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마을의 인구·가구 특성

제3장

2.1. 마을의 인구·가구 특성

2.1.1. 인구 분화 및 고령화 심화

전체 102개 패널 마을의 가구 규모를 파악해보면, 50~99호 마을이 43.1%로 가 장 다수를 차지하며, 20~49호인 마을이 29.4%로 나타나 100호 미만 마을이 전체 74.5%를 차지한다. 실거주 가구 기준으로 패널 마을의 중위가구 수는 64호이며 일반농산어촌이 77호로 가장 많고, 원격농산어촌은 56호로 상대적으로 규모가 작 은 편이다<표 3-5>.

구분 시군 유형 전체

(n=102) 근교(n=25) 일반(n=42) 원격(n=35)

가구 수 (상주)

20호 미만 4.0 2.4 0.0 2.0

20~49호 32.0 26.2 31.4 29.4

50~99호 32.0 45.2 48.6 43.1

100~149호 16.0 7.1 14.3 11.8

150호 이상 16.0 19.0 5.7 13.7

합계 100.0 100.0 100.0 100.0

중위가구 수 65 77 56 64

자료: 마을이장 설문조사(n=102) 결과.

<표 3-5> 102개 패널 마을의 가구 규모

단위: %

보다 구체적으로 마을의 평균 인구·가구 수를 살펴보기 위해 102개 패널 마을 중 일반농산어촌에 해당하는 6개 제주도 패널 마을을 제외8)하고 분석하였다.

8) 제주도 6개 패널 마을은 평균 인구수 927명으로 타 행정리에 비해 마을 규모가 상당히 큰 편으로 일 반농산어촌 마을의 인구·가구 특성을 보여주는 데 한계가 있다. 제주도 마을을 포함한 전체 102개 패

<표 3-6>에 나타나듯이 현재 96개 패널 마을에는 평균 77.4호, 147명이 실거주 하고 있으며, 가구당 가구원 수는 평균 1.9명이다. 유형별로는 근교농산어촌에는 약 201명, 원격농산어촌에는 약 134명의 인구가 거주하며, 남녀 성비는 원격 농 산어촌에서 72.7로 상당히 낮다. 패널 마을에 비정기적으로 거주하는 비상주 가 구는 평균 5.6호로 집계되었으며 원격농산어촌 마을에서 비상주 가구 비율은 9.1%로 높다.

구분

시군 유형 (n=96)전체

근교(n=25) 일반(n=36) 원격(n=35)

평균 가구 수 전체 104.4 76.3 74.5 83.0

평균 상주 가구 수(A) 98.3 72.4 67.7 77.4

평균 비상주 가구 수 6.1 3.9 6.8 5.6

비상주 가구 비율 5.8 5.1 9.1 6.7

평균 상주 인구수(B) 200.9 122.0 133.5 146.7

평균 남자 인구수 91.1 55.5 56.2 65.0

평균 여자 인구수 109.8 66.5 77.3 81.7

남녀 성비 83.0 83.5 72.7 79.6

가구당 가구원 수(B/A) 2.0 1.7 2.0 1.9

주: 제주도 패널 마을은 분석에서 제외함.

자료: 마을이장 설문조사(n=96) 결과.

<표 3-6> 평균 가구 수, 인구수(상주, 비상주)

단위: 호, 명, %

연령대별 인구 비율을 살펴보면, <표 3-7>과 같이 패널 마을의 65세 이상 고령 화율은 평균 62.5%로 매우 높고, 75세 이상 고령층도 거의 30%에 달하였다. 읍·

면부 간 인구 구성 차이는 두드러지지 않으나 원격농산어촌 시·군의 고령화가 상 대적으로 심각한 것으로 나타났다. 패널 마을에 40세 이하 청년층 비율은 10% 남 짓에 불과하였으며, 근교농산어촌에 해당하는 마을에 청년층이 상대적으로 많은 편이다.

구분 읍면부 시군 유형

읍부 면부 근교 일반 원격 전체

15세 미만 4.5 4.2 6.0 3.3 3.1 4.2

15~40세 9.1 9.7 11.4 10.7 6.6 9.6

41~65세 20.6 24.3 24.8 26.0 20.4 23.7

65~75세 32.5 32.7 30.3 30.8 36.9 32.7

75세 이상 33.2 29.2 27.5 29.1 33.0 29.8

합계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주: 제주도 패널 마을은 분석에서 제외함.

자료: 마을이장 설문조사(n=96) 결과.

<표 3-7> 연령별 평균 인구 비율

단위: %

패널 마을 내 취약계층은 1차년도 조사 결과와 유사하게 나타났으며, 상당수 패 널 마을에 독거노인가구(97.1%), 장애인가구(70.6%), 기초생활수급가구(92.2%) 등이 거주하고 있다. 패널 마을에는 평균 12호의 독거노인가구와 5호가량의 기초 생활수급가구가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표 3-8>. 102개 패널 마을 중 취약계층 을 위해 자체적인 돌봄 활동이 이루어지는 마을은 9.8%에 불과했으며, 정부 또는 시·군 지원 돌봄사업이 이루어지는 마을은 45.1%에 해당한다.

