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유기농업자재 이용 실태

친환경농자재 산업의 실태와 문제점

3. 유기농업자재

3.5. 유기농업자재 이용 실태

제3장 친환경농자재 산업의 실태와 문제점 | 105

106 |

났다. 병해충관리용 유기농업자재 지출 비중은 36.6% 수준이었으며, 병해충관리 용 유기농업자재 또한 천연식물보호제 등록 제품 비중이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관행농가의 경우, 토양개량·작물생육용 유기농업자재에 대한 지출 비중은 71.7%로 병해충 관리용 유기농업자재에 대한 지출 비중(28.2%)보다 큰 것으로 조사되었다. 또한 부산물비료 혹은 천연식물보호제로 등록된 제품이 차지하는 비 중이 각각 56.7%, 22.0%로 미등록된 유기농업자재보다 더 큰 것으로 조사되었다.

구분 비율

친환경농가

[토양개량 및 작물생육용] 부산물비료 등록 제품 57.2

[토양개량 및 작물생육용] 부산물비료 미등록 제품 6.7

[병해충관리용] 천연식물보호제 등록 제품 28.9

[병해충관리용] 천연식물보호제 미등록 제품 7.2

친환경+관행농가

[토양개량 및 작물생육용] 부산물비료 등록 제품 52.2

[토양개량 및 작물생육용] 부산물비료 미등록 제품 11.3

[병해충관리용] 천연식물보호제 등록 제품 29.4

[병해충관리용] 천연식물보호제 미등록 제품 7.2

관행농가

[토양개량 및 작물생육용] 부산물비료 등록 제품 56.7

[토양개량 및 작물생육용] 부산물비료 미등록 제품 15.0

[병해충관리용] 천연식물보호제 등록 제품 22.0

[병해충관리용] 천연식물보호제 미등록 제품 6.2

<표 3-67> 유기농업자재 종류 및 지출 비중

단위: %

주 1) 친환경농가 n=204, 친환경+관행농가 n=134, 관행농가 n=93.

2) 친환경+관행농가는 친환경농업과 관행농업을 함께 영위하는 농가를 나타냄.

3) 비율은 금액을 기준으로 나타낸 값으로 가격의 효과를 포함하고 있음.

자료: 농업인 조사 결과.

농가들이 유기농업자재 구입 시 가장 중요한 기준은 효과(46.1%)로 나타났으 며, 품질의 안정성(28.1%), 가격(15.1%)이 그 뒤를 따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다른 친환경농자재와 마찬가지로 유기농업자재 구입 역시 가격보다는 제품의 효 과에 더 큰 영향을 받음을 의미한다. 이에 반해 원료의 종류(5.3%), 브랜드(0.6%) 등을 중요하게 고려하는 농가의 비율은 상대적으로 매우 낮았다.

제3장 친환경농자재 산업의 실태와 문제점 | 107

구분 1순위 2순위 가중평균

효과 54.5 29.2 46.1

품질의 안정성 27.2 30.0 28.1

가격 10.4 24.3 15.1

원료의 종류 3.4 9.1 5.3

주변 추천 3.4 6.9 4.6

브랜드 0.7 0.4 0.6

기타 0.4 0.0 0.2

<표 3-68> 유기농업자재 구입 시 고려하는 기준

단위: %

주 1) 1순위 n=556, 2순위 n=506.

2) 가중평균은 (1순위x2/3 + 2순위x1/3)로 계산함.

자료: 농업인 조사 결과.

구분 토양개량 및 작물생육용 병해충관리용

평균 점수 표본 수 평균 점수 표본 수

친환경농가

제품 가격 2.5 310 2.1 297

품질 2.9 302 2.7 297

서비스 2.8 301 2.7 298

종합 3.3 302 2.6 295

친환경+관행농가

제품 가격 2.5 134 2.3 125

품질 2.9 134 2.7 89

서비스 2.7 132 2.5 121

종합 2.8 127 2.6 120

관행농가

제품 가격 2.5 93 2.4 80

품질 3.0 93 3.0 56

서비스 2.9 90 2.8 76

종합 2.8 87 2.8 76

<표 3-69> 유기농업자재 종류별 만족도

단위: 점, 호

주 1) 친환경+관행농가는 친환경농업과 관행농업을 함께 영위하는 농가를 나타냄.

2) 만족도는 1점부터 5점까지 5점 척도를 기준으로 조사하였으며, 점수가 높을수록 만족도가 높음을 의미함.

자료: 농업인 조사 결과.

