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연구의 한계

문서에서 요 약 (페이지 192-200)

이상과 같은 본 연구의 의의에도 불구하고 다음과 같은 한계는 앞으로 보다 심도 있는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과제이다.

첫째, 도시권의 공간적·기능적 연계실태 및 연계·협력 추진 실태에 대한 계량 화가 필요하다. 도시권별로 공간적·기능적 연계 정도나 연계·협력 정책 추진 수 준은 상이하다. 그러나 관련된 내용에서 그 정도 및 수준이 도시권간에 얼마나

제 7 장∙결론 및 정책제언 163

차이가 있는가에 대해 정성적인 분석에서 크게 벗어나지 못하였다. 한편, 연계·

협력을 통한 도시권 발전이 필요한 근거로서 실제 지자체들이 연계·협력 할 경우 발생하는 편익을 계량화할 필요가 있다는 요구가 많았으나 이 역시 구체화 할 필요가 있다.

둘째, 해외 주요 국가의 도시권 정책 동향과 도시권 연계·협력 사례로부터 우 리나라 도시권의 추진체계 구축을 위한 시사점을 도출하였으나 대상 국가가 유 럽과 북미에 국한되어 사례의 다양성 측면에서 보완이 필요하다.

셋째, 도시권 연계·협력 활성화 및 추진체계 구축을 위한 6대 중점과제와 세부 정책 방안을 제시하였으나 이들 중점과제와 세부 정책방안이 어떻게 상호 연계 되어 실현 가능할 지에 대해서는 보다 구체적인 검토가 요구된다. 다만 중점과제 별 우선 순위를 제시함으로써 도시권 정책의 단계적 추진의 방향을 제시하였다.

2. 정책제언

도시권 연계․협력 활성화 및 추진체계 구축을 위해 앞서 제기된 중점과제별 추진방안과 관련하여 중앙정부 차원에서 우선적으로 추진할 정책을 요약하면 다 음과 같다.

첫째, 도시권 협력 사업 발굴 및 도시권 추진기구 구성을 위한 시범사업이 필 요하다. 국토정책 차원에서 참여 지자체들이 공통적으로 편익을 얻을 수 있어서 자발적 협력의 유인이 높은 사업 분야에서 우선적으로 시범사업을 추진하고 점 차 범위를 확대하도록 한다. 중앙정부가 우선은 협력을 유인할 최소한의 사업비 등 인센티브를 제공함으로써 시범사업을 통해 지자체들이 협력을 학습할 수 있 는 기회를 확대하도록 해야 한다.

둘째, 도시권 설정을 포함한 도시권 정책 추진의 가이드라인을 제시할 필요가 있다. 도시권 설정을 지자체가 주도한다는 기본 방향에도 불구하고 도시권 정책 을 도입하는 취지가 실현될 수 있도록 중앙정부 차원에서 도시권 권역 설정, 발 전계획 수립 등에 관한 가이드라인을 마련하여 지자체에 제공할 필요가 있다.

164 글로벌 도시권 육성 방안 연구(Ⅱ)

셋째, 지역발전투자협약제도 개선을 추진하도록 한다. 협약 참여주체의 확대 및 주체별 책임과 권한 명시, 협약절차 개선, 협약 대상사업 범위 및 재원 조달 주체 등 협약에 포함되어야 할 내용을 구체화함으로써, 지역발전투자협약제도를 도시권 협약제도로 활용하기 위한 제도 개선이 요구된다.

넷째, 광특회계 내 도시권 발전계정, 도시권 발전기금 설치, 중앙부처의 일반 회계 중 도시권 발전재원 확보 등 도시권 발전 방안별로 실행전략을 마련하도록 한다.

3. 맺음말

도시권 정책은 행정구역을 넘어서는 지역 현안과제를 지자체간 조정·연계·협력 을 통해 해결하는 동시에 이를 통해 지역 전체의 경쟁력을 높이기 위한 정책이다.

도시권은 지자체간 공간적·기능적 연계성에 따라 다양한 권역설정이 가능하다.

또한 도시권 연계·협력의 수준 및 수요는 지역의 특성에 따라 다양하게 나타날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제시된 과제 및 정책 방안은 도시권의 연계·협력 활 성화를 위해 필요한 사항 중 최소한일 뿐 모든 도시권에 일괄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모델은 아니다. 이러한 도시권 정책 방안을 어떻게 연계·조화시켜 지역특성 에 부합하는 도시권 모델로 발전시킬 수 있을 것인가는 참여 기초 및 광역 지자체 와 중앙정부, 지역 민간기구 등 도시권 협력 주체들의 참여와 계속된 학습을 통해 서 가능할 것이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여러 정책방안을 토대로, 우리나라 도시권 이 경제와 산업, 문화, 인프라, 정주기반 등의 글로벌 경쟁력을 갖추도록 함으로 써, 국토 및 지역발전의 새로운 모멘텀이 되도록 해야 한다.

