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친환경농자재 산업의 실태와 문제점

3. 유기농업자재

3.1. 산업 현황

제3장 친환경농자재 산업의 실태와 문제점 | 87

88 |

<그림 3-18> 유기농업자재 시장 유통구조

자료: 저자 작성.

또한 유기농업자재 시장은 다른 시장과 달리, 농업인이 자체 생산하거나 농업 기술센터에서 무상으로 지역 농업인에게 제공하는 부분이 있으며 이를 공식적인 통계에서 파악하기에는 한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유기농업자재 생산업체 입 장에서는 농업기술센터을 통한 보급 등이 시장 활성화 저해 요인으로 인식되고 있 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유기농업자재는 원재료를 국내에서 52.1%, 해외에서 39.8% 조달하는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직접 생산하는 비율은 8.2%로 나타났다. 한편, 유기농업자재는 친 환경 농업인의 경우, 주로 농협(31.6%)과 시판상(28.4%)을 통해 공급되었으며, 자가 생산의 비율이 9.1%로 다른 농업인 유형에 비해 높게 나타났다. 친환경농업 과 관행농업을 함께 영위하는 농가의 경우, 동일하게 농협(38.5%)과 시판상 (23.8%)을 통한 공급 비중이 높았으며, 작목반 등을 통해 공급받는 비율이 15.4%

로 상대적으로 높게 조사되었다. 관행 농업인은 농협을 통해 54.2%를 공급받아 다른 농업인 유형에 비해 약 15~23%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제3장 친환경농자재 산업의 실태와 문제점 | 89

<그림 3-19> 유기농업자재 조달 및 친환경 농업인 공급 비중(금액 기준)

자료: 유기농업자재 생산업체 조사 결과, 농업인 조사 결과.

<그림 3-20> 유기농업자재 조달 및 친환경+관행 농업인 공급 비중(금액 기준)

자료: 유기농업자재 생산업체 조사 결과, 농업인 조사 결과.

90 |

<그림 3-21> 유기농업자재 조달 및 관행 농업인 공급 비중(금액 기준)

자료: 유기농업자재 생산업체 조사 결과, 농업인 조사 결과.

3.1.2. 가격 결정

유기농업자재는 기본적으로 유기농업자재 공시를 받을 때 공시가격이 설정되 며 ‘국립농산물품질관리원 유기농업자재정보시스템’에 공개된다(예: 25,000원 /500g). 그러나 공시가격과 별개로 유기농업자재지원사업 등 농협중앙회를 통해 공급되는 경우 제조업체와 계약을 통해 계통가격이 별도로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시판상을 통한 유통의 경우에도, 별도의 가격이 설정될 수 있으며 공급 규모에 따 라 가격이 달라질 수 있다.

3.1.3. 산업 규모

유기농업자재 생산량 및 판매량은 2017년 이후 감소 추세인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2019년 유기농업자재 생산량 및 판매량은 2018년 대비 소폭 증가한 170만 톤, 125만 톤 수준으로 2017년 대비 약 16.6%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전 체 생산량과 판매량 중 토양개량·작물생육용 유기농업자재가 차지하는 비중은 약

제3장 친환경농자재 산업의 실태와 문제점 | 91 98%인 것으로 나타나, 토양개량·작물생육용 유기농업자재 생산이 산업의 대부분 을 차지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유기농업자재의 시장 규모는 2019년 판매액 기준 약 6,672억 원 수준으로 조사 되었으며, 이 중 토양개량·작물생육용 유기농업자재가 5,908억 원, 병해충용 유기 농업자재는 764억 원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국립농산물품질관리원 내부자료).

연도

생산량 판매량

토양개량·

작물생육용

병해충

관리용 합계 토양개량·

작물생육용

병해충

관리용 합계

2017 2,026 13 2,039 1,429 13 1,442

2018 1,680 10 1,690 1,228 9 1,237

2019 1,685 15 1,700 1,237 15 1,252

<표 3-47> 유기농업자재 생산량 및 판매량

단위: 천 톤

자료: 국립농산물품질관리원 내부자료.

3.2. 유기농업자재 생산업체 현황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