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매출효율성(revenue efficiency)

친환경농자재 범위와 구조

2.4. 매출효율성(revenue efficiency)

본 연구에서는 메타프론티어 분석을 이용하여 친환경농자재 생산업체들이 속 한 산업 간의 매출효율성을 비교 분석하였다.6) 메타프론티어를 활용한 매출효율

6) 메타프론티어 분석을 위해 Huang et al.(2014)의 방법론을 적용하였으며, 확률적 프론티어 추정에 는 초월대수 함수 형태를 바탕으로 Lee & Schmidt(1993)를 이용하였다. 투입재로는 디플레이트한 원재료비, 자본 서비스, 경비, 인건비를 이용하였다. 단, 기업의 수가 적은 화학 살균·살충제 및 농업 용 약제 제조업은 본 분석에서 제외하였다.

제2장 친환경농자재 범위와 구조 | 29 성 분석은 기업 간 매출의 차이가 산업의 외적인 여건(예를 들어, 정부 정책 혹은 사회기반시설 등)에 의한 것인지, 아니면 산업에 속한 기업들의 비효율성 때문인 지를 식별할 때 사용할 수 있다.

메타프론티어를 활용한 매출효율성 분석은 아래 <그림 2-2>를 통해 설명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산업 1에 속하는 한 업체의 투입재와 매출액이 아래 <그림 2-2>

의 점 A와 같다고 한다면, 산업 1만을 고려한 이 업체의 산업 내 매출효율성 (revenue efficiency, 이하 RE)은 C/E로 나타낼 수 있다. 여기서 산업 1이라 표시되 어 있는 포락선은 산업1에 속한 기업들이 주어진 투입재로 발생시킬 수 있는 최대 매출액을 나타낸다. 따라서 산업 내 매출효율성은 동일한 외부 여건하에서의 기 업들의 매출효율성을 나타낸다.

전체 산업이라 표시된 포락선은 산업 1, 2, 3을 포함한 전체 기업들이 주어진 투 입재를 바탕으로 발생시킬 수 있는 최대 매출액을 의미한다. 여기서 E/F는 주어진 투입재하에서 발생시킬 수 있는 산업 1의 최대매출액과 전체 산업의 최대매출액 비율, 즉 매출효율격차(revenue efficiency gap, 이하 REG)를 나타내며, 매출효율 격차가 클수록 산업의 외적인 조건으로 인해 발생하는 비효율성이 크다고 해석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C/F는 전체 산업이라 표시된 포락선을 기준으로 한 기업의 매출효율성, 메타매출효율(Meta revenue efficiency, 이하 MRE)을 의미하며, 이 는 산업체의 산업 내 효율성과 산업 간의 매출격차비율을 곱으로 계측할 수 있다.

30 |

<그림 2-2> 메타프론티어를 바탕으로 한 매출효율성 분석

자료: O’Donnell et al.(2008)의 자료를 수정함.

분석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메타매출효율성은 생물 살균·살충제 및 식물보호제 제조업을 주력으로 하는 친환경농자재 생산업체들(0.55)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화학비료 제조업(0.43)과 유기질비료 및 상토제조업 (0.37)을 주력으로 하는 친환경농자재 생산업체들이 그 뒤를 따르는 것으로 분석 되었다. 둘째, 화학비료 제조업을 주력으로 하는 친환경농자재 생산업체들의 메 타매출효율성은 증가추세인 반면, 다른 산업에 속한 친환경농자재 생산업체들의 메타매출효율성은 감소 추세인 것으로 분석되었다. 셋째, 산업 내 매출효율성은 생물 살균·살충제 및 식물보호제 제조업(0.72)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화 학비료 제조업(0.64)과 유기질비료 및 상토제조업(0.47)이 그 뒤를 따르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특히 친환경농자재(특히 유기질비료 및 상토 제조업)를 주력으로 하 는 친환경농자재 생산업체들의 평균 산업 내 매출효율성은 화학비료제조업이나 기타 산업을 주력으로 하는 친환경농자재 생산업체들의 평균 산업 내 매출효율성 에 비해 매우 가파르게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산업 간 매출효율성 차이를

제2장 친환경농자재 범위와 구조 | 31 나타내는 매출효율격차는 산업 간 큰 차이보다 연도별 변동이 더욱 큰 것으로 나 타났다. 다섯째, 친환경농자재 생산업체들이 속한 각 산업의 평균 메타매출효율 성은 산업 간의 매출효율 격차보다 산업 내 매출효율성에 큰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들은 앞서 언급한 친환경농자재 생산업체들의 수익성 변화 가 산업 외적인 요소가 아닌 산업 내 비효율성에 의한 것임을 함의한다.

연도

화학비료 제조업 유기질비료 및 상토 제조업

생물 살균·살충제 및

식물보호제 제조업 기타 산업

MRE REG RE MRE REG RE MRE REG RE MRE REG RE 2010 0.39 0.84 0.45 0.80 0.86 0.94 0.82 0.90 0.92 0.47 0.85 0.54 2011 0.30 0.42 0.65 0.04 0.46 0.09 0.48 0.61 0.81 0.21 0.46 0.43 2012 0.53 0.77 0.66 0.71 0.80 0.90 0.55 0.84 0.64 0.39 0.79 0.49 2013 0.11 0.86 0.12 0.83 0.88 0.95 0.61 0.90 0.68 0.40 0.87 0.45 2014 0.24 0.53 0.44 0.06 0.56 0.12 0.49 0.62 0.76 0.20 0.55 0.35 2015 0.38 0.52 0.69 0.07 0.56 0.14 0.40 0.59 0.61 0.19 0.55 0.34 2016 0.68 0.83 0.81 0.66 0.84 0.79 0.55 0.86 0.62 0.14 0.84 0.17 2017 0.50 0.57 0.85 0.07 0.60 0.12 0.46 0.62 0.67 0.18 0.59 0.29 2018 0.53 0.59 0.86 0.09 0.62 0.16 0.49 0.64 0.71 0.33 0.61 0.53 2019 0.62 0.73 0.84 0.37 0.75 0.50 0.64 0.76 0.80 0.43 0.74 0.57 평균 0.43 0.67 0.64 0.37 0.69 0.47 0.55 0.73 0.72 0.29 0.68 0.42 연평균

증가율 (%)

5.45 -1.57 7.06 -8.28 -1.52 -6.75 -2.71 -1.98 -1.53 -0.87 -1.53 0.52

<표 2-8> 친환경농자재 생산업체 매출효율성 분석 결과

주 1) 10차 산업분류를 기준으로 하였으며, 629개 기업 중 산업분류 자료가 없는 5개 기업은 분석에서 제외함.

2) 기업 수가 적은 화학 살균·살충제 및 농업용 약제 제조업은 제외하였음.

자료: 한국기업데이터 친환경농자재 생산업체 재무자료.

3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