전반적으로 유기농업자재에 대한 만족도는 종류와 관계없이 크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항목별로는 제품 가격에 대한 만족도가 가장 낮았으며, 품질에 대해서 는 다른 항목에 비해 만족도가 더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친환경농가의 경우, 토 양개량·작물생육용 유기농업자재에 대한 만족도(3.3점)가 병해충관리용 유기농 업자재(2.6점)에 비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나 두 품목에 대한 관행농가의 만 족도 차이는 크지 않았다.

108 |

유기농업자재는 농가 유형과 관련 없이 농협과 시판상을 통한 구입 비율이 가 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관행농가는 농협을 통한 유기농업자재 구입 비율 이 54.2%에 달하였다.

구분 비율

친환경농가

행정기관 7.9

농협 31.6

시판상 28.4

이장/작목반장 5.2

제조회사 13.8

자가 생산 9.1

기타 4.0

친환경+관행농가

행정기관 5.6

농협 38.5

시판상 23.8

이장/작목반장 15.4

제조회사 11.2

자가 생산 3.5

기타 2.1

관행농가

행정기관 3.1

농협 54.2

시판상 26.0

이장/작목반장 8.3

제조회사 8.3

자가 생산 0.0

기타 0.0

<표 3-70> 유기농업자재 구입 경로

단위: %

주 1) 친환경농가 n=405, 친환경+관행농가 n=143, 관행농가 n=96.

2) 친환경+관행농가는 친환경농업과 관행농업을 함께 영위하는 농가를 나타냄.

자료: 농업인 조사 결과.

농가들은 유기농업자재에 대한 정보를 주로 구입처나 지인으로부터 습득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구체적으로 농가들은 유기농업자재에 대한 정보를 주로 작 목반장 등 주변 지인(24.3%), 시판상(19.0%), 지역농협(17.2%)으로부터 얻는 다 고 응답하였으며, 그 외에도 인터넷(13.6%), 농업기술센터(11.7%), 제품에 표시 된 정보(5.8%), 인쇄 매체(6.5%) 등 다양한 경로를 통해 습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제3장 친환경농자재 산업의 실태와 문제점 | 109

구분 1순위 2순위 가중평균

지역농협 18.5 14.7 17.2

시판상 19.0 19.0 19.0

농업기술센터 11.9 11.2 11.7

작목반장 등 주변 지인 24.9 23.1 24.3

인터넷 15.1 10.6 13.6

제품에 표시된 정보 3.9 9.6 5.8

인쇄 매체(잡지, 신문, 정보지 등) 4.4 10.6 6.5

기타 2.1 1.2 1.8

<표 3-71> 유기농업자재에 대한 정보 습득 경로

단위: %

주 1) 1순위 n=562, 2순위 n=490.

2) 가중평균은 (1순위x2/3 + 2순위x1/3)로 계산함.

자료: 농업인 조사 결과.

농가들은 유기농업자재 구입 시 부산물비료나 천연식물보호제로 등록된 여부 가 상당한 영향(86.1%)을 미친다고 응답하였다. 영향을 미치는 이유는 ‘품질이 좋 을 것 같아서’(61.7%)라는 응답이 가장 많아 부산물비료나 천연식물보호제로 등 록된 제품의 효과성이 더 높음을 다수의 농가가 인식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구분 영향을 미치는지 여부

영향을 미치는 이유

정책적 지원이 더 커서 품질이 좋을 것 같아서 구입이 용이해서 기타

비율 86.1 23.8 61.7 7.7 6.8

<표 3-72> 부산물비료 또는 천연식물보호제 등록 여부가 유기농업자재 구입에 영향을 미치는지 여부 및 이유

단위: %

주: 영향을 미치는지 여부 n=561, 영향을 미치는 이유 n=483.

자료: 농업인 조사 결과.

유기농업자재를 사용하지 않는 이유는 주로 ‘가격이 비싸고’(38.0%), ‘효과가 높지 않기 때문인 것’(27.4%)으로 조사되었다. 가격이 비싸서 구입하지 않는 비율 이 낮은 효과보다 더 높게 나타난 것은 농업인들의 가격에 대한 불만이 효과에 대 한 불만보다 큰 점이 반영된 결과라 유추할 수 있다<표 3-69>. 한편, 효과, 안정성 등 ‘품질 때문에 구입하지 않는다’는 비율도 높게 나타나 농가들의 유기농업자재 사용 확대를 위해서는 품질 개선이 필요함을 알 수 있다.

110 |

구분 비율

가격이 비싸서 38.0

효과가 높지 않아서 27.4

품질이 안정적이지 않아서 12.0

적용 가능한 작물 수가 부족해서 11.1

사용 지침이 명확하지 않아서 7.2

기타 4.3

<표 3-73> 유기농업자재를 사용하지 않는 이유

단위: %

주: n=208.

자료: 농업인 조사 결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