참 고 문 헌 165 R · E · F · E · R · E · N · C · E

참 고 문 헌

강인성. 2007.「협력적 행정서비스 전달을 위한 광역행정체제 연구」.

한국지방행정연구원.

강인성·박치성. 2008. “지방자치단체 광역행정체제에 대한 인식조사: 현황과 대안을 중심으로”. 지방행정연구 22(3): 69-94.

건설교통부·부산광역시·경상남도. 2005. 「2020년 부산권 광역도시계획」.

경남도청. 2008. 부·울·경 발전협의회 회의자료.

국토해양부. 2010.「지방 대도시권 경쟁력 강화를 위한 교통인프라 구축방안」.

국토해양부. 2010.「지방 대도시권 고유의 역사·문화역량 확충방안」.

국토해양부. 2010.「지방 대도시권 발전을 위한 신성장 산업기반 확보방안」.

국토해양부. 2010.「지방 대도시권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한 정주여건 개선방안」.

국토해양부. 2010.「지방 대도시권의 실태 분석 및 발전방향」.

국토해양부. 2011.「대도시권 광역교통시행계획」.

권오혁. 2006. “신지역주의 비판에 대한 반론”. 국토계획 41(1): 21-40.

권자경. 2011. “사업주제, 자치계층, 행정구역에 따른 지방자치단체간 파트너십의 특징 비교분석”. 지방행정연구 25(1): 57-82.

김동주·권영섭·안홍기·구정은·최인혜, 2009.「국토의 글로벌 경쟁력 강화를 위한 광역경제권 발전방안 연구」. 국토연구원.

김동주·김현식·구정은·강민규·최인혜. 2010.「글로벌 도시권 육성 방안 연구(1)」.

국토연구원.

김석태. 2005.「대구광역권 발전을 위한 거버넌스구조」. 대구경북연구원.

김성배. 2006. “공공서비스 전달의 적정 거버넌스모형 모색: 특별지방행정기관의

166 글로벌 도시권 육성방안 연구(Ⅱ)

기능조정을 중심으로”. 한국지방자치학회보 18(2): 27-48.

김윤진. 2011.「탈근대국제공간의 이해: 신지역주의와 도시네트워크」. 부산대학교.

김은경. 2009.「대도시권 성장을 위한 거버넌스 구축 방안 연구」. 경기개발연구원.

김필두·류영아. 2008.「지방자치단체간 상생을 위한 협력 활성화 방안 연구」.

한국지방행정연구원.

대구경북연구원. 2010.「뉴디자인 대구경북」.

대구광역시. 2009. 대구경북 경제통합업무 추진현황. 기획관실 내부자료.

대전·충청권 행정협의회. 2000. 「충청권 공동발전방안 연구」.

대전광역시. 2009. 「G9 프로젝트: 행정구역을 넘어 이웃과 함께」.

대전광역시지역혁신협의회. 2006.「충청권 협력 증진 및 경제통합 모색」.

대전발전연구원. 2007.「대전대도시권 정립에 따른 지방자치단체간 협력에 관한 연구」.

동아일보 미래전략연구소. 2009.「미래의 경쟁력 메가시티」.

문채·최막중. 2008. “국토계획법상 광역도시계획의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국토계획 43(2): 47-58.

민병원. 2008. “네트워크 국가의 거버넌스 실험: 유럽연합의 개방형 조정방식(OMC)을 중심으로.” 국가전략 14(3): 113-139.

박재길. 2010.「미국 광역계획의 동향과 시사점-시애틀 대도시권 광역계획을 중심으로」. 국토연구원.

박재욱. 2009. “광역경제권 추진과정상의 쟁점과 광역권 거버넌스”. 한국거버넌스 춘계학술대회 발표논문집: 29-37.

배응환. 2010. “신지역주의와 협력거버넌스: 광역경제권 설계의 전제”. 한국행정학보 44(4): 203-232.

배준구. 2001. “지역발전을 위한 정부간 협력방안 : 부산·울산지역을 중심으로”.

한국행정학회 Conference자료.

부산광역시·대구광역시·울산광역시·경상북도·경상남도. 2011. 영남권 시·도지사 간담회 회의자료.

부산광역시·울산광역시·경상남도. 2010. 부·울·경 시·도지사간담회회의자료.

참 고 문 헌 167

부산발전연구원. 2011.「부산권 MCR, 경쟁력 강화방안에 관한 연구」.

