먼저

‘높은 유기농업자재지원사업 계약 가능 기준’(23.8%)에 대한 응답률이 가장 높았 다. 이는 농협중앙회가 일정 규모 이상인 생산업체를 대상으로 계약을 체결하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된다. ‘제한적인 유기농업자재 허용물질’(20.3%)로 인한 어려 움도 제시되었다. 이는 허용물질에 대한 추가, 업데이트 등에 대한 생산업체의 요 구가 크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외에도 ‘대기환경보전법 등 환경규제 및 악취 관련 민원’(19.8%), ‘높은 유기농업자재 효능·효과 표시 기준’(15.9%)이 제도적 어려움 으로 작용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마지막으로 인력 수급과 관련하여, ‘전문 인력 확보’(43.8%)에 가장 큰 어려움 을 겪고 있으며 이는 주로 R&D 인력 확보와 관련한 어려움으로 해석된다. 또한

‘작업장의 인력 수급에 대한 불안’(23.9%)도 주요 어려움 중 하나로 제시되어 생 산업체들이 전반적인 R&D 인력뿐만 아니라 인력 수급에 어려움을 느끼고 있는 것으로 유추된다.

104 |

구분 1순위 2순위 가중평균

원재료 조달

높은 원재료 가격 변동성 47.6 29.8 41.7

불안정한 원재료 수급 22.6 28.6 24.6

원재료의 안정성 및 관련 정보의 부족 21.4 25.0 22.6

원재료의 불확실한 품질 8.3 15.5 10.7

기타 0.0 1.2 0.4

안정적 인력 수급

전문인력 부족 51.2 28.9 43.8

작업장 인력 수급 불안 21.4 28.9 23.9

최저임금 상승으로 인한 인건비 부담 20.2 19.3 19.9

제한된 노동시간(주 52시간 등) 7.1 22.9 12.4

운영자금 및 투자 부족

판매와 대금 결제 간 시차 38.1 23.8 33.3

낮은 판매 수익 35.7 27.4 32.9

미수재고 등 판매자금 회수 어려움 14.3 19.0 15.9

높은 R&D 및 시설 투자비용, 불확실성 8.3 16.7 11.1

대금 결제 관련 수수료 3.6 11.9 6.4

기타 0.0 1.2 0.4

판매 및 유통

높은 유통 수수료 45.2 15.7 35.4

판매되는 제품의 사후관리 어려움 23.8 14.5 20.7

낮은 제품 차별화 11.9 25.3 16.4

유기농업자재지원사업으로 인한 가격 인하 8.3 21.4 12.7

판매확대를 위한 과도한 판촉활동 8.3 22.9 13.2

기타 2.4 0.0 1.6

관련 제도 및 민원

높은 유기농업자재지원사업 계약 가능 기준 27.4 16.7 23.8

제한적인 유기농업자재 허용물질 17.9 25.0 20.3

대기환경보전법 등 환경규제 및 악취 관련 민원 23.8 11.9 19.8

높은 유기농업자재 효과·효능표시 기준 9.5 28.6 15.9

과도한 공시비용 및 절차(효과·효능표시 포함) 14.3 10.7 13.1

유기농업자재 사용과 관련된 지도사업의 부재 7.1 7.1 7.1

<표 3-65> 유기농업자재 사업 관련 분야별 어려움

단위: %

주 1) 1순위 n=84, 2순위 원재료 조달 n=84, 2순위 안정적 인력 수급 n=83, 2순위 운영자금 및 투자 부족 n=84, 2순위 판매 및 유통 n=83, 2순위 관련 제도 및 민원 n=84.

2) 가중평균은 (1순위x2/3 + 2순위x1/3)로 계산함.

자료: 유기농업자재 생산업체 조사 결과.

제3장 친환경농자재 산업의 실태와 문제점 | 1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