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요약 및 시사점

친환경농자재 산업의 실태와 문제점

2. 천연식물보호제

2.6. 요약 및 시사점

84 |

천연식물보호제에 대한 정보와 관련하여, 농가들은 주로 시판상(21.4%), 작목 반장 등 주변 지인(21.2%), 지역농협(19.7%), 인터넷(18.0%) 등을 통해 습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농업기술센터(8.5%), 제품에 표시된 정보(5.1%) 등을 통해 정보 를 습득한다고 응답한 농가의 비율은 상대적으로 낮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구분 1순위 2순위 가중평균

지역농협 22.2 14.9 19.7

시판상 24.0 16.2 21.4

농업기술센터 7.2 11.0 8.5

작목반장 등 주변 지인 19.8 24.0 21.2

인터넷 19.2 15.6 18.0

제품에 표시된 정보 2.4 10.4 5.1

인쇄 매체(잡지, 신문, 정보지 등) 4.2 7.8 5.4

기타 1.2 0.0 0.8

<표 3-45> 천연식물보호제에 대한 정보 습득 경로

단위: %

주 1) 1순위 n=167, 2순위 n=154.

2) 가중평균은 (1순위x2/3 + 2순위x1/3)로 계산함.

자료: 농업인 조사 결과.

제3장 친환경농자재 산업의 실태와 문제점 | 85 을 미칠 수 있다.

설문조사 결과 미생물농약 생산업체의 평균 매출액은 12억 원 수준이며, 생화 학농약 생산업체의 평균 매출액은 다른 친환경농자재 생산업체보다 훨씬 큰 1,500억 이상인 것으로 조사되었다. 하지만 규모가 큰 생화학농약 생산업체의 매 출액에서 생화학농약이 차지하는 비중은 매우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원료비와 인건비가 천연식물보호제 생산업체의 경영비에서 가장 큰 비중 을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천연식물보호제 생산업체의 경우, 평균 100명 이상 의 정규직 근로자를 고용하고 있지만, 중소기업 기피 현상과 낮은 급여 등으로 인 해 인력 확보에 어려움이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천연식물보호제 생산업체 대부분이 높은 R&D 비용과 기간에도 불구하고 현재 R&D를 진행하고 있으며, 자체 연구소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그러나 고급 연구인력 확보와 비싼 R&D 비용으로 인해 R&D 추진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천연식물보호제의 유통경로로는 시판상이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으며, 농협계 통출하와 농업인 직거래가 그 뒤를 따르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는 기술력을 바 탕으로 한 제품 차별화를 추구하는 천연식물보호제 업체에게는 계통출하보다는 시장을 통한 유통이 보다 유리하게 작용할 수 있기 때문으로 해석된다.

천연식물보호제 생산업체 운영에 가장 큰 어려움은 판매와 유통과 관련 제도인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판매와 유통 관련하여서는 과도한 판매 장려금과 높은 유통 수수료, 관련 제도 관련하여 지도사업의 부재와 과도한 인증비용과 절 차가 천연식물보호제 생산업체 운영의 가장 큰 어려움으로 작용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농가 설문조사 결과, 친환경농업과 관행농업을 함께 영위하는 농가의 절반 이 상이 천연식물보호제를 사용하고 있는 반면, 관행농가의 경우 60% 이상이 천연 식물보호제를 사용하지 않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또한 절반 이상의 농가에서 천 연식물보호제 사용으로 인해 화학농약 사용량이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 으로 친환경 농업과 관행농업을 동시에 수행하는 농가(관행농업만을 수행하는 농

86 |

가)의 경우, 68%(50%) 이상의 농가들이 천연식물보호제 사용으로 인해 화학농약 의 사용이 10% 이상 감소하였다고 응답하였다.

천연식물보호제 구입을 위해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는 기준으로 절반 가까운 농 가들이 효과·효능을 선택하였지만, 천연식물보호제의 효과·효능에 대한 농가들 의 만족도는 상대적으로 낮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또한 천연식물보호제를 사용하 지 않는 이유는 높은 가격과 낮은 방제가 때문인 것으로 나타났다.

천연식물보호제에 대한 구매와 정보 습득은 같은 장소에서 이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농가들은 다양한 제품이 있으며 구입한 제품을 원활하게 공급해 주는 농협과 시판상을 통해 천연식물보호제를 주로 구입하는 것으로 나타 났다. 또한 천연식물보호제 관련 정보의 주요 습득 경로는 시판상과 주변 지인 그 리고 농협인 것으로 조사되었다.

하지만 전문적인 지식을 가지고 있는 농업기술센터를 통해 정보를 얻는다고 응 답한 농업인의 비중은 10% 미만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천연식물보호제의 효 과적인 활용을 위한 지도사업이 매우 부족함을 의미한다. 또한 이러한 지도사업 의 부재는 천연식물보호제 생산업체가 느끼는 중요한 제도적 애로사항 중의 하나 로 꼽히고 있다. 따라서 농협과 농업기술 센터 등의 보다 적극적인 지도사업을 통 해 천연식물보호제에 대한 불확실성을 줄이려는 노력이 필요하며, 이러한 노력은 천연식물보호제 시장 확대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생각된다.

마지막으로 생산되고 있는 모든 천연식물보호제가 병해충 방지용 유기농업자 재로 공시를 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천연식물보호제 업체들이 천연식물보호 제 시장보다 확실한 수요가 존재하며, 품질의 우위가 있는 병해충 방지용 유기농 업자재 시장을 선호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하지만 천연식물보호제 생산업체들의 병해충 방지용 유기농업자재 시장에 대 한 선호는 자칫 생산업체들의 R&D 유인을 줄이거나 천연식물보호제 산업의 대외 경쟁력을 약화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 따라서 천연식물보호제 시장 활성 화를 위해서는 앞서 언급한 지도사업뿐만 아니라 병해충 방지용 유기농업자재 공 시 기준과 「농약관리법」을 포함한 관련 제도의 개선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제3장 친환경농자재 산업의 실태와 문제점 | 8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