서정섭. 2011. “지방자치단체간 협력사업의 유인기재로서 재정기반 구축에 관한 연구”.

지방행정연구. 25(1): 189-214.

손정렬. 2011. “새로운 도시성장 모형으로서의 네트워크 도시: 형성과정, 공간구조, 관리 및 성장전망에 대한 연구동향”. 대한지리학회지 46(2): 181-196.

안영진·조영국. 2009. “독일의 광역경제권으로서 ‘메트로폴리탄지역’ 육성정책”.

한국경제지리학회지. 12(4): 557-575.

안영훈. 2008. “광역경제권의 개념, 유형 및 거버넌스 체계”. 한국지방행정연구원 working paper 2008-1.

염명배. 2001. “일본 사례로 본 지방자치단체 간 전략적 제휴의 가능성 모색”.

한국지방재정학회. 6(1): 81-115.

우윤석. 2009. “지방정부 간 협력을 위한 거버넌스 모형의 구상: 미국의 MPO 사례를 중심으로”. 국토연구 60: 189-214.

이성근·이환범·이수창. 2005.「대구와 인근 시·군의 상생발전 방안」. 대구경북연구원.

이원섭. 2005. “유럽연합과 일본의 지역협력 사례와 시사점”. 열린충남 32: 34-53.

이원섭·양하백·정옥주·박인권. 2005.「통합국토를 향한 지역간 공동발전 방안 연구(Ⅲ)」. 국토연구원.

이원희. 2010. “자치단체 협력·연계 촉진 방안. 지방재정과 지방세”. 지방재정과 지방세 32: 21-42.

인천발전연구원. 2009.「인천시 도시간 네트워크 구축 및 활성화 방안」.

임성복. 2010.「G9과 연계한 대전지역 물류체계 개선 방안」. 대전발전연구원.

정옥주. 2004. “프랑스의 기초자치단체(꼬뮌)간 협력”. 국토계획 39(6): 214-230.

정원식. 2009. “신지역주의 관점에서 참여정부와 이명박 정부의 지역개발정책의 비교분석”. 한국정책과학학회 13(3): 23-53.

한국지방행정연구원. 2008.「지역간 협력사업의 활성화 촉진방안」.

한승준. 2006. “지방정부간 관계의 거버넌스 구축에 관한 연구: 수도권교통조합을 중심으로”. 한국행정학보 40(4): 253-276.

한표환·김선기. 2002.「자치단체간 협력사업 활성화 방안」. 한국지방행정연구원.

168 글로벌 도시권 육성방안 연구(Ⅱ)

한표환·김선기·김필두. 2003.「지방자치단체간 협력사업 활성화 방안」.

한국지방행정연구원.

홍철. 2011.「지방보통시민이 행복한 나라」. 대구경북연구원.

Arthur, N. & Kathryn, F. 1999. "Metropolitan Governance Structure and Income Growth". Journal of Urban Affairs. 21(3): 309-324.

Bache, I. & Flinders, M. 2004. Multi-level Governance. OUP Oxford

Batten D. 1994. "Network Cities: Creative Urban Agglomerations for the 21st Century". Urban Studies. 32(2): 313-327.

Camagni, R. & Salone, C. 1993. “Network Urban Structures in Northern Italy:

Elements for a Theoretical Framework”. Urban Studies. 30: 1053-1064.

Camagni, R & Capello, R. 2004. “The City Network Paradigm: Theory and Empirical Evidence”. Contributions to Economic Analysis 266: 495-532.

Capello, R. 2000. "The City Network Paradigm: Measuring Urban Network Externalities". Urban Studies. 37(11): 1925-1945.

Cesar, D. 2006. “Benchmarking Urban Networking Strategies in Europe: An Application of Chorems to France and Great Britain:”. 국토연구. 49: 3-24.

Champion, A, G. 2001."A Changing Demographic Regime and Evolving Poly centric Urban Regions: Consequences for the Size, Composition and Distribution of City Populations". Urban Studies. 38(4): 657-677.

Christian, L. 1998. Metropolitan Government and Governance in Western Countries: A Critical Review. Joint Editors and Blackwell Publishers Ltd.

Church, A. & Reid, P. 1996. “Urban Power, International Network and Competition: The Example of Cross-border”. Urban Studies. 33(8): 1297-1318.

Dodge, R. 1996. Regional Excellence: Governing Together to Compete Globally and Flourish Locally: Washington, DC: National League of Cities.

Foster, A. 2011. “A Region of One’s Own”. Regional Planning in America:

Practice and Prospect: 53-80.

문서에서 요 약 (페이지 192-200)