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연구 방법 및 추진체계

제1장

4. 연구 방법 및 추진체계

패널 마을 조사는 구조화된 조사표에 의한 패널 마을의 대표자 조사를 기본으 로 한다. 마을 대표자조사는 전문 리서치업체에 의뢰하여 약 한 달간(8~9월 중) 전 체 패널 마을을 대상으로 조사가 이루어졌다. 마을 이장을 통해 마을의 기초적 상 황을 조사하고 1차년도 조사 결과와 비교하는 작업이 이루어졌다. 올해 추가된 패 널 마을에 대해서는 현장 조사를 통해 적합한 마을인지 파악하였으며, 변경된 조 사 항목에 대해서는 예비 조사를 통해 조사의 적절성 및 항목의 유효성 등을 검토 하였다.

최근 발생하고 있는 마을의 물리적 환경 및 정주여건 변화를 확인하기 위해 패 널 마을 현장 조사를 실시하였다. 현장 조사는 변화가 두드러지는 10~15개 마을 (전체 패널 마을의 약 15%)을 선정하여 관찰 조사와 면접 조사를 병행하였다. 특 히 거주 주민을 비롯해 관련 출입민 등에 대한 면접 조사를 추진했다.

심층연구 주제인 과소화 마을과 관계인구의 특징을 분석하기 위해 다음과 같 은 추가 조사를 진행하였다. 과소화 마을의 요인과 실태를 파악하기 위해 한계마 을 및 과소화 마을 관련 국내외 연구 사례를 수집하였고, 패널 마을 중 마을 인구 규모와 인구 감소율을 고려하여 과소화 마을을 선정하고 현지 조사 및 주민 면접 조사를 진행했다. 주요 조사 내용은 가구 구성, 거주 배경, 경제활동, 공동체 활동, 이주 의향 및 정주 수요 등이다. 또한 과소화 마을이 많은 충청남도, 전라북도, 경 상북도의 과소화 마을과 무거주 마을의 실태와 분포, 마을 특성과 인구 변화 경향 을 세 곳의 연구기관에 의뢰하여 조사하고, 이 결과를 패널 마을 조사 결과와 비 교·분석하였다.

관계인구 등장과 농산어촌 마을의 변화를 살펴보기 위해 관련 국내외 문헌 및 사례를 분석하여 관계인구의 유형과 특성을 도출하였다. 관계인구 방문이 활발한 패널 마을을 대상으로 사례 조사를 실시하였고, 마을과 밀접한 교류가 있는 출향 민, 연고자, 활동가 등을 대상으로 심층 인터뷰 조사를 실시하였다. 추가적으로 관

계인구 활동이 활발한 경상남도 농산어촌 마을의 관계인구 특징을 살펴보기 위해 외부 전문가에게 위탁 연구를 의뢰하였다.

본 연구는 대내외 협업을 통한 연구로 추진되었다. 패널 선정 시부터 정책 연계 성을 고려하여 관련 부처 협업을 진행함으로써 패널 조사 사업을 정책 사업의 일 환으로 위상을 정립하였다. 원활한 조사 수행을 위해 사례 마을이 속한 지방자치 단체와 행정 협조체계를 구축하고 도 연구원 등과 협동연구를 추진하였다. 올해 는 전북연구원, 충남연구원, 대구경북연구원, 경남연구원2) 등과 공동연구를 진행 하여 지역별 일부 마을에 대한 조사를 분담하였다.

또한 마을연구포럼을 기획·운영하여 연구 성과를 확산하고, 지속적인 정책 이 슈를 발굴하였다. 원내·외 전문가 및 정책 담당자 등이 참여하여 현실에 기반한 심 화된 논의를 진행하였다(송미령 외 2020). 도 연구원 및 전문가 협업체계를 바탕 으로 농산어촌 마을과 관련한 다양한 후속 연구를 촉발하고 정책 성과를 확산하고 자 한다.

2) 4개 연구기관에 의뢰한 연구는 다음과 같다. 연구 결과를 발췌하여 제4장과 제5장에 수록하였다.

임승현 외. 2021. “전라북도 무거주 마을 실태 및 거주화 원인 분석.” 한국농촌경제연구원 내부자료.

윤정미. 2021. “충청남도 한계마을의 특성과 정책방향.” 한국농촌경제연구원 내부자료.

정회훈. 2021. “경상북도 중산간지 소규모 마을의 특성과 변화 실태 분석.” 한국농촌경제연구원 내 부자료.

자료: 저자 작성.

<그림 1-1> 연구 흐름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