구분

75세 이상

독거노인 조손가구 장애인가구 기초생활

수급가구 다문화가구

있음 가구 수 있음 가구 수 있음 가구 수 있음 가구 수 있음 가구 수 2020년 98.0 13.3 24.5 2.6 68.6 2.9 91.2 5.9 48.0 2.0 2021년 97.1 11.7 30.4 2.2 70.6 2.5 92.2 4.5 54.9 3.0 자료: 마을이장 설문조사(n=102) 결과.

<표 3-8> 마을 내 취약계층 현황

단위: %, 호

2.1.2. 마을로의 순유입(전입) 진행

패널 마을의 지난 1년간 인구 변화를 분석한 결과, 경기도를 제외한 나머지 시․

도에서는 큰 변화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경기도는 마을 평균 19명의 전입이 이

루어져 8명의 순인구 증가가 있었다. 전남을 제외하면 자연 감소(사망)보다 사회 적 증가(전입)가 아직까지 우세하다. 지역별로는 경기, 강원, 경남, 제주 등에서 전 입이 활발한 반면, 전남지역 패널 마을에는 전입 인구가 거의 없는 것이 특징이다

<표 3-9>.

구분 합계 자연적 증감 사회적 증감

출생 사망 전입 전출

전체 0.83 0.95 2.46 5.09 2.75

경기도 8.42 0.58 1.83 19.08 9.42

강원도 -0.58 0.00 1.67 4.00 2.92

충청북도 0.58 0.08 0.42 0.92 0.00

충청남도 0.92 0.00 0.33 1.25 0.00

전라북도 0.00 0.08 0.50 0.92 0.50

전라남도 -0.92 0.25 1.42 0.42 0.17

경상북도 -0.92 0.17 2.33 2.58 1.33

경상남도 -0.17 0.17 2.42 3.00 0.92

제주도 -0.50 13.50 20.00 22.17 16.17

자료: 마을이장 설문조사(n=102) 결과.

<표 3-9> 지난 1년간 102개 패널 마을의 평균 인구 증감

단위: 명

지난 1년간 패널 마을에 들어온 전입 가구의 유무 현황을 살펴보면, 절반 이상 의 패널 마을(52.9%)에 전입한 가구가 있었다. 1~2호가 전입한 경우가 27.5%로 가장 많았고, 5호 이상 전입이 이루어진 마을도 13.7%를 차지한다.

구분 마을 내

없음(%)

마을 내 있음(%)

전체 1~2호 3~4호 5호 이상

근교농산어촌 48.0 52.0 32.0 8.0 12.0

일반농산어촌 40.5 59.5 21.4 16.7 21.4

원격농산어촌 54.3 45.7 31.4 8.6 5.7

전체 47.1 52.9 27.5 11.8 13.7

<표 3-10> 전입 가구 현황

단위: %, 호

시·도별로는 경기도와 제주도가 각각 평균 21.9호, 8.3호로 전입이 많이 이루어 졌고, 나머지 시·도는 1호 내지 3호 정도의 가구가 전입하였다. 지난 한 해 전입이 가장 많았던 마을은 포천시 내촌면 진목1리(72호), 양평군 서종면 문호4리(50호), 연천군 백학면 구미리(15호), 제주시 구좌읍 송당리(15호), 칠곡군 지천면 송정리 (15호) 등으로 나타났다. 전체 평균 전입 가구 수는 5.7호이다.

자료: 마을이장 설문조사(n=102) 결과.

<그림 3-1> 시·도별 평균 전입 가구 수

<참고> 전입이 많은 패널 마을

◦ 포천시 내촌면 진목1리는 마을 내 각종 제조업 공장 등이 난립한 마을로, 20년 전부터 계속해서 마을 길을 따라 공장이 들어서고 있음.

- 진목1리는 주민등록상 200가구가 넘는 마을이지만 원주민은 50호에 불과하고 나 머지는 공장 인부들이 대다수를 차지함. 공장 인부 대부분은 외국인 노동자이며 주 로 공장에서 숙식하거나 외부에서 출퇴근하고 있음.

주: 포천시 내촌면 진목1리 전경 및 위성사진.

자료: 연구진 촬영; 카카오맵 위성사진(https://map.kakao.com/).

◦양평군 서종면 문호4리는 자연환경이 뛰어난 대표적인 전원주택 마을로 남한강이 내 려다 보이는 산 능선 곳곳에 고급 주택들이 들어서 있음.

- 귀촌인들로만 이루어진 신규 자연마을이 존재하며 마을 길 초입에 차단기를 설치하 여 출입을 제한함. 인근 지역으로 신규 택지개발이 계속해서 이루어지고 있음.

주: 양평군 서종면 문호4리 전경 및 위성사진.

자료: 연구진 촬영; 카카오맵 위성사진(https://map.kakao.com/).

