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제3장

3. 소결

2차년도 패널 조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농산어촌 패널 마을에는 평균 77호(중위 가구 수 64호), 147명이 거주하고 있다. 지난 1년간 총량적인 인구 변화 는 크지 않으나, 52.9%의 마을에 전입가구가 발생하는 등 인구이동이 활발하게 이 루어지고 있다. 30.4%의 마을에 정기적으로 방문하는 도시민(관계인구)이 존재하 며 해당 마을들에는 연평균 약 20~30명의 도시민이 방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패널 마을의 경제활동 현황을 살펴보면, 모든 패널 마을에는 농가가 있으며, 농 가는 평균 50호, 비율은 53.1%로 주로 노지 밭농업에 참여한다. 90개 패널 마을에 평균 25호의 비농어가가 있으며 주로 자영업이나 서비스업에 종사한다. 작목반, 영농조합법인을 제외하고 마을 내 경제조직은 많지 않으며, 공동경제활동도 두 레, 품앗이 등 공동농업활동 외에는 침체되어 있다. 반면에 노인회, 부녀회 등의 전통적 사회조직은 여전히 유효하며 공동체 활동도 대체로 지속되고 있다.

패널 마을에는 평균적으로 100호가량의 주택이 있으며 공가(1.7호) 및 폐가 (1.5호), 세컨드 하우스(3.4호) 등의 주택이 분포한다. 패널 마을 주변에 다양한 경

- 작은 텃밭과 8.5평짜리 복층형 독채 20동을 1년 단위로 임대하는 사업으로 30, 40

대 가족 단위가 많이 찾음. 코로나19 이후에 빈방이 없을 정도로 인기가 많아짐.

주: 양평군 명달리 세컨드 하우스(좌), 양평군 봉상2리 세컨드 하우스(임대주택)(우).

자료: 연구진 촬영.

관 및 환경 저해시설이 분포하고 있으며, 대표적 환경 저해시설인 축사는 41개 마 을, 태양광발전시설은 24개 패널 마을에 위치하고 있다.

1차년도 조사결과와 비교하여 나타난 패널 마을의 특징적인 변화로는 첫째, 패널 마을의 총량적인 인구 변화는 크지 않지만 전체적인 인구 유·출입이 매우 활발하며 다양한 유형의 관계인구가 마을을 왕래하고 있다. 둘째, 코로나19의 영향으로 마을의 공동체 활동이 전년도에 비해 크게 쇠퇴하였고 앞으로도 지속될 전망이다. 셋째, 물리적 변화 현상으로 마을 내 주택 중 도시민들의 세컨드 하우스와 농막이 늘어나고 있다.

구분 시군 유형

근교 일반 원격 전체

인구

가구 수(호) 98.3 72.4 67.7 77.4

인구수(명) 200.9 122.0 133.5 146.7

고령화율(%) 57.8 59.9 69.9 62.5

지난 1년간 인구 증감(명) 1.1 0.9 0.8 0.9

전입가구 수(호) 6.9 6.5 2.9 5.4

관계인구 있음(%) 36.0 28.6 28.6 30.4

경제활동

농가 비율(%) 46.9 56.5 53.5 53.1

경제다각화참여가구 수(호) 25 30 11 21

비농어가 수(호) 21 39 14 25

경제조직 있음(%) 72.0 81.0 74.3 76.5

공동경제활동 있음(%) 36.0 61.9 57.1 53.9

마을소유재산 있음(%) 100.0 90.5 100.0 96.1

공동체할동 사회조직 있음(%) 100.0 100.0 100.0 100.0

마을공동체 활동 있음(%) 92.0 95.2 82.9 90.2

물리적환경

주택 수(호) 102.0 119.6 73.6 99.5

노후주택 수(호) 4.6 15.8 9.2 10.8

공·폐가 수(호) 2.8 2.6 4.1 3.2

세컨드 하우스 수(호) 3.8 2.7 3.0 3.1

휴경지 있음(%) 32.0 47.6 62.9 49.0

마을공동시설 있음(%) 100.0 100.0 100.0 100.0

축사있음(%) 32.0 40.5 45.7 40.2

주: 인구 부문은 제주도를 제외한 96개 마을 대상 분석.

자료: 마을이장 설문조사(n=102) 결과.

<표 3-28> 분석 결과 종합

앞선 연구 결과를 종합해 보면, 기존 지대별, 접근성에 따른 유형 구분 이외에 새롭게 나타나는 인구 변화의 방향을 고려하여 다음과 같이 패널 마을의 유형을 구분할 수 있다. 우선 패널 마을의 인구 변화를 기준으로 ① 인구 증가 마을, ② 인 구 유지 마을, ③ 인구 감소 마을로 구분이 가능하다. 특히 인구가 증가 또는 유지 되는 마을 중에서 ④ 교류나 체류하는 관계인구가 있는 마을과 ⑤ 그렇지 않은 마 을로 세분이 가능하다.

이어지는 제4장에서는 세번째 유형인 인구 감소 마을11)의 특성과 변화 요인에 대해 살펴볼 예정이다. 특히 인구 감소로 인해 경제적·사회적 활동이 약해진 마을 을 과소화 마을로 정의하고 일반 마을과 과소화 마을 간 차이를 비교·분석할 것이 다. 마을의 인구 감소가 향후 마을 소멸로 이어질 것인지 전망하고 과소화 마을에 요구되는 정책 수요에 대해 시사점을 얻고자 한다.

제5장에서는 마을의 인구가 유지 또는 증가하는 과정에서 ④ 교류나 체류하는 관계인구가 있는 마을들의 특성을 살펴볼 것이다. 특히 도농교류 활동 및 체험마 을 사업을 성공적으로 수행한 마을들을 대상으로 관계인구의 유형별 특성과 마을 에 미치는 영향 등을 살펴볼 예정이다. 또한 마을의 지속가능성 측면에서 과소화 마을과 관계인구가 많은 마을 간 주민들의 정주 인식을 비교하여 정책적 함의를 도출할 것이다.

11) 단년도 조사 결과만을 토대로 인구 감소 마을로 규정하기에는 무리가 있으므로 패널 마을 중 인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