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제4장

2. 농산어촌 과소화 마을 현황

2.3. 공동체 활동

마을의 공동체 활동은 주거 공간으로서 마을의 기능과 지속가능성을 판단할 수 있 는 중요한 지표이다. 마을의 공동체 활동을 파악하기 위해, 과소화 마을과 일반 마을 에서 활동하는 사회조직13)과 주민 화합을 위해 추진하는 공동체 활동14) 수를 조사 하여 비교하였다.

과소화 마을은 마을회, 노인회, 부녀회, 새마을회, 농민회, 상사 관련 계 등 주요한 전통적 사회조직에서의 참여 가구 비율이 높았다<그림 4-4>. 특히 마을회의 경우 전

13) 사회조직은 마을회, 노인회, 청년회, 부녀회, 새마을회, 농민회, 상사 관련 계, 혼사 관련 계, 친목/동 갑/놀이계, 동호회, 마을개발위원, 귀농·귀촌조직, 마을봉사조직 13개 조직의 활동 여부와 참여 가 구 수를 조사하였다.

14) 공동체 활동은 마을 공동 애경사, 공동관리, 마을공동작업, 마을친목모임, 마을 단위 도농교류활동,

체 13개 과소화 마을 중 10개소에서 조직되어 활동 중이며, 80% 이상 가구가 참여하 고 있다. 만약 참여 가구를 13개 과소화 마을 전체가 아닌 마을회가 조직된 10개 마을 로 한정할 경우, 마을 내 모든 가구가 마을회에 참여하고 있다. 같은 방법으로 참여율 을 계산하면, 과소화 마을은 새마을회(77.7%), 농민회(100%), 상사 관련 계(97.6%) 등이 매우 높은 주민 가구 참여율을 보여준다<그림 4-5>. 일반 마을은 청년회와 마을 봉사조직 참여 가구 비율이 과소화 마을에 비해 높다.

자료: 마을 이장 설문조사(n=96) 결과.

<그림 4-4> 마을 100가구당 사회조직 참여 가구 수(중복 허용)

<그림 4-5> 사회조직이 설치된 마을 100가구당 사회조직 참여 가구 수(중복 허용)

과소화 마을 주민은 전통적인 사회조직인 마을회, 노인회, 부녀회 활동에 활발 히 참여한다. 이에 반해 일반 마을은 청년회나 마을봉사조직 등과 같은 사회조직 참여가 높다. 이는 과소화 마을에서 청년회나 마을봉사조직에 참여하여 활동할 청년인구가 부족하여 관련 활동이 이루어지지 않고, 정부에서 지원하는 사회조 직 위주로 마을 공동체 활동이 이루어지는 현실이 반영된 결과로 해석된다. 만약 정부 지원이 줄어들 경우, 과소화 마을의 공동체 활동이 축소될 우려가 있음을 짐 작케 한다.

○ 경북 47개 중산간 과소화 마을의 마을 공동체 활동

- 마을 주민의 협력만으로 마을 공동체 활동이 가능한 마을은 34.5%에 불과하고, 불 가능하다는 마을은 62.1%에 달함.

- 마을 공동체 활동을 유지하기 위해, 외부 인력의 도움이 필요함.

자료: 정회훈(2021).

마을 주민 화합 등을 위해 추진하는 공동체 활동은 마을당 2.8개소로 과소화 마을 2.6개와 일반 마을 2.8개가 서로 비슷하다. 하지만 마을 규모를 고려하면, 과소화 마을은 100가구당 9.7개 공동체 활동이 있지만, 일반 마을은 4.4개에 머 물렀다.

마을 유형 마을 수 공동체 활동 수 마을당

공동체 활동 수 100가구당 공동체 활동 가구 수

과소화 마을 13 34 2.62 9.68

일반 마을 83 230 2.77 4.40

자료: 마을 이장 설문조사(n=96) 결과.

<표 4-6> 마을 공동체 활동 조직 현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