2.1.3. 무연고 가구 및 2인 가구 중심 전입

지난 1년간 전입한 가구별 특성을 <그림 3-2>에 제시하였다. 전입 가구를 귀농·

귀촌 여부, 연고지 여부, 연령대, 가구 구성 등으로 살펴보았다. 패널 마을의 전입 가구 중 귀촌 가구는 42.9%, 귀농 가구는 18.9%를 차지한다. 전체 전입 가구 중 절 반가량(48.4%)이 해당 마을에 연고가 없이 전입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전입 가구 주의 연령대는 60대 이상이 45.2%로 다수를 차지하였으나 40~50대 가구도 34.1%로 상당수를 차지했다. 가구 구성은 2인 가구가 54.8%로 가장 많았고, 1인 가구는 22.6%로 다음을 차지했다.

전입 가구의 거주 형태를 살펴보면, 약 10% 가구는 주말 또는 계절에만 마을에 거주하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특히 강원도 패널 마을에 전입한 가구의 55.6%가 주말 및 계절 거주인 것으로 조사되었다. 한편, 전입신고를 하지 않고 거주하는 가 구도 약 12%로 파악되어 통계상의 주민등록인구와 실제 마을의 인구수에 차이가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주: 전입 가구가 있는 54개 마을 대상 복수응답 결과.

자료: 마을이장 설문조사(n=102) 결과.

<그림 3-2> 전입 가구 특성

단위: %

2.1.4. 다양한 유형의 관계인구 확산

마을과 밀접하게 관계를 맺고 있는 도시민 현황을 파악하기 위해 지난 3년간 해 당 행정리에 정기적으로 방문한 도시민(관계인구)의 유무를 살펴보았다. <그림 3-3>과 같이 102개 패널 마을 중 30.4%의 마을에 관계인구가 존재하는 것으로 조 사되었다. 특히 경기도(75.0%)와 경상북도(41.7%)에 타 시·도에 비해 상대적으로

자료: 마을이장 설문조사(n=102) 결과.

<그림 3-3> 시·도별 관계인구가 있는 마을 비율

마을에 관계인구가 있다고 응답한 31개 패널 마을을 대상으로 유형별 관계인구 유무와 개략적인 인원을 살펴보았다. 정기적으로 방문하는 도시민이 있다는 마을 이 73.1%로 집계되었고, 출향민이나 외부지원조직이 있는 마을도 각각 61.5%, 34.6%로 나타났다. 세부 유형으로는 농어촌 체험활동 참여자(34.6%), 주말농장 임대 및 참여자(26.9%), 향우회 등에 참여하는 출향민(42.3%) 등이 주를 이루었 다<그림 3-4>.

연간 평균적으로 방문하는 관계인구 인원을 조사한 결과, 농어촌 체험활동으로 방문하는 도시민을 제외하고 연간 20~30명가량의 도시민이 마을에 방문하는 것 으로 나타났다<표 3-11>.

주: 관계인구가 있다고 응답한 31개 패널 마을에 대한 복수응답 분석.

자료: 마을이장 설문조사(n=102) 결과.

<그림 3-4> 유형별 관계인구 유무 비율

구분 연평균 방문인원(명)

정기적 방문 도시민

정기적인 농어촌 체험활동 참여자 1,820.9

일 년 살기, 한 달 살기 등 임시 거주자 6.5

주말농장 임대 및 분양 참여자 39.6

농촌유학·산촌유학 참여자 22.5

자원봉사자/ 재능나눔·기부자 25.0

마을사업 등을 운영·관리하는 외부지원자 2.0

영농교육 등 교육 프로그램 참가자 21.8

마을에서 개인창작활동을 하는 사람(집필/그림/사진 등) 3.2

출향민

향우회, 마을개발위원회 등에 참여 17.2

기부금 등 간접적으로 참여 13.8

정기적인 왕래(명절, 제사 제외) 21.7

외부조직 외부지원조직 및 단체 29.4

정기적인 교류 인사, 연구자 등 11.0

주: 관계인구가 있다고 응답한 31개 패널 마을에 대한 복수응답 분석.

자료: 마을이장 설문조사(n=102) 결과.

<표 3-11> 관계인구 유형별 연평균 방문인원

다른 한편, 타 지역에 살면서 해당 마을에 왕래하며 농사를 짓는 출입농이 있는 마을은 전체 마을의 37.3%에 해당하였다. 출입농들은 근교농산어촌과 일반농산 어촌에 많으며, 인근 읍·면 소재지 등 해당 지역에 거주하기보다 타 지역에 거주하 는 경우가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출입농이 있는 패널 마을(n=38)의 평균 출입농 가 수는 약 5.7호로 집계되었다.

구분 시군 유형

근교 일반 원격 전체

출입농 있음 44.0 40.5 28.6 37.3

인근 마을 거주 8.0 21.4 2.9 11.8

인근 읍면 소재지 16.0 14.3 5.7 11.8

거주하는 해당 시군청 소재지 8.0 7.1 11.4 8.8

타 지역 거주 32.0 21.4 17.1 22.5

거주지 모름 4.0 2.4 2.9 2.9

자료: 마을이장 설문조사(n=102) 결과.

<표 3-12> 출입농 